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서 살아야 하는가where to live 뿐만 아니라 어디를 사야 하는가where to buy까지 알려주는 실용 서적이다. 책의 마지막 장, 마지막 문단이 저자가 전하고자 하는 바를 말해준다. '대서울'(저자가 '수도권' 대신 사용하는 표현)에 살고 있다면 유용한 지침서가 될 것이고, '대서울'에 거주하지 않더라도 살(live/buy) 집을 찾고자 할 때 명심해야 할 점을 간결하게 알려주는 책이다. 외국에도 적용되지 않을까?


다른 부동산 관련 저작은 안 봐서 모른다. 개인적으로 이 책에 눈길이 간 이유는 인문학자인 저자가 경제 관련 실용서적을 냈다는 점 때문이다. 하지만 책을 읽으면서 눈에 띈 점 몇 가지를 나열하고자 한다. 구글맵과 국내 지도 어플의 차이, (짧게는 일제, 길게는 고려나 조선시대 까지 거슬러가는)행정의 연속성 혹은 행정의 관성, 해당 지역의 특징, 나아가 재해의 가능성까지도 내포하고 있는 '지명', 역세권이나 숲세권과 같은 단어가 현실을 가려버리는 지점(예컨대, 걸어서 5분 거리라는 역세권이 알고 보니 전력질주로 5분 달려야 하는 거리라는 식), 기획 부동산의 그럴듯한 마케팅 등이 있겠다. 책을 읽어보면 더 많지만 지금 나로서는 이 정도가 한계.


하지만, 역시 실제로 현장에 가보십시오. 자가용으로 휙 둘러보지 말고, 실제로 걸으면서 땅의 높낮이를 확인하십시오. 그곳의 공기에서 냄새도 맡아보십시오. 맑은 공기인지, 아니면 주변의 공장이나 축산단지에서 매연과 폐수가 흘러내리는지 확인하십시오. 그리고 직접 버스와 열차를 타보십시오. 자가용을 이용하지 않는 가족들이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어떤 불편함이 있을지, 또 본인이 자가용을 사용하지 않게 되었을 때 어떨지 확인해보십시오. 이 방법은 살 곳where to live을 찾을 때뿐 아니라, 살 곳where to buy을 찾을 때에도 참고가 되리라고 믿습니다. - P33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딱 한 가지 설명밖에 없어요. 이제 예전의 그이가 아니라는거예요. 어떤 여자가 꼭 쥐고 있는지 모르지만 그 여자 때문에완전히 달라진 거예요. 모르긴 몰라도 꽤 오래된 사이일 거예요」 - P52

「이혼은 절대 안 해요」 부인은 갑자기 거칠게 대답했다. 「그이에게 그렇게 전해 주세요. 그 여자와는 절대로 결혼 못 할 거라고요. 제 고집도 그이 못지않아요. 이혼은 절대로 안 할 거예요. 아이들 생각도 해야죠」 - P53

「나는 그림을 그려야 한다지 않소. 그리지 않고서는 못 배기겠단 말이오. 물에 빠진 사람에게 헤엄을 잘 치고 못 치고가 문제겠소? 우선 헤어나오는 게 중요하지. 그렇지 않으면 빠져 죽어요」 - P69

그의 영혼 깊숙한 곳에 어떤 창조의 본능같은 것이 있지 않았을까 생각해 보았다. 그 창조 본능은 그 동안 삶의 여러 정황 때문에 제대로 드러나지 않았지만 마치 암이 생체 조직 속에서 자라듯 걷잡을 수 없이 자라나서 마침내 존재 모두를 정복하여 급기야는 어쩔 수 없는 행동으로까지 몰아간것이 아니었을까. - P74

나는, 양심이란 인간 공동체가 자기 보존을 위해 진화시켜 온 규칙을 개인 안에서 지키는 마음속의 파수꾼이라고 본다. 양심은 우리가 공동체의 법을 깨뜨리지 않도록 감시하는, 우리 모두의 마음속에 있는 경찰관이다. 그것은 자아의 성채 한가운데 숨어 있는 스파이이다. 남의 칭찬을 바라는 마음이 너무 간절하고, 남의 비난을 두려워하는 마음이 너무 강하여 우리는 스스로 적(敵)을 문 안에 들여놓은 셈이다. 적은 자신의 주인인 사회의 이익을 위해 우리안에서 잠들지 않고 늘 감시하고 있다가, 우리에게 집단을 이탈하려는 욕망이 조금이라도 생기면 냉큼 달려들어 분쇄해 버리고 만다. 양심은 사회의 이익을 개인의 이익보다 앞에 두라고 강요한다. 그것이야말로 개인을 전체 집단에 묶어두는 단단한사슬이 된다. 그리하여 인간은 스스로 제 이익보다 더 중요하다고 받아들인 집단의 이익을 따르게 됨으로써, 주인에게 매인 노예가 되는 것이다. 그러고는 그를 높은 자리에 앉히고, 급기야는 왕이 매로 어깨를 때릴 때마다 아양을 떠는 신하처럼 자신의 민감한 양심을 자랑스럽게 여긴다. 그리고 양심의 지배를 인정하지 않는 사람에게는 온갖 독설을 퍼붓는다. 왜냐하면 사회의 일원이 된 사람은 그런 사람 앞에서는 무력할 수밖에 없음을너무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 P77

그가 무엇인가에 홀린 사람 같다는 인상을 이번에는 더 강하게 받았다. 제정신이 아닌것 같았다. 그림을 보여주지 않으려는 것은 자기 그림에 별 관심이 없기 때문인 것처럼 느껴졌다. 그는 꿈속에서 살고 있었고, 현실은 그에게 아무런 의미도 없었다. 오직 마음의 눈에 보이는 것만을 붙잡으려는 일념에 다른 것은 다 잊고, 온 힘을 다해 자신의 격렬한 개성을 캔버스에 쏟아붓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 P109

「난 과거를 생각지 않소. 중요한 것은 영원한 현재뿐이지」 - P112

방 안은 캄캄했다. 천장이 경사진 지붕 밑 다락방이라는 것만을 겨우 알아볼 수 있었다. 어슴푸레한 빛이, 아니 빛이라기보다 덜 짙은 어둠이, 채광창으로 흘러들고 있었다. - P1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기야 나도 이제 한물 간 사람일지 모른다. 그래도 나는 계속해서 2행 압운의 교훈시를 쓰겠다. 내가 나 자신의 즐거움 아닌 어떤 것을 위해글을 쓴다면 정말 세상에 둘도 없는 바보가 아니겠는가. - P19

하기야 수많은 부부들이 다 이런 식으로 산다. 이런 유형의 삶의 방식에는 소박한 아름다움이 있다. 이런 삶은, 잔잔한 냇물이 푸른 초원의 아름다운 나무 그늘 밑으로 굽이굽이 흘러가 이윽고 드넓은 바다로 흘러드는 모습을 연상시킨다. 그런데 그 바다는 너무 평온하고, 너무 조용하고, 너무 초연하여 불현듯 알 수 없는 불안감을 불러일으킨다. - P3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 서울시장과 세계관을 공유하는 경기도 모 도시의 시장과 이야기를 나눌 기회가 있었습니다. 그 시장은 전 시장이 재건축지역에 35층이 넘는 건물을 허가했다며, "끔찍하다"고 말했습니다. 자기 도시가 홍콩·싱가포르처럼 될까 봐 공포스럽다는 것이었습니다. 이 말을 듣고 저는 전 서울시장의 35층 층고제한 원칙이 그 한사람만의 것이 아니라 그가 속한 세대의 정치인들이 공유하고 있는 세계관에 입각한 것 같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이런 세계관을, 서울·경기도 같은 대도시의 성장을 멈추어야 인간다움을 되찾을 수있다고 믿는 어떤 세대의 정념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짐작합니다. - P282

하지만, 역시 실제로 현장에 가보십시오. 자가용으로 휙 둘러보지말고, 실제로 걸으면서 땅의 높낮이를 확인하십시오. 그곳의 공기에서 냄새도 맡아보십시오. 맑은 공기인지, 아니면 주변의 공장이나 축산단지에서 매연과 폐수가 흘러내리는지 확인하십시오. 그리고 직접 버스와 열차를 타보십시오. 자가용을 이용하지 않는 가족들이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어떤 불편함이 있을지, 또 본인이 자가용을 사용하지 않게 되었을 때 어떨지 확인해보십시오. 이 방법은 살 곳where tolive을 찾을 때뿐 아니라, 살 곳where to buy을 찾을 때에도 참고가 되리라고 믿습니다. - P33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옛날에 사람들은 생각하는 기능을 기계에게 넘겼다. 그러면 자기들이 자유로워질 거라는 희망을 품고 말이야. 하지만 그건 기계를 가진 다른 사람들이 그들을 노예로 삼는 결과를 낳았을뿐이다」 - P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