사막으로 사라진 아이들 VivaVivo (비바비보) 5
엘리자베스 레어드 지음, 이승숙 옮김 / 뜨인돌 / 2008년 9월
평점 :
절판


3.4

실제 사실을 재구성한 것이라고 합니다. 사회고발의 성격을 갖고 있습니다.

줄거리는 파키스탄의 '라시드'는 어느 날 방문한 삼촌 '비랄'의 꼬임에 빠져 동생 '샤리'와 함께 두바이로 갑니다. 중개인 '가만 칸'은 세 사람을 각각 다른 곳에 '배달'하곤 사라집니다. 다행히도 라시드가 도착한 곳은 그다지 엄하지 않은 낙타 경주 감독(일명 낙타농장) 하지 파루크가 있는 곳이었고, 주인 사이드 알리도 좋은 사람입니다. 그 사촌인 아부 나지르는 잔인한 사람입니다. '무집'이란 애가 경주 도중 떨어져 죽은 다음에 대신 배급된 아이가 된 것입니다. 자기 적성에 맞는 것을 알게 된 라시드는 차차 적응해 가지만 몇 달 만에 삼촌을 만나고 동생 이야기를 듣자 불안해 집니다. 야세르(라시드의 가명)와 파리드(샤리)는 다른 대우를 받는데, 샤리의 낙타농장 감독은 잔인하지 때문이죠. 결국 라시드가 우승을 자주 하여 황금검 대회에서도 우승하자 사이드 알리는 자기 집에 데려갑니다. 그 아들 압둘라는 라시드가 꿈꿔 오던 생활을 지겨워하면서 영위하고 있습니다. 아동 학대가 국제 여론화 되면서 로봇이 낙타경주 기수가 됩니다. 아이들은 사이드 알리의 배려로 버려지는 대신 삼촌 비랄에게 인도되어 다시 파키스탄으로 돌아옵니다. 하지 파루크도 그 동안 라시드가 받았어야 했던 보너스를 꺼내줍니다. 그냥 줬더라면 동료기수 이크발처럼 구슬을 산다든지 해서 낭비해버렸을 돈이지요.

자, 라시드의 경우는 비교적 행복한 과정입니다. 아부 나지르에게 매타작을 당한 것도 한 번뿐이고 챔피언의 동생이니 역시 소질이 있을지 모른다면서 죽어가는 샤리를 입원시키고 치료해주는 것도 그렇고요. 반면 샤리는 엄한 감독 밑에서 종교 행사 참여도 못하고, 라시드도 마찬가지이지만 항상 주리고, 매도 많이 맞았죠. 그리고 팔이 부러졌음에도 불구하고 치료도 못 받습니다. 푸포처럼 부모가 수소문 끝에 나타나 데려가는 것도 행운입니다. 그런데 그 과정에서 나오는 것처럼 다른 사람이 자기 아이라고 주장해서 잡치해 갈 수도 있겠죠.

작가의 글이 앞에 있습니다. 낙타 농장에서 일하던 아이는 3천인데 고국으로 돌아간 아이는 고작 천 명. 그렇다면 나머지 2천 명은 어디로 갔을까요? 그래서 제목이 '사막으로 사라진 아이들(Lost Riders)'인가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