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사, 그리고 목사직 - 목사가 목사에게 던지는 7가지 질문 믿음의 글들 369
이재철 지음 / 홍성사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재철 목사님, 

좋은 목사님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나는 절대 그분을 따라갈 수 없다는 결론도.
이재철 목사님을 존경하지만. 그렇다고 그분이 나의 롤모델도 아니고,
이땅에 진짜 롤모델로 함께하는 주님이 계시니.
이재철 목사님도 당신의 삶의 자리에서 살아온 경험치에서
위의 7가지 질문을 고민하고 생각하셨다는 정도.
물론 그렇기에 존경한다.

우선, 이 책을 읽는 분들에게 주의를 드린다. 내 생각을 나눈다.
자꾸 남의 이야기를 자기가 읽고서 너무 좋다고 그것이 답이다, 라고 생각하시는 것. 그것을 주의하셨으면 좋겠다.

1. 한국교회가 건물 짓기에 난리를 쳤을 때, 많은 분들은 교회를 왜 짓냐고 하면서 교회 건축 안 하고 건물을 빌리거나 학교 강당에서 예배를 드리면 진짜 좋은 교회와 목사 성도가 되는 줄 알았다. 글쎄?

2. 훌륭한 목사는 박사학위 안 받고 그저 열심히 끊임없이 공부하며 구도하는 목사가 진짜 좋은 목사라고 생각한다. 그것도 글쎄?

3. 진짜 훌륭한 목사는 경제적으로 독립하여 자지가 먹고 살 길은 마련해야 한다. 글쎄?

4. 자녀 교육과 관련하여 선교사로 갔는데 현지 학교에 보내지 않고 좋은 국제 학교 보내는 거, 그것을 나쁘다고 생각해야 할까? (나는 지금 나에게 놓여 있는 처지에서 나쁘다고 본다.) 하지만 선하다고 생각해 볼 수 있지 않을까? 뭐든 딱 짤라서 말할 수 있을까?

위의 4가지 내용만 나열했지만, 우리 생각에서 진짜 교회와 목사 성도는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할까?

물론 이재철 목사님의 7가지 질문은 중요한 도전을 준다.
그렇지만 정말 중요한 것은 내가 처한 환경과 상황이다.
거기서 하나님이 원하시는대로 순종하고 따라가면 된다.

나와 하나님과의 관계, 그리고 내가 속한 공동체가 함께 분별하여 선한 것 중에 가장 선한 것을 찾아가면 될 터...

서론이 너무 길었다.
책에서 7가지 질문은 다음과 같다.

1. 왜 목사로 살고 있는가? 목사로 밥 벌어 먹고 살고 있나?

2. 모세형 목회자, 아론형 목회자 중 어느 유형에 속하나?

3. 나는 목사이기 전에 전도인인가? 닦은 도를 통해 이끄는 자가 되는가?

4. 자발적 격리로 하나님만을 바라 보는가? 혹여나 사람을 의지하는 것은 아닌가?

5. 인간에 대해 얼마나 아는가? 진정한 인간이해가 있는가?

6. 현재 교회가 작다고 더 큰 교회 유명한 교회로 갈 것이냐?

7. 하나님의 심판이 나에게도 지금 임하고 있음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가? 하나님은 종이 호랑이가 아니다!!!


늘 하나님 앞에서 살아가자!

이것이 결론!

목사든 성도든...

한국교회의 병폐는 목사와 성도를 나누었다는 문제!!!

그래서 책 제목을 바꿨으면 한다.


성도, 그리고 성도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왜 교회는 예수님의 세족식을 왜곡했을까? - 우리가 외면해 왔던 성경 속 그 말씀들
오대식 지음 / 생명의말씀사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각 하나.


신부님이나 승려들이 요즘 대세다.

대세라는 말에 권력을 싣고 싶은 생각은 추호도 없다.

여기서 말하는 대세란 영향력이다.

신부님이나 승려들이 하는 말에는 영향력이 있다.

그말은 즉, 승려나 신부님의 말에 대중들이 공감을 한다는 것.


생각 둘.


목사들을 생각해 보자.

목사들만큼 말을 많이 하는 성직자도 없지 않다.

기본적으로 새벽 설교, 수요 설교, 금요 기도회, 주일 설교.

교회의 형편에 따라서 담임목사가 전담하기도 하고,

부교역자와 나누어서 하기도 한다.


생각 셋.


신부나 승려의 말에는 영향력과 공감력이 있다.

목사의 말(목사는 말이라 하지 않고 하나님의 말씀을 대언한다고 한다.)에는 영향력과 공감력이 없다. 

아니, 없다라는 말은 부정적이며 단정적이다. 이것을 객관화시켜 현상적으로 말하면,

목사의 설교는 대중들에게 영향력과 공감력을 주지 못한다.

여기서 대중들로 국한한다.

왜냐하면 교회 내 다수의 성도들에게는 영향력과 공감력이 있기 때문이다.


생각 넷.


이제 절망적인 수준에서 논해보자.

목사의 설교를 대중과 공감을 떠나

교인들만을 대상으로 하여 얼마나 설교(즉, 하나님의 말씀)를 

제대로 진실하게 대언(전달하는)하는지 그것이 문제다.


생각 다섯.


여기 왜 교회는 예수님의 세속식을 왜곡했을까?, 라는 책은

높은 뜻 정의교회 오대식 목사님의 설교를 모아 펴낸 것이다.

여기에 실린 설교문은 세상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세상 사람들이 읽을까 싶냐마는,

그러나 교회 내 교인들은 이 설교문을 읽고

진리의 말씀에 접근하기에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 같다.

이 책 자체가 하나님의 말씀, 진리를 전달했다는 측면보다

그것에 도달하기 위한 목사님의 몸부림이라고 할까.

그것들을 우리가 읽고 같이 묵상해 본다면,

왜곡된 말씀에 대한 바른 이해가 조금이라도 생기겠다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왜 교회는 예수님의 세족식을 왜곡했을까? - 우리가 외면해 왔던 성경 속 그 말씀들
오대식 지음 / 생명의말씀사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알게 모르게 넘어갔던 넘겨갔던 성경의 많은 이야기 속에서 진정 예수님의 제자라면 어떻게 생각했을지를 우리로 하여금 도전하게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화전쟁 - 세상과 기독교의 문화 충돌 현장
칩 잉그램 지음, 황을호 옮김 / 생명의말씀사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쟁점. 뜨거운 감자. 이제 본격적으로 이 주제를 다루어야 할 때이다. 물론 이전에 이런 주제를 다루지 않았던 적은 없었다. 하지만 이제 본격적으로 이 질문 앞에 우리는 어떻게 서야할지를 고민하게 한다. 조용히 숨어 있을텐가, 아니면 진리를 선포할텐가? 도전한다. 이 책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행동하는 기도
셰인 클레어본 & 조너선 윌슨하트그로브 지음, 이지혜 옮김 / IVP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셰인 클레어본은 대통령 예수의 저자이기도 하다. 행동하는 기도는 교회 공동체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보여 준다. 수작이다. 많은 감동과 도전을 받았다. 교회의 본질이 무엇이며, 왜 교회가 실패할 수 밖에 없었는지를 적나라하게 보여 준다. 원래의 기독교가 어떠해야 하는지를 잘 보여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