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의 폭풍 이렌 네미롭스키 선집 2
이렌 네미롭스키 지음, 이상해 옮김 / 레모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6월이다.
이 책은 6월이 아닌 4월에 읽었다. 썩 많은 기대를 하지 않았는데, 의외로 재미있게 읽었다. 전쟁을 묘사한 책에 대해 재밌다고 표현하는 것은, 주저스럽지만, 아니 어쩌면 그래서는 안된다고 생각하지만, 여튼 소설로서는 흥미진진했다.
다시한번 확인하지만, 전쟁은 모두에게 불행이고 있어서는 안되는 일이다.
몇몇의 정치인들의 놀음에 거의 모든 이들이 삶의 중요한 부분을 잃어버리거나 놓치거나 파괴당한다.
지금, 남북이 서로 난리도 아니다.
이래서야 불안해서 살겠나...전철에서 지나친 60대 이상의 여인들은, 죽어도 집에서 죽어야지..어쩌고 하던데, 아마도 이런 남북의 긴장상황에서 비롯된 말이라는 걸, 알겠다.
죽는다는 말은, 함부로 하면 안되지.
죽는 것과 사는 것은 어쩌면 동일한 문장 속에 배치조차 할 수 없는 엄청나고 무지막지한 차이라는 사실을, 안다.
다시 목이 메어온다.
누군가의 삶이든, 그가 엮여있는 공간과 시간 속에서 얼마나 희귀한 존재인가.
누구의 생이든, 단 한번이라는 점에서, 함부로 다루어서는 안된다.
책을 읽은지 2달이 가까운 이 지점에서, 나는 다시 한번 생의 희귀성, 우연성을 생각한다.

전쟁이 시작되고 파리는, 빈다.
떠나는 사람들 제각각, 살아온 이력도, 직업도, 성격도, 상황을 인식하는 방식도 다르다.
그러나, 전쟁은, 그 모든 삶을 흐트려 놓았고, 누군가는 아예 이 세상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된다..그렇다 그것은 제거가 아니고 무엇인가, 원하지 않는 방식의 사라짐..원하지 않은 시점의 사라짐..내 의지와 상관없는 사라짐은 제거가 아니고 무엇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신의 꿈은 우연이 아니다 - 뇌가 설계하고 기억이 써내려가는 꿈의 과학
안토니오 자드라.로버트 스틱골드 지음, 장혜인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만난 건 행운이었다. 자신에 대해 알아가다 보면 필연적으로 마주하게 될 질문, 도대체 꿈은 뭐지? 꿈속의 나는 나인가?하는. 장자는 아니더라도 이런 질문은 나에겐 정체성의 문제다. 그런데 이 책은 나의 꿈이 무엇인지, 그것이 왜 현실과 다르고 기괴한지에 대해 알려준다. 멋지고 좋은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라진 것들
앤드루 포터 지음, 민은영 옮김 / 문학동네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고 나서, 잘 모르겠더라. 저자의 첫책 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은 제목에 이끌리어 샀다가 재미있게 읽었다. 여기 단편들은, 음 글쎄..뭐가 뭔지 모르겠다. 내가 잘 먹어보지 않은 음식맛이랄까? 맛을 느낄 수 없더라고. 내 입맛 탓이거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처럼 사소한 것들
클레어 키건 지음, 홍한별 옮김 / 다산책방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소. 나쁘진 않았으나 흥미롭지는 않았다. 이 책을 읽고 나니 차라리 전작인 맡겨진 아이가 내겐 더 낫다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창조적 유전자 - 풍요가 만들어낸 새로운 인간
에드윈 게일 지음, 노승영 옮김 / 문학동네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신이 어떤 존재인지 알고 싶은 여정에서 이 책은, 제법 그럴법한 지침이다.
너무 먼곳을 보고 있다는 생각도 들긴 하지만. 내가 왜 이렇게 생겨먹었고, 내가 왜 이런 음식을 먹고 내가 왜 이런 생각과 내가 왜 이런 몸을 하고 있는지, 너무 마이크로하게 들여다보는 건 아닌지 싶다.
가도, 이 책은 너무도 지적이고, 너무도 자기 성찰적이고, 너무도 섬세하게 인간을 이야기하니까..매혹되지 않을 수 없다.
게다가 이 작가는 왜이렇게 박식한거야? 의사이면서 이정도 되려면 얼마나 공부해야 하는거야?
우리나라에서 의사이면서 글을 이토록 잘 쓰는 사람은, 아직 못봤다..최근 떠오르는 정희원 교수 정도....도 그럭저럭 박식하다고 생각되긴 하는데, 교육체계의 문제인지, 사회문화적 풍토가 문제인건지, 그 사회의 지향이 문제인건지..도통 우리나라에서는 이런 과학자, 의사..를 만나기가 힘드네..내가 과문한 탓인지는 모르겠다만..
여튼..이 책은 지난 12월에 읽었지만, 이제서야 겨우 별점을 준다..시간도 없었고, 마음의 여유도 없었으니...
이렇게 살면 안되는데...모든 것이 과잉한 시대에, 오로지 시간만 과부족이라니....세세한 책의 내용이 다 기억나지는 않지만, 인상평이라도 남기기로 마음먹은 2024년이라...이정도로라도 나자신을 용서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