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에밀 졸라의 책을 읽는다. <패주>를 선물로 받아 놓고도 아직이지만, 빛소굴 출판사의 책들은 따근따근한 신간으로 만나고 싶어진다.게다가 에밀 졸라의 단편집이란 것도 읽고 싶은 마음을 불러왔다. 조금 투박한 제목이라 생각했다.표지를 장식한 이미지는 지나치게 올드한 것도 같고, 동시에 현대적인 것 같은 기분도 들었다. 오랜 만에 에밀 졸라를 만난다는 설레임이 이런저런 기분이 들게 한 것 같다.그런데 어쩌면 책을 펼치고 만나게 될 전혀 다른 기분과 마주할 것 같은 기분이 들어 이렇게 엉뚱한 상상을 하게 된 건지도 모르겠다.


정말 방앗간이 공격(?)을 받았다. 거기 놓여 있는 방앗간도, 그곳에 인생을 쏟았던 메를리에 영감도, 앞으로 행복한 삶을 꿈꿨던 프랑수아즈의 인생도 전쟁 앞에 처참히 짓밟혔다.여전히 지구 곳곳에서 전쟁이 멈추질 않고 있다.누구를 위한 전쟁인지 도통 알 수..가 없다. 아니 누구를 위한 전쟁인지 알 수 있는 싸움도 있긴 하다. 그래서 더 참담하고 답답해서 뉴스 보는 것 조차 힘들기도 하다. '방앗간 공격'은 아주 짧은 단편임에도 불구하고,전쟁에 대한 메세지가 분명하게 담겨 있었다.


"헛간 아래에서 프랑수아즈는 도미니크의 시체 옆에 앉아 꼼짝하지 않았다.메를리에 영감은 조금 전에 유탄에 맞아 목숨을 잃었다.프로이센 병사들이 전멸하고 방앗간이 불타고 있을 때 프랑스 대위가 맨 먼저 마당으로 들어왔다.전쟁에 뛰어든 이후 그가 거둔 유일한 승전이었다.(...) 연기가 자욱한 방앗간의 페허 속에서 남편의 시체와 아버지의 시체 사이에서 얼이 빠진 프랑수아즈를 보았을 때 대위는 칼을 들고 정중하게 경례하며 이렇게 소리쳤다. "승리! 승리!" "/51쪽 올해는 <패주>도 읽어봐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장 가깝게는, 영화 '나이애드의 다섯번째 파도'에 에서 저와 같은 상황을 마주한 듯 하다. 그녀의 삶이 몹시도 우울한 이유들이 시시콜콜 나열되지 않았지만, 메리 올리버의 시를 읽다가 문득..그녀는 젊은 날 실패했던 수영횡단에 도전하고 싶어한다. 책이 마법을 부린 순간인지도..어쩌면^^


책이야말로 인간이 마법을 부릴 수 있는 존재임을 증명한다/69쪽 ‘7편 되찾은 시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페 입구에 눈이 예술(?)처럼 쌓여 있다고 느끼게 된 건 자연(?)스럽게 모딜리아니가 떠올라서였다. 그런데 더 솔직한 마음이라면, 아무 표정도 읽어낼 수 없는 사물에서 수많은 표정을 그려낼 수도 있을 것 같아..지인에게 톡을 보냈더랬다. 워낙 엉뚱한 사진을 많이 보낸 이력(?)탓에 대뜸, 저 사진을 찍은 의도를 묻는다. 사진을 찍을 때의 마음을 그대로 톡으로 보냈고, 모딜리아니 사진을 찾아본 지인.그보다 마음 가는 대로 표정을 그려 보기를 바라는 마음도 알겠다고 했다. 그렇게 우리의 대화는 거기서 끝나게 될 줄 알았다.(언제나 그렇듯^^)  챙겨 간 책을 카페서 펼쳐 보는 순간 살짝 신기했다.아마 이럴때 도파민이 조금은 더 과하게 분비 될 수도 있지 않을까?


<마티스 스릴러>라는 책이다. 마티스 그림에서 어떤 영감(?)을 얻어 이야기를 만들어낸 책인듯 해서 호기심이 발동했다. 마티스와 스릴러(?)가 어울린다고 생각해 보지 않아서 일수도 있겠다. 책을 펼치자마자 보인 건 '피아노 레슨' 그림. 마티스 그림 중에 자주 보지 못했던 그림인 것도 반가웠는데, 아무 표정 없는 여인의 모습이,지인에게 사진을 보낸 이미지와 나도 모르게 오버랩되는 기쁨... 모딜리아니를 연상했으나, 마티스가 기다린 것도, 아무 표정 없는 모습을 상상(?) 했던 대로,마티스 그림에서 다시 마주한 기분이라니...이런 마음도 살짝 스릴러 장르의 에피소드를 담길 수 있겠다 생각하니 피식 웃음이 났다. 소설은 섬뜩함 그 자체였다.


 엄마가 살해되었다는 설정 부터가 섬뜩하다. 그런데 살인을 저지르게 된 이유가 마티스 그림에서 기인했다는 설정은 더 섬뜩하다. 마티스 선생이 몹시도 불쾌해 할 수도 있지 않을까 싶을 만큼, 그런데 '피아노 레슨'이란 그림을 놓고 이야기를 쓰게 된 이유에는 마티스가 피아노 치는 걸 싫어했고,그런 이유에 엄마가 감시했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는 것을 감안했다면, 저 그림은 분명 행복(?)하게 그려진 그림이 아니었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이런 설명을 알지 못해도, 표정을 읽어낼 수 없는 여인의 얼굴과, 아이의 표정 그리고 그림의 제목에서..즐거운 수업은 아니라는 건 알 수 있다. 그리고 작가는 그림에 더 큰 마법(?)을 걸었다. 그림 속 소년이 고통으로 일그러진 마음이..그림을 바라보는 이에게 더 큰 고통의 소리로 전해지게 되었다는 설정..소설이니까 가능한 이야기가 아니라서 더 섬뜩했고,담담한 문체가 더 서늘함으로 다가왔다. 긴장감을 전혀 느낄수 없는 글에서 섬뜩함이 전해지는 건 뉴스를 통해 저와 같은 사건을 너무 많이 보아온 탓일게다.화룡점정은 앤딩이다. 그래서 어떻게 끝을 낼 것인가..마티스의 저주는 계속된다.(마티스 선생은 의도하지 않았겠지만)아니 계속 될 수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끔 책장정리(?)가 필요한 이유다. 아무리 찾아도 보이지 않던 로맹가리의 책 두 권이 나타났다. 아무리 찾아도 보이지 않던 책들이...책장 정리 하는 마음을 알았던 것인지 고맙게도 짠..하고 나타났다.읽으라는 뜻 같아,3월은 로맹가리의 잃어버렸던 시간...을 다시 음미하며 읽어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간여행 보다 더 어려운(?) 현실에 놓여 있는 문제에 대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