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77
조지 오웰 지음, 정회성 옮김 / 민음사 / 200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발표한 해가 1949년이고 구상한 때가 1948이여서 뒷자리의 역수인 1984라고 정했다는 뒷이야기를 많이 들어왔던 책입니다. 사실인지는 잘 모릅니다. 
 
이야기가 전개되는 세상은 완전히 통제된 사회인데 글을 쓴 시대가 시대인 만큼 요즘 우리들의 시각에서는 허접스러운 설정이 좀 보입니다. 어쩔 수 없는 측면이니까 넘어 갑시다. 다른 고문이라든가 하는 부분은 동 시대를 다룬 매체에서 많이 본 것이니 작가가 인용하여 사용한 것은 당연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이 책의 주제를 차용하여 만들어진 다른 작품들이 그(이 책의 출간) 이후 많았다는 점에서 이 책의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비슷한 내용을 일전(20여 년 전?)에 TV에서 본 적이 있습니다. 아마 배경이 프라하의 봄이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2차 대전 후 체코의 공산당 지도부들이 대거 숙청되어 체포되고 고문과 회유를 거쳐 모두 유죄를 인정하고 대부분 교수형을 당합니다. 주인공은 살아남아 수용되었다가 풀려나 서구로 망명하였다가 프라하의 봄 때 귀국하는데 그가 본 것은 진입해 오는 탱크입니다.(프라하의 봄은 바르샤바 조약군에 의해 진압되었죠.) 이처럼 고문에 의한 거짓 자백과 공개 처형은 유사이래 인류에서 떠나지 않은 일이니 이 작품에 등장한다고 해서 별날 것은 없습니다.

마지막 처리 부분(환상 속에서 다시 자백하고 처형당하는 장면 및 빅 브라더를 사랑한다고 되뇌이는 장면)은 요즘의 소설에서 사용하는 풍조와 조금 다른 것 같은데, 생각을 좀 해 보았지만 다른 결말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일 것 같습니다.

통제된 삶과 그것을 깨닫는 사람에게 닥치는 시련은 일반적인 설정(현실)입니다. 특히 우리가 접하는 매체들에서는 자주 다루는 주제이기도 합니다. 작가가 다르면 다른 형태의 작품으로 우리에게 제시되는 것입니다. 

(8년 7월 31일 작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