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신새 우는 소리
류재이 외 지음 / 북다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네이버 책과 콩나무 카페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현대적 감각으로 전설을 호러로 다시 쓴 앤솔러지다.

여섯 작가가 참여했는데 낯익은 작가는 한 명이다.

추억의 드라마 <전설의 고향>을 말해 더 눈길이 갔다.

이 앤솔러지에 참여한 작가들은 호러 소설 창작 그룹 ‘괴이학회’ 소속이다.

이 그룹을 여기저기에서 봤지만 솔직히 말해 잘 모른다.

이들이 택한 여섯 전설도 사실 잘 모르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창귀’는 다른 장편 소설로 만난 적이 있어 그나마 조금 익숙하다.

기억을 더 돌아보면 한두 전설 정도 더 알지 모르지만 크게 중요한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이 여섯 편이 그 시대상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부분은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


류재이의 <금녀>는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에 내려오는 ‘금돼지와 원’ 설화를 바탕으로 했다.

금녀는 미지의 존재에게 현감의 아내가 잡혀가는 것을 막기 위해 그의 아내가 되었다.

어느 날 사라진 여성들이 모인 곳에 도착한 금녀.

조선 시대는 여성의 인권이 제대로 있을 때도 아니다.

각자의 사연이 나오고, 그분과 함께 사는 지금이 가장 행복하다.

이들이 바라는 것은 기녀 홍매가 그분의 아이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하나씩 드러나는 인간의 탐욕과 전설의 존재.

조선 여성 잔혹사와 마지막 장면은 강한 인상을 남긴다.


이지유의 <여우의 미소>는 제주도, 전라북도 지역의 ‘여우 누이’ 전설을 바탕으로 했다.

양반 자제들이 연속적으로 죽어나가는 사건이 발생한다.

여우의 피를 가진 영인은 이 살인 사건에 묘하고, 관심이 생긴다.

양반들이 평민 여성을 겁간하고 살인한 사건과 연결되어 있다.

성폭행의 희생자가 된 여종들과 양반의 치외법권적 권력.

유상의 <달리 갈음, 다리가름>은 경상남도 고성의 천도굿인 ‘다리가름’을 바탕으로 한다.

다리가름이란 천도굿은 처음 듣는다.

사람의 모습을 한 수백, 수천 마리의 쥐떼들.

이 쥐떼를 몰아내려는 늙은 무당의 굿과 이것을 막으려는 쥐떼.

마지막 장면은 열린 결말로 독자의 상상력에 맡긴다.


박소해의 <폭포 아래서>는 개성시 천마산 박연 폭포에 내려오는 설화를 바탕으로 했다.

피리를 잘 부는 박 씨 선비와 박연 폭포 속 용녀와의 결합 이야기가 내려온다.

박연 폭포하면 황진희가 먼저 떠오르지만 이 폭포 속에 용녀의 대저택이 있다.

전설처럼 피리 명인 박이선은 용녀와 백년가약을 맺는다.

하지만 이 이후 새로운 사실이 나오면서 조금은 낯익은 공식 속으로 흘러간다.

서로 다른 공간과 다른 시간의 흐름이 만들어낸 마지막 장면은 살짝 웃게 한다.

무경의 <웃는 머리>는 ‘창귀와 관련되어 있다.

암행어사와 웃는 표정의 머리. 산군 호랑이의 위협적인 모습과 그 옆에 있는 창귀.

창귀와 어사와의 은밀한 대결은 갑작스럽게 펼쳐진다.

중첩되는 이야기와 도식적인 듯한 반전들. 가독성과 달리 아쉬움동 있다.


위래의 <반쪽이가 온다>는 경기도 양주시에 내려오는 ‘반쪽이’ 설화가 바탕이다.

꽃님이가 꾸게 되는 이상한 꿈, 동네에 퍼진 반쪽이 이야기.

쉽게 그려지지 않는 반쪽이의 모습.

반쪽이가 꽃님이와 혼약을 맺고 싶다는 소문과 진격의 반쪽이.

이 상황을 냉정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꽃님이.

초반에 풀어놓은 설정이 후반부에 적패지와 엮여 이 소동의 이유가 나온다.

꽃님이의 냉정한 시선과 상황 판단이 인상적이고, 마지막 배짱도 대단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