쌈리의 뼈 로컬은 재미있다
조영주 지음 / 빚은책들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의 시간 3부작 중 마지막 작품이다.

앞의 두 작품 중 읽은 것은 <크로노토피아>다.

이때 다룬 시간은 반복되는 무한의 시간이었다.

다음에 나온 책은 모르고 있다가 이 책을 통해 그 존재를 알았다.

이번에 다루는 시간은 상실의 시간이다.

치매에 의해 잊혀지는 기억을 말한다.

모든 가족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병이 치매다.

치매 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힘겨움 등은 이미 소설이나 주변 사람들 이야기로 충분히 봤다.

작가는 여기에 과거의 기억 속 죽음과 유골을 뒤섞고, 현실과 연결했다


윤명자. 해환의 엄마이자 <굴>이란 소설로 백만 부를 판매한 베스트셀러 작가.

사실에 기반을 둔 소설로 성공적인 작가 인생을 이어가는 중이다.

이런 그녀가 어느 날 치매에 걸렸다.

딸은 이제 겨우 대학교 새내기였고, 다음 해 코로나 19까지 발생했다.

학교 생활을 즐기기 전 그녀의 삶은 최악으로 치닫는다.

해환은 어느 날 잠시 기억을 잃고, 치매 걸린 엄마에 몸에는 상처가 나 있다.

이런 불안하고 힘든 현실을 출판사하는 아저씨에게 상의한다.

외할아버지가 지은 평택에 있는 수북강령으로 이사하기로 한다.

실제는 수북강령 주변 아파트이지만 살기는 더 좋다.


주중 낮에는 엄마가 센터에 가서 하루를 보내다 보니 여유가 있다.

어느 날 창녀촌이 있는 쌈리의 한 집에서 아이의 유골이 발견된다.

엄마가 쓰고 있던 소설의 제목이 <쌈리의 뼈>였는데 해환에게 완성을 요청했다.

서울에서 내려온 아저씨와 함께 자료 조사를 위해 쌈리에 간다.

현장에서 몇 가지 이야기를 듣고, 엄마가 무작위로 적은 글의 단서를 찾고자 한다.

그러다 발견한 핑크의 단서, 미니란 이름이 가진 역사 등을 알게 된다.

소설 속에 많은 미니란 이름의 여자들이 계속 죽었다.

현실에서 미니란 이름은 다른 성과 결합하고, 다른 사람에게 물려주는 이름이었다.

소설과 현실, 치매와 기억 사이를 오가면서 새로운 일들이 하나씩 터진다.


치매에 걸린 엄마가 쓴 단어들의 의미가 드러날 때.

그냥 부르는 듯한 이름이 그 주인을 찾았을 때.

힘겨운 삶에 위안이 되어주는 사람이 나타날 때.

예상하지 못한 죽음과 치매 걸린 엄마의 연관성을 의심할 때.

그냥 평범한 일상처럼 보였던 것들이 서로 엮이고 꼬인다.

삶의 힘겨움을 벗어나기 위해 단맛에 중독된 사탕만 먹는다.

소설과 현실 속에서 혼란을 겪고, 이 괴로움을 토해내면서 위로를 얻는다.

갑자기 새로운 가능성이 떠오르면서 소설은 완성되고, 자부심 가득하다.

하지만 이 완성은 파격적이고, 자신의 출생에 대한 어긋난 환상이다.


의심은 불안으로 변하고, 불안감은 누군가의 위로를 통한 안도를 바란다.

이때 등장하는 전직 미나이자 블랑크 헤어의 디자이너다.

미용실 앞에는 붕어빵을 파는 할머니가 계시지만 치매인 듯하다.

작가는 여기서 교묘하게 독자의 시선을 잘못된 방향으로 끌고 간다.

이 시선은 해환에게도 그대로 적용되고, 오해는 상황 판단에 문제를 불러온다.

의심스러운 죽음, 늦은 밤 엄마의 외출, 소설 속 살인 등이 엮인다.

해환의 꿈 속에 나오는 살인 장면은 어디에서 비롯한 것일까?

소설은 어디까지 사실일까? 나의 기억은 정확한 것일까?

불어나는 의심과 불안, 전혀 예상하지 못한 상황, 밝혀지는 진실.

너무 갑작스러워 당혹스럽고, 머릿속에서 놓친 것들을 떠올려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