쾌락혁신
이석준.이혁 지음 / 어문학사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이한 표지와 낯선 이름 때문에 처음에는 선택을 주저했다. 제목도 혁신 대신 현신으로 잘못 읽었다. 그러다 저자 이력을 보면서 이혁이 ‘내귀에 도청장치’란 락 밴드에서 활동하는 명상가란 것과 이석준의 전공이 인지과학이란 사실에 눈길이 갔다. 최근에 인지과학이란 것을 알게 되면서 그 분야에 약간 관심을 두고 있었고, 무엇보다 더 큰 이유는 이석준의 다른 책 <나는 발가벗은 한 시간 동안 자유로와진다. 그래, 나는 딜레탕트다!>(나발한자)에 좋은 평이 덧붙여져 있어 약간의 주저를 떨쳐낼 수 있었다. 물론 이 책 내용을 제대로 소화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는 크게 하지 않았다.

 

처음 이석준의 프롤로그를 읽으면서 고생했다. 정확한 개념도 세워지기 전에 그의 전작 <나발한자>를 인용한 글이 나오고, 그가 적어놓은 몇 가지 정의가 낯설었기 때문이다. 그러다 둘의 대담으로 넘어가는 순간 예상하지 못한 재미를 느꼈다. 생각보다 쉬운 이야기가 나와 쉬운 데 하고 방심한 것이다. 이것은 다음 장으로 넘어가면서 나를 곤혹스럽게 만들었다. 과학과 철학이 엮이면서 낯선 대화들로 채워졌기 때문이다. 물론 그 중에는 낯익은 것도 있다. 하지만 나의 이해가 이석준의 것을 따라가지 못함으로써 속도와 몰입도가 떨어졌다. 좀 더 공부해야 할 부분들만 확인했다고 해야 할까.

 

이석준과 이혁의 대담집이라고 하지만 대화의 분량이나 질에서 균형을 이루고 있지는 않다. 주로 개념이나 상황을 설명하는 것은 이석준이다. 개인적으로 그의 말 중에서 가장 공감하는 것은 컨설팅이다. 대기업 등에서 엄청난 금액을 들여 컨설팅을 하는데 그것이 보고용일 뿐이라는 내용을 보면서 고개를 끄덕였다. IMF 이후 대기업은 컨설팅 열풍이 불었는데 내가 알기로는 그렇게 큰 도움이 되지는 않은 것으로 안다. 아랫사람이 뭔가를 했다는 것을 보여주기에는 나쁘지 않겠지만 그것이 문제를 해결한다거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렇게 큰 역할은 하지 못한 것으로 안다. 그리고 실제 그들은 분석 도구를 가지고 와서 그 속에 넣어서 나온 값을 해석해서 알려줄 뿐이다. 내가 알지 못하는 곳에서 다른 컨설팅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회사를 다니다보면 자신도 모르게 기존 방식이나 조직이나 생각에 물든다. 구태의연해지는데 이런 상태라는 것을 알면 다행인데 모르고 지나가는 경우가 태반이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예전에 자신이 어떻게 했다는 경험담인데 시대의 변화를 전혀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나도 이런 실수를 자주 했다. 지금도 한다. 창의성은 사라지고 있고, 기존의 것을 따르지 않으면 화부터 낸다. 윗사람 눈치를 보고, 잘못된 것을 말하지도 못한다. 이석준이 주장하는 많은 직장인의 모습을 내가 가지고 있다. 아마도 내가 가장 많이 공감한 부분도 여기가 아닌가 생각한다. 책을 읽을 때 이렇게 해봐야지 생각한 것이 이 글을 쓰는 지금 많이 사라졌다. 나 자신을 연다는 것이 이렇게도 어려운 것인지.

 

쾌락. 사람들은 누구나 쾌락을 추구한다. 쾌락이란 단어가 주는 음습함 때문에 다른 표현을 사용할 때도 있지만 현실은 이 쾌락을 지속하려고 한다. 쾌락의 지속과 증대는 삶의 중요한 요인 중 하나다. 그런데 쾌락이 뭐냐고 말하면 쉽게 대답을 하지 못한다. 육체적 쾌락이야 욕망의 충족이란 말로 대변할 수 있지만 정신적 쾌락은 어떤가? 저자는 ‘좋아서’. ‘하고 싶어서’. ‘그냥’ 등의 대답이 바로 쾌락이라고 말한다. 참 단순한 말이다. 그런데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이것을 에둘러 표현한다. 이 결론에 도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데 대부분의 문답에서 경험할 수 있다. 자신에게 솔직하지 못하거나 이런 표현을 부끄러워하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교육과 학습에 대한 그의 논리도 동의한다. 교육은 하향식이라면 학습은 자발적인 것이다. 하향식 교육은 어쩔 수 없이 하는 것이다. 학습은 다르다. 공부라는 단어를 사용하면 같은 것처럼 보이지만 이 두 단어를 다르게 사용하면 그 의미가 달라진다. 그런 점에서 그가 오타쿠를 자주 말하고 중요하게 여기는 것도 이 때문이다. 오타쿠들은 자신들이 좋아서 자발적으로 공부하고 연구한다. 물론 이들의 일부가 사회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 부분에 대한 해결책도 그들은 제시한다. 실제로 많은 부분에서 속된 말로 덕후라는 사람들이 보여준 놀라운 지식과 정보는 전문가라는 사람들을 능가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한 사람의 덕후가 부족하면 여러 명이 모여서 그 문제를 풀어낼 때 우리는 그냥 감탄한다. 이들의 지식과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실제 일본 애니에서는 이미 있었던 일이기도 하다.

 

개인적으로 이 두 사람의 논제에서 역사와 문학 부분은 조금 약하지 않은가 하는 생각이 든다. 인공지능을 둘러싼 이석준의 놀라운 지식과 상상력은 감탄을 자아내지만 한국 역사를 보는 시선은 고등학교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한 것 같다. 서양 철학과 과학에 대한 이해와 지식은 대단한데 동양 철학에 대한 것은 한계가 분명해 보인다. 사실 이 부분은 명상가인 이혁이 채워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했는데 왠지 이석준의 기에 눌린 듯한 기분이 든다. 쾌락혁신을 향한 방향에는 공감하지만 그 내용들이 제대로 정리되지 못한 것 같은 느낌을 받은 것은 나의 이해도 낮아서 그럴 것이다. 약간 어렵고 어리둥절하고 재미난 경험을 하게 만든 책이다. 얼마나 이해했는지는 뒤로 하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