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번 교향곡
조셉 젤리네크 지음, 김현철 옮김 / 세계사 / 2008년 9월
평점 :
품절


 

베토벤에 대한 나의 지식을 참으로 얕다. 학창 시절 음악 시간에 배운 것이 거의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음악 선생님 덕분에 월광 소나타가 베토벤의 작품이란 사실을 알게 된 것이 그나마 위안이랄까? 그 유명한 운명 교향곡은 너무나도 인상적이고 유명해서 잊을 수가 없지만. 이런 베토벤의 10번 교향곡을 둘러싼 미스터리가 나왔다. 베토벤에 무지하다고 소설 자체까지 관심이 없지는 않다. 또한 베토벤에 대해 관심이 전혀 없는 것도 아니다. 이 소설 속에 나오는 영화 두 편 중 한 편을 예전에 본 적이 있으니 전혀 무관하지만은 않다.

 

고전 음악을 배경으로 만든 미스터리를 읽다보면 나의 얕은 지식이 금방 드러난다. 음악을 분석하고 해석하고 표현하는 문장을 읽다보면 나의 감성이 메마른 것은 아닌가 하는 의문이 생긴다. 음계를 이용한 암호나 수비학 이론이 나오면 나 자신도 모르게 손을 번쩍 들어 항복하게 된다. 그러니 이 분야를 열심히 공부하면서 읽기보다는 즐기면서 미스터리에 집중한다. 그러다보니 이야기의 전개나 트릭이나 등장인물들에 신경을 많이 쓰게 된다.

 

이야기의 얼개는 어쩌면 간단하다. 한 유명한 음악가가 베토벤의 습작으로 10번 교향곡을 살려낸 것이다. 베토벤을 전공한 주인공이 듣기엔 완전히 베토벤의 작품이다. 그런데 그가 연주가 있었던 다음 날 목이 잘린 시체로 발견된다. 뒷머리는 밀렸고, 그 속엔 하나의 악보가 문신으로 새겨져 있다. 암호다. 주인공을 축으로 베토벤과 암호를 다루면서 형사는 주변 인물들의 신변을 조사하고 범인들에게 점점 다가간다. 그리고 밝혀지는 10번 교향곡의 진실과 과거사. 이 일련의 과정이 빠른 진행과 풍부한 음악적 지식과 음모론 등으로 뒤섞여 가면서 재미나게 풀어진다. 이전에 읽은 고전 음악을 배경으로 한 미스터리에 비하면 한층 돋보인다.

 

고전음악사에 10번 교향곡은 저주를 받은 것 같다. 베토벤도 10번 교향곡을 작곡하다 죽었고, 그 외에도 많은 작곡가가 10번 교향곡의 저주를 받은 것처럼 죽었다. 우연히 겹치면서 저주설이 힘을 얻는다. 하지만 냉정하게 하나씩 분석하면 창조력의 고갈과 심리적 압박감 등의 다양한 원인들이 나타난다. 그래도 이런 저주설에 시선이 더 가는 것은 어쩔 수 없다. 그리고 만약 10번 교향곡이 실존하게 된다면 그 곡은 엄청난 가치를 지니게 되고, 발견자는 순식간에 거부가 될 수 있다. 이런 상황이니 살인이 벌어지는 것도 어쩌면 당연한 일일지도 모른다. 거기에 프리메이슨 단체를 비롯한 음모설은 관심을 더욱 부채질한다.

 

소설은 빠른 속도로 읽힌다. 빠른 장면 전환과 비교적 쉽게 풀어서 설명해주는 교향곡은 이런 소설에서 느끼게 되는 지루함을 주지 않는다. 베토벤을 둘러싼 새로운 이야기는 호기심을 자극하고, 음모론은 변함없이 나에게 매력적이다. 고전음악에 대한 설명은 지적 호기심을 채워주고, 살인을 둘러싼 미스터리는 긴장감을 불러온다. 암호나 미스터리가 하나씩 해결될 때마다 새롭게 드러나는 사실과 의문은 읽는 즐거움을 준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이라면 마지막 반전이 작위적인 것이 아닌가 하는 점이다. 사전 작업이 있었다고 하지만 그 관련성을 드러낼 만한 단서들을 그 이전에 발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혹시 내가 놓친 것일까? 모르겠다. 그러나 몇 권 되지 않는 음악 관련 팩션 중 제일 마음에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