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의 여왕 - 하 - 유리 주문
카이 마이어 지음, 김영민 옮김 / 대산출판사(대산미디어) / 2004년 8월
평점 :
품절


겨울이 빛의 제왕의 말을 듣고 이집트를 방문하였기 때문에 이집트는 꽁꽁 얼어버립니다. 철제눈은 스핑크스의 요새인데 겨울이 난입하여 돌아다니는 바람에 전세계에 있다가 스핑크스의 신인 '세크메트의 아들'이 부활하는 모습을 보려고 몰려온 스핑크스의 대부분이 얼어죽습니다. 덕분에 접근하던 운케-세라핀 일행과 메를레-베르미트락스 일행은 쉽게 들어서게 됩니다. 메를레는 주니파와 함께 다시 지하로 가서 빛의 제왕을 만나게 됩니다. 다만 돌로 된 빛의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 인도자인 주니파가 거울 속으로 걸어가 거울 캐비닛에 도착합니다. 빛의 제왕은 버브리지 교수인데 이(거울 캐비닛) 안에 있으면 순수한 버브리지가 됩니다. 나가면 돌로 된 빛의 영향을 받아 빛의 제왕이 됩니다. 버브리지는 메를레에게 자신이 할아버지라는 것, 랄라페야가 어머니이고 자신과 릴림과의 사이에 난 스티브라는 아들이 아버지라는 것 등을 알려줍니다.

모든 것은 스핑크스의 계략이었습니다. 스핑크스는 호루스의 제사장들을 꾀여 파라오를 부활시키고, 미라 군대를 동원하여 세계를 정복하였는데 사실 그 목적은 스핑크스의 신인 '세크메트의 아들'을 되살리기 위함이었답니다. 그리고 물의 여왕의 원 이름은 세크메트. 실체인 암사자를 버리고 무형으로 살아가다가 메를레의 몸으로 들어온 것입니다. 다시 돌아가려면, 메를레가 죽어야 합니다. 생명을 원 실체에 넣어야 살아나니까요. 주니파가 대신 죽겠다고 했지만 거절합니다. 그러자 세라핀이 키스를 하는 척하면서 물의 여왕을 넘겨받습니다. 그리고 죽습니다. 부활한 '세크메트의 아들'은 다시 한번 어머니에게 죽임을 당합니다. 돌로 된 빛이 지구로 떨어질 때 세크메트의 몸에 영향을 미쳐 '세크메트의 아들'을 낳았고, 그 후 스핑크스가 퍼졌다고 합니다. 나중에야 영향을 받은 것을 알고 아들을 죽이고 부활을 감시하기 위해 석호를 파고 베네치아에서 물의 여왕으로 존재해 왔다는 것입니다. 아, 여름이 잡혀 있어 에너지를 빼앗기고 있었는데 베르미트락스가 풀어주어서 모든 태양선과 미라 군대는 해체됩니다. 전세계에 평화가 왔다는 말입니다.

빛의 제왕이 사탄이라는 것은 익히 알려진 가면입니다.
돌로 된 빛은 루시퍼라는 개념에서 따온 것이고, 결국 버브리지 교수는 점차 그 힘에 잡혀 결국 자신을 잃어버린다고 설정되어 있습니다. 다른 몇 교수들도 마찬가지. 

베네치아가 중심이기 때문에 러시아(차르 왕국)와 이집트가 주요 세력으로 등장합니다. 지중해를 사이에 두고 두 세력이 부딪힌다는 설정이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