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구석들 창비세계문학 88
에밀 졸라 지음, 임희근 옮김 / 창비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녁이 되자 벌써 입씨름이 시작되었다. 가족들은 재앙에 봉착해 있었다. 바브르 영감은 왕년의 공증인들이 왕와 그렇듯 성격이 회의적이고 데면데면해서 그런 것인지 유언장을 남겨놓지 않았다.(...)"/343쪽


원제목도 '집구석들' 인지는 모르겠다. ~집구석이란 표현은 왠지 우리나라에서만 통용되는 의미일 것 같아서. 제목에서 부터 얼마나 시끄러운 소설일지 가늠되는 바, 굳이 읽어볼 필요가..있나 싶었는데, <루공가의 치부>를 읽으면서, 다시 졸라선생의 소설을 한 권씩 읽어보고 싶어졌다.예전에 뜨문뜨문 읽었음에도, '집구석들' 속 인물들이 다른 이야기 속 인물들과 오버랩되는 느낌을 떠올리는 순간들도 재미난 지점이었다. 집집마다 시끄럽다. 21세기에도 여전히 마주하고 있는 현실들. 그런데 굳이 시끄러운 이야기를 평면적으로 그려 놓을 생각이라면 소설로 쓸 생각도 하지 않았을터.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 순간 내 눈에 들어온 건 '위선' 이었다. 조스랑부인처럼 눈에 띄게 보이는 위선부터, 남들이 눈치 챌 수 없을 바브랑 영감의 위선까지.. <집구석들> 을 읽는 내내 가장 재미난 장면이었다. 그가 남겨 놓지 않았을(아니 남겨 놓지 못한) 유언장..에 대해 나는 차마 거기..까지 생각지 못했던 모양이다.그래서 그의 위선을 눈치채지 못했다며 미묘한 변명을 하고 있다.


"서로 합의한 적도 없는데 사람들은 공동의 묵계로 오귀스뜨와 베르뜨 사이의 말썽은 1만 프랑 때문에 생긴 단순한 금전 문제의 싸움이라고 못 박아버렸다. 그래야 훨씬 더 깨끗하니까.(..)"/532쪽


패악에 가까운 조스랑 부인을 가장 많이 미워했던 것 같은데, 역설적이게도 그녀가 가장 덜(?) 위선적이었던 사람이었나 생각하니 씁쓸한 웃음이 났다. 덜 위선적으로 살려고 애쓴 조스랑이 측은하면서도 답답했던 이유인데, 사회가,어느만큼의 가면을 쓰지 않으면 살아갈 수 없는 세상으로 몰아 넣었기 때문은 아닌가...싶다. 위선을 두르지 않는 순간, 그는 깨끗하고 정직한 사람이 아니라, 수많은 문제적 인간으로 낙인 찍힐 것이 분명하니깐...위선을 강요하는 사회는 위험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또 발자끄 소설을 갖다 안기시는군요" 그가 새로 빌려주는 책들을 들여다보며 그녀가 말을 이었다. "싫어요. 이 책 도로 가져가세요.이건 실제 사는 얘기하고 너무 비슷해요"/329쪽


(어느 순간 부터 발자크의 '고리오영감'을 다시 읽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발자크 이름이 언급되는 순간, '고리오영감' 일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특히 딸의 행복을 바라는 조스랑..과 고리오영감이 떠올라서인 듯 하다. 세세하게 기억나지 않으면서도, 기억의 오류일수도 있을 테고, 십년 주기로..다시 읽는 것도 재미난 읽기가 될 듯 하고. 졸라의 <집구석들>과 다른 듯 닮은 점 찾아 가며 읽는 즐거움도 있지 않을까 싶다.


"(...) 식당의 작은 등잔 앞에 혼자 남게 되자 이 무던한 영감은 울음을 터뜨렸다.끝났어.이제 행복이란 건 없어. 밤에 몰래 딸을 도와줄 수 있을 만큼 종이띠에 글씨 쓸 시간은 절대로 나지 않을 거야(...)"/36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윤작가의 소설을 재미나게 읽은 터라 에세이를 찜해 놓았다. 그런데 또 한 권의 책이 보여서 반갑다..고 생각한 순간 첫에세이라는 설명에 이상하다 생각했더니.. 안보윤작가의 에세이였다.<세상 모든 곳의 전수미>를 인상깊게 읽은 터라, 이 책도 찜.. 이래저래 '이름'과 인연이 깊은 작가인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밤에 왈츠를 추는 퍽 낭만적인 그림이구나,라는 생각을 하며 애정하는 그림이라 당당히 말해왔었는데, 나는 그림 속 장면을 그동안 자세히 들여다 보질 않았다는 사실을 알았다.










"그런데 <여름밤> 속 춤추는 두 사람, 자세히 보면 뜻밖이다.남녀로 보이는데 실은 두 사람 모두 여자다. 그 탓에 <여름밤>이 1891년 뉴욕의 한 갤러리에 처음 전시됐을 때 부도덕에 대한 비난이 거셌다./169쪽  두 여자가 춤을 함께 추고 있다는 이유만으로도 부도덕이라는 시선을 받던 시절이 있었다는 사실이 놀라운 것이 아니라, 지금까지 커플이 낭만적으로 바다에서 춤을 추는 것으로 오독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더 충격적이다. 그러고 보니, 그림자 처리된 사람들이, 커플의 춤을 외면하고 싶었던 거였을까..라는 궁금증이 일었다.훗날 프랑스에서 <여름밤>이 상을 받았다는 사실은 놀랍지 않다.


"그런데 아무리 일이 허락칠 않고 할 일이 축적돼 있어도 살면서 누구에게나 <여름밤>에서처럼 달빛 환한 밤바다 해변에서 두 여인처럼 춤을 춘 낭만적인 추억쯤 있어야 하지 않을까.그러려면 미리미리 왈츠 같은 춤부터 배워 둬야 하려나.몸치인 몸이 쉽게 허락칠 않고  나이가 무겁게 자꾸 축적되어 가도"/174쪽










<여름밤>에 관한 시인의 단상을 읽다가, 나는 <왈츠는 나와 함께>를 읽어 보고 싶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도..

같은 이유로 오랫동안 뒤피 그림에 관심을 두지 않았었는데, 뒤피 덕분(?)에 융의 멋진 말까지 보너스로 마주한 기분(이) 좋다..^^

고통과 불안과 슬픔이 깃들지 않은 예술가나 작품은 신뢰하지 않았던 나였지만 ‘기쁨의 화가‘ ‘바캉스 화가‘인 뒤피의 지중해 축제에는 진정한 희열과 열광으로 기꺼이 동참하고 싶어졌다. 문득 ‘기쁨을 느끼는 것은 감사함의 가장 단순한 표현‘이라는 카를 구스파프 융의 말도 떠올랐다"/2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