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의 풍경 - 잃어버린 헌법을 위한 변론
김두식 지음 / 교양인 / 2004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이런 분야의 책을 읽게 될 줄이야. 인터넷은 정말이지 정보의 바다다. 60여개의 별 다섯개의 장문과 현학적인 말 일색의 서평들을 보고 신세계를 접한다는 희열을 느끼고는 그 자리에서 주문했고, 어렵고 재미없을 것 같았지만 내가 얼마나 잘 읽어 낼 수 있을까 하는 기대감도 컸다. 그런데 생각보다  친절한 문체, 쉬운 내용이라 세 시간만에 읽었다. 하지만 쉬운 내용이라 해서 가벼이 다룰 주제들은 아니었다. 뻔한 얘기들이었지만 곱씹어야 할 내용이었고 명심해야 할 내용들이었다.

다른이들은 이 책을 평가함에 있어서 그 내용의 신선함이나 책의 가치를 논하겠으나 나는 우선 법 쪽으로의 입문에 도움을 주어서 좋았다는 말을 하고 싶다. 뼛속까지 이과이고 이러한 분야에 관련도 없을 뿐더러 관심조차 없으므로 전혀 법에 관해 아는 바가 없었는데, 쉬운 문체와 친절한 설명들은 법에 대해, 그리고 법조인과 법치국가의 현실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당연한 듯이 서술하는 현실들조차 나에게는 다 새로운 사실이라 읽는 내내 정신을 바짝 차려야 했지만 말이다.

끝으로 이 책을 통해서 가지를쳐 알게 된 여러 책들, 영화들 역시 기대가 되는 바이며 힘 닿는 대로 구해서 읽어보겠다 다짐해본다.

아. 책벌레며 헌법의 풍경이며, 그 책을 선택하며 읽는 데까지 고민의 시간이 있었다. 책벌레는 수많은 비판적인 서평들이 있었고, 헌법의풍경은 내가 읽기엔 어려운 주제니 재고해보란 친구의 말이었다. 하지만 읽고싶다는 욕구(...)로 결국 구입해마지않았는데, 두 권 다 만족스럽게 읽었다. 결국 책을 소화하는 것은 독자이며 선택 또한 그의 몫이라는 테제를 실감할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벌레
클라스 후이징 지음, 박민수 옮김 / 문학동네 / 2002년 1월
평점 :
품절


책을 이렇게까지 좋아하는 사람들이 있구나, 새로운 세계다. 책벌레 혹은 장서광에 관한 책이 이 외에도 이전에 여러 권이 있었다고는 했지만 이 책을 통해 처음으로 그러한 사람들에 대해 접하게 되었다. 알라딘을 돌아다니다 보면 나따위 하찮은 사람과는 비교되는, 서재지수가 234789576348563847점이고ㅋㅋ 리뷰나 리스트, 페이퍼 수가 2479479개에 달하는 사람들을 보게 되는데, 도대체 이 사람들은 알라딘을 얼마나 오래한건지, 그리고 평소에 책을 얼마나 읽어대는지 놀라움을 금치 못한다. 책벌레에 나오는 이 티니우스와 팔크 역시 그러한 사람들- 그리고 거기에서 정도를 조금 넘어선 사람들-일텐데, 그 사람들이 보기에는 이 책이, 책을 창녀와 비교한다거나 해서 또는 진부한 소재라서 식상했다, 별로였다 이렇게 보이겠지만 나에게는 충분히 새로웠고 재미있었다는 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타적 유전자
매트 리들리 지음, 신좌섭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0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80여페이지의 책이란 것이 한 사람의 사고체계를 이렇게 바꿀 수 있다니. 뭔가 세상을 보는 깨끗한 창이 생긴 기분이다.

그리고 이 책으로부터 범위를 넓혀가 읽을 수 있는 책도 읽어 볼 계획이다.

제목 보고 생물학 관련 책이겠거니, 그에 관련된 이론을 나열하고 설명하는 식으로 전개되겠거니 했는데 사회 경제 역사 문화에 대한 이야기도 많이 나온다. 그에 관한 배경지식은 없지만 저널 읽듯이 재미있게 읽혔다. 여튼 간만에, 말그대로 재미있고 유익한 독서엿다규!! ㅋ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리대왕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9
윌리엄 골딩 지음, 유종호 옮김 / 민음사 / 200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는 내내 긴장했다. 조금 무섭기도 했다. 지성, 법은 얼마나 가치로운 것인가ㅡ, 생존 앞에 얼마나 허무한, 또는 사치스러운 개념인가. 사실 나도 잭을 지지하고 있었다. 잃어버린 순결이라ㅡ 사실 나도 이미 많은것을 잃었지 뭐.

암퇘지를 죽이는 장면이 성교를 연상시킨다는것은 전혀 몰랐다. 오이디푸스의 <혼야>의 끔찍한 패러디라는데 그러한 배경지식이 없으니 공감할 수가 있나. 여러모로 소설을 더 많이 읽어야겟다는 생각을 하게 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파리의 기억 - 초파리 연구를 통해 추적한 행동유전학의 비밀
조너던 와이너 지음, 조경희 옮김, 최재천 감수 / 이끌리오 / 2007년 4월
평점 :
품절


세상에 별별 희안한 사람이 다 있다지만 시모어 벤저는 내 상상을 초월한 사람이더라. 그를 비롯한 다른 과학자들도 너무나 재미있는 사람들이었다. 과학관련 서적 읽으면서 순수히 유머때문에 웃는건 오랜만이었다. 신선한 책이다.

흥미로웠던 점이 있다면 사람들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는 책이라는 매체. 시모어벤저는 애로우스미스를 읽고 과학자로서의 길을 결심하면서 삶의 방향을 설정하고- 필체라든가, 연애도 책의 영향을 받거나 닮아간다- 어떠한 과학자는 이중나선을 읽고 분자생물학으로 입문하게 되고, 또 두뇌장치를 읽고 행동학으로 옮겨가게 되는 등, 역시 책은 종이에 적인 텍스트 이상의 그 무엇이구나 하는생각이 든다.

그리고 .... 시詩문학을 사랑하는 사람으로서 제발 물리학을 주제로 시를 안써줬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ㅋㅋㅋㅋㅋ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