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행
최윤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의 효용을 논한다는 것은 논외이긴 한데, 나는 오늘 그것에 대해 생각해 본다. 최윤은, 저기 한 점 소리없이 꽃잎이 지고라는 소설로 알게 되었고 하나코는 없다라는 작품과 회색 눈사람으로 기억나는 사람이다. 그 뒤에 내가 몇 편의 단편을 읽은 기억이 날 듯 말 듯하다.
그러다가 오랜만에 동행이라는 작품집을 냈다는 사실을, 아마도 알다딘 신간알림으로 알게 된 것같다.
나는 최근 다양한 단편집을 읽었다.
올해 목표는 읽은 것들에 대해 한구절이라도 후기를 남기는 것이었고, 약속을 했으므로, 적어도 작심삼일이라 할지라도 지키는 시늉을 해야 한다는 마음의 명령으로 몇 자라도 후기를 남기기로 마음 먹었으니, 그럴 수밖에..
여튼...최윤은 오래부터 알고 오던 작가라는 말을 이토록 길게, 어영부영, 그리고 별 임팩트 없게 하다니...ㅜ
꽃잎이라는 영화가 너무 강렬해서, 그리고 그 시절 우리를 숨죽이게 하던 시대의 분위기를 생각할 때, 그 영화를 보는 것만으로도 과감하고도 멋진 반항이었던.장선우 감독의 꽃잎, 문성근, 이정현의 그 신들린 연기...로 뇌리에 각인되어 있는데, 어느날 그것의 원작이 곧 최윤의 저기 한점 소리없이 꽃잎이 지고...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리고 읽게 되었다.
기억은 기억을 불러낸다. 그렇게 시작된 최윤...사회성 있는 작품으로 그 시절의 우리를 조마조마하게 , 눈물짓게 했던 작가.
그래서 기대가 되었다.
이제 기억의 시대가 된 그 시절 이후, 최윤은 어떤 것에 천착하고 있을까...
확실히 달라진 분위기, 소설가는 시대의 분위기를 누구보다도 민감하게 감지하고 나름의 해석을 내 놓는 부류가 아니던가
동행은, 그런 소설들의 모음이다. 지금 우리가 숨쉬는 시대의 분위기....를 무엇이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지를.....어렴풋이 느끼게 한다고나 할까..
제목이야말로 최윤의 이번 작품집에서 어디로 가고 있는지 무엇을 얘기하고 싶은지 가리키고 있는 것이 아닐까
하지만, 끝내고 나서..나는 나에게 묻는다.
도대체 이 뜬구름 잡는 듯한 나의 느낌은...무엇인지...그리고 나는 소설을 오랫동안 읽어오면서, 도대체 무엇을 하려고 했는가..그리고 앞으로도 계속될 소설읽기는 도대체 나에게 무엇일까...
인간은 왜 소설을 읽는 것일까?
우리 종의 어떤 것이 이와 같은 습성을 만들어 놓은 것일까..
나란 존재는 왜 소설을 읽고, 이렇게 맥락도 없고, 효용도 없는 끄적이기를 하는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