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겨진 이름들 - 제3회 박상륭상 수상작
안윤 지음 / 문학동네 / 2022년 11월
평점 :
"산다는 건 참 곤란한 노릇이지 뭐예요"/60쪽
굳이 누군가 말해주지 않아도 산다는 것이 고통이란 사실은 알고 있다.그런데 부러 힘겨운 소설을 나는 왜 찾아 읽게 되는 걸까...<남겨진 이름들> 덕분에 그 사실(?)을 알았다. 발견해 낸 것처럼 기쁨이 느껴져서, 앞으로도 계속 찾아 읽을 생각이다. 현실에서 마주한 고통은 힘겹지만, 이야기 속 고통은 단단하다. 그 고통을 어떤 식으로든 극복하는 과정을 지켜보는 것으로,위로가 되기 때문이다. 결국 고통은 끝난다.물론 해피앤딩은 아닐수도 있다. 너무 당연하다. 어차피 우리가 마지막으로 마주하게 될 앤딩은 '죽음'이니까. <남겨진 이름들>을 따라가면서 순간 순간 울컥해질 수 밖에 없었다. 그런데 그 슬픔의 깊이가,마냥 우울한 블루가 아니어서, 좋았다. 상실과 이별을 마주할 때마다 무너지기만 할 수 없을 테니까.
"모두는 우리가 정확히 어디에서 왔는지 어디로 떠나게 되는지도 알지 못하지 언젠가 내가 너를 아니면 네가 나를 떠나게 될지도 모른다,라고 우리 인간은 떠나기 위해 살고 있는 거라고도 했다"/204쪽
김광석 노래를 듣다가 울컥했던 건, 우리가 매일 죽음으로 향한다는 사실이 뭔가 피부에 확 와닿는 순간이 있을 때이다. 다행인건 매일 그 생각 속에 함몰되지 않아서라고 해야 할까.. 누군가의 일기를 엮어낸 듯한 형식으로 써내려간 글이라,누군가의 회고록을 읽은 기분이 들었다..소설이란 느낌이 들지 않았다는 뜻이다. 해서 죽음과 상실에 관한 이야기를 읽으면서도 현재의 집중하는 삶에 대해 생각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살아가는 일은 죽음과 삶의 밀도 당기기 같은 것, 나는 죽는다. 우리는 모두 죽는다. 사라질 것이 예정되어 있다.때문에 우리에게는 이 삶을 선명하게 해줄 무엇,살아 있음을 느끼게 해줄 무엇이 절실하다"/20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