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스 플랑크 평전 - 근대인의 세상을 종식시키고 양자도약의 시대를 연 천재 물리학자
에른스트 페터 피셔 지음, 이미선 옮김 / 김영사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한 시민단체의 안보리서한 발송이 문제가 되고 있다.  

천안함사건과 관련하여 밝혀지지 않은 의혹을 규명하기 위해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조사단을 구성해 진실을 밝혀야 한다 뭐 이런 내용인 것 같다.  여기까진 뭐 충분히 그럴 수도 있을 법하다. 하도 이런 저런 말도 많은 사안이니 말이다. 무엇보다 평화가 걸린 문제이니 필사적이어야 할 충분한 이유가 있다. 나는 이 시민단체의 행위가, 평화를 위한 몸부림이라고 생각한다.

문제는 언론과 우리 사회 일부의 대응이었다. 

국격과 국익이란 단어가 쉴새없이 오르락거린다. 국가 망신이다라는 말도 서슴하지 않는다.  

마침 이때 나는 막스 플랑크 평전과 레마르크의 사랑할 때와 죽을 때를 읽었다.  

둘다 독일인이다. 이들은 모두 두고두고 독일사회의 컴플렉스가 된 나치의 광기와 나치시대 독일사회를 목도한 사람들이다. 

막스 플랑크는 양자시대를 연 현대 물리학의 시작이자 고전물리학의 마지막이라고 할 만한 인물이다. 평전류의 고리타분함을 예상하였지만, 책 소개란에 플랑크가 살았던 당시의 물리학 발전 정도며 세계적 현황을 알 수 있다고 하여 주저없이 샀다. 

평전이 줄 것이라 예상하였던 고리타분함과 어쩐지 한쪽으로 쏠림에 틀림없을 평가는, 그래도 어쩔 수 없으리라 여기며 단념하기로 하였다. 해서 그가 세개의 전쟁을 겪었고, 불행한 가족사를 가진 불운한 인물이었으나 정직하고 성실했던 학자였다는 주장에 오히려 감동하지 않았다. 아니 처음에는 시큰둥하였다...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이 남는 아련함은 무어지? 큰 아들이 베르덩 전쟁에서 전사하고, 두 딸이 출산하다 죽었다는 사실 그리고 세번째 아들 에어빈이 히틀러 암살과 연관되어 총살당한 사실을 어떻게 한 가족의 아버지로서 견뎌낼 수 있었을까? 한인간에게 벌어질 수 있는 비극은 그 총량이 얼마나 되어야 임계점에 도달하는 걸까? 

그는 아흔 여덟까지 살았다.  그 삶의 중심에는 늘 물리학이 있었다. 그는 이론가로서뿐 아니라 유능한 행정가로서, 다정한 스승으로서, 천재를 알아보는 혜안을 지닌 선각자로써 "독일 국민의 우수성"을 드높이 산 사람이었다. 나는 이 독일국민의 우수성에 따옴표를 한다. 그렇다. 내가 이 평전을 한 물리학자의 생애와 그가 기여한 업적으로만 보지 않아야 한다는 생각은, 이 점에서다. 

공교롭게도 나는 전쟁을 다룬 또 하나의 소설을 읽었다. 내가 개선문을 통해 경도된 레마르크의 소설이다. 엠비씨 주말의 영화에서 동명의 영화도 보았다.중학교 때 보았으니, 와우 십년도 더 넘었다. 하지만 그 마지막 장면은 아직도 남아있다. 역자는 후기에서 이 마지막 장면을 주인공이 끝까지 인간성을 잃지 않기 위해 한 행위로 풀이 하였다.  인간성....인간성....그건 무엇인가..... 우리가 인간이기 위해서는 어떠해야 하는가...우리가 지켜야 할 인간성의 경계는 어디인가...마치 정지장면처럼 그 마지막 장면은, 이제 해설까지 곁들여, 나의 기억속에 붙박히고 말았다. 

역자의 후기에 이런 대목도 있다. 원래 망명객이었던 레마르크가 영어로 먼저 책을 냈는데, 십 년인가가 흐르고 나서 독일사회에서 출간되었다. 헌데 출판사가 자기검열을 하여, 몇군데를 삭제하거나 수정하여 펴냈단다. 독일시민사회가 마비되어 올바른 이성을 발휘하지 못한 것에 대한 비판을 녹여낸 장면들과 야비하고 비인간적인 독일인을 주인공이 사살하던 장면을 정당방위로 슬쩍 고쳤다는 것이다. 물론 이번에 번역되어 나온 것은 원래의 작품이긴 하다. 

솔직하게 말하면, 전쟁소설은, 지루하다. 사람이 죽어가고 이념이 있고, 국가가 있고, 삶과 죽음이 있다. 오래된 전쟁을 이야기하는 것이, 어쩐지 구닥다리 같다. 전쟁의 기억이 너무 멀어서라기보다 평화를 실감하지 못해서인지도 모른다. 왜? 우리는 평화를 너무도 자연스런 원래의 조건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 아닐까? 자연상태, 원래 그러한 상태..애쓰지 않아도 누리고 있는 그 무엇... 하지만 지금 우리는 평화로운가?

 막스 플랑크가 독일 시민사회가 이성을 잃고 히틀러에 경도되었을 때, 그가 학문을 지키기 위해서 하였던 행위는, 과연 충분하였는가? 그는 인종주의에 저항하였는가? 아인쉬타인이 매도당할 때, 그는 적절히 방어해 주었던가? 

그는 일개 물리학자가 아니라, 독일의 자존심이었고, 독일 엘리트의 상징이 아니었던가? 히틀러와 독대까지 하였던 당대의 영웅이었던 그는 과연 충분히 히틀러에 저항했고, 미쳐가던 독일사회에 이성을 되돌리기 위해 무엇을 하였던가? 

솔직히 긍정적인 대답을 하기도 아니하기도 힘들다. 그를 비난할 수 있는 처지가 아니기 때문이다.그의 둘째 아들은 히틀러 암살에 연루되어 총살당했으니...   그가 상아탑의 연구실에 틀어박혀, 아직 존재가 밝혀지지도 않은 원자 세계에 몰두해 있었다고 하여도(실제로 그렇지 않았기도 하다).  시대를 비껴가는 개인은 없는 것인가? 그에게 있어서 "모든 업적은 절망의 행위"였던가?

이 마음을 짓누르는 것의 정체는 무엇일까?  

국가가 국익을 이유로, 국가가 제시한 것에는 어떤 의문도 제기하지 말라고 하는 이 때,    

국가의 주장과 다른 주장을 펼 때, 매국노라고 칭하는 이 때,   

나는 오래 전 본 영화-영광의 탈출, 주인공은 커크 더글라스. EBS의 세계의 명화인가 하는 프로그램에서 보았다-의 주인공이 한 말이 생각난다. 

"애국심은 깡패들이 기대는 마지막 피난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