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의 동행
미치 앨봄 지음, 이수경 옮김 / 살림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8년의 동행』

미치 앨봄이 보여주려 했던 것은 무엇일까?
그는 8년 동안 렙을 만났다. 렙이 숨을 거둘 때까지
렙은 유대인 지도자로서, 미치 앨봄이 어렸을 적에 다녔던 회당의 지도자였다.
렙은 앨봄에게 추도사를 부탁했고, 그렇게 해서 둘은 8년이란 시간을 보냈다.

추도사를 쓰는데 8년이 걸렸다?
8년 동안 가까운 동네에 있던 렙이 아니었음에도
그는 렙을 만나 삶을 나눴다. 그리고 추도사를 썼다.
그렇게까지 해서 추도사를 쓸 필요가 있었을까?
앨봄의 유년시절 다녔던 회당의 훌륭한 지도자!
그것이 추도사를 쓸 이유는 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면 왜 일까?

그것은 아마도
미치 앨봄이 사람 중심의 관계 지향적 됨됨이가 있어 그러지 않았을까.
전작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에서 보여주었듯이.
시간, 합리적인 것과 효율성, 성취 지향적인 것보다
사람과 사람사이의 그 자연스러운 관계에 중심을 두었기 때문에
우연히 마주친, 다시금 만날 수 있게 된, 렙과 8년을 함께 했을 것이다.
글의 담백한 맛으로는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보다 더 담백하고
일상의 내용들이 잔잔히 기록되어 있다.

그러면서 사람을 알아간다는 것은
그 사람의 삶의 고비를, 마지막을 지켜보면서, 그 사람을 기억하면서
추도사를 써내려 갈수 있다는 것은
담담히 함께 길을 걸어가는 것임을 보여준다.
그 누군가를 알아간다는 것은
그 누군가와 마음이 닿는다는 것은
어떠한 노력이나 애씀이 아니라, 자료를 검토하고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담백하게, 담담하게, 꾸미는 것이 아닌, 각색이 아닌,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가지고, 있는 그대로 나를 향해 기다리는 사람을
자연스레 만나는 것이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