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바이어던, 자유와 맞바꾼 절대 권력의 유혹 ㅣ 청소년 철학창고 18
토마스 홉스 지음, 하승우 옮김 / 풀빛 / 2007년 6월
평점 :
다 읽지는 않았지만 개괄적인 논지는 확인했고 더 읽을 생각도 없으므로 그냥 여기서 글을 써본다. 먼저 루소를 읽고 리바이어던을 읽어서 그런지 수많은 허점이 보였으며 결론 또한 못마땅했다. 내가 몸담고 있는 사회가 민주주의를 표방하는 정치 형태를 띠고 있어서 그 거부감이 더 심한지도 모르겠다.
일단, 너무 억지스러운 부분이 많았다. 좋게 말하면 너무 관념적이고 이상적이라고 말할 수 있겠지만, 그리;고 논지를 전개하는데 사용된 근거들은 설득력이 있었꼬 비판을 피해가기 위한 서술들도 설득적이었으나 결론이 '그래서는 안될 것'이라 거부감이 드는 것은 어쩔 수 없다. 해제에서, 현대사회에서 리바이어던이 갖는 의미를 논하며 이 사상의 가치를 이야기하지만 수많은 혼란이 있더라도 최고의 정치형태는 군주제도 귀족정치도 아닌 민주주의라고 나는 생각한다.
홉스는, 생애 동안 수많은 비판과 모욕을 받았고 그것은 죽어서도 계속되었다. 그의 견해에도 긍정적인 측면이 있음은 사실이나 그의 삶이 수많은 비난들로부터 빗겨나가기는 힘들었떤 것은 사실이다. 하나의 사상을 제창한다는 것이 그만큼 어렵고 책임을 요하는 일임을 새삼 깨달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