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일즈 저택의 죽음 애거서 크리스티 미스터리 Agatha Christie Mystery 7
애거서 크리스티 지음, 이가형 옮김 / 해문출판사 / 199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추리소설은 하나의 퍼즐 맞추기다. 머리좋은 사람들만의 전유물이라고 여겨지기도 한다. 나도 한때는 온갖 근거들을 다 떠올려가며 범인을 추론해가며 읽은 적이 있었지만ㅡ 요즘엔 그냥 빨리 결말이 보고싶기도 하고, 잘 읽어낼 자신도 없고 그저 가장 멍청한 축에 서서 작가가 이끄는대로 따라가는데 익숙해져버렸다. 그래도 재밌다뭐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로운 과학과 문명의 전환 - 개정판
프리초프 카프라 지음, 구윤서.이성범 옮김 / 범양사 / 200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친구가, 자기네 학교 수업 교재인데 자기에게는 참 어려웠다는 말과 함께 빌려준 책이다. 부담감과 함께 책장을 넘기기 시작했는데 생각외로 문체는 쉬웠다. 하지만 그 내용은 심오했고 많은 생각을 하게 했다. 대학교재로 선정된 책답게 수많은 예시와 진부한 표현, 평이한 문체로 교과서 답다는 말이 절로 나온다. 좋은 책이네. 빌려읽을 것이 아니라 나도 이 책을 사야겠어 하는 생각으로 알라딘에 들어왔는데 이만칠천원이라니, 욕심을 조금 버려야겠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명이란 무엇인가.정신과 물질 궁리하는 과학 4
에르빈 슈뢰딩거 지음, 전대호 옮김 / 궁리 / 2007년 7월
평점 :
품절


 

책을 읽으며 줄곧 경탄을 금치 못했다. 물리와 화학, 그리고 생물학 사이의 경계, 과학과 비과학의 경계를 부드럽게 이어준다. 물질과 생명, 물질과 정신에 관해 논하는데, 예전부터 관심있었던 주제였다. 요즘 책값이 너무 비싸다고 불평이 많아지고 있었는데 이 책이라면 십만원을 주고 사도 아깝지 않을 듯하다. 책이라는 것이, 종이 위의 텍스트 몇 줄이 다가 아님을 새삼  깨달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리바이어던, 자유와 맞바꾼 절대 권력의 유혹 청소년 철학창고 18
토마스 홉스 지음, 하승우 옮김 / 풀빛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 읽지는 않았지만 개괄적인 논지는 확인했고 더 읽을 생각도 없으므로 그냥 여기서 글을 써본다. 먼저 루소를 읽고 리바이어던을 읽어서 그런지 수많은 허점이 보였으며 결론 또한 못마땅했다. 내가 몸담고 있는 사회가 민주주의를 표방하는 정치 형태를 띠고 있어서 그 거부감이 더 심한지도 모르겠다.

일단, 너무 억지스러운 부분이 많았다. 좋게 말하면 너무 관념적이고 이상적이라고 말할 수 있겠지만, 그리;고 논지를 전개하는데 사용된 근거들은 설득력이 있었꼬 비판을 피해가기 위한 서술들도 설득적이었으나 결론이 '그래서는 안될 것'이라 거부감이 드는 것은 어쩔 수 없다. 해제에서, 현대사회에서 리바이어던이 갖는 의미를 논하며 이 사상의 가치를 이야기하지만 수많은 혼란이 있더라도 최고의 정치형태는 군주제도 귀족정치도 아닌 민주주의라고 나는 생각한다.

홉스는, 생애 동안 수많은 비판과 모욕을 받았고 그것은 죽어서도 계속되었다. 그의 견해에도 긍정적인 측면이 있음은 사실이나 그의 삶이 수많은 비난들로부터 빗겨나가기는 힘들었떤 것은 사실이다. 하나의 사상을 제창한다는 것이 그만큼 어렵고 책임을 요하는 일임을 새삼 깨달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간 불평등 기원론 책세상문고 고전의세계 27
장 자크 루소 지음, 주경복 옮김 / 책세상 / 2003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유래없이 가장 많은 밑줄을 그은 책인 듯하다. 논문에다가, 제네바 국민에게 바치는 글을 붙여 출판한 책이라고 하니 그럴 만도 하지. 페이지마다, 아니 문장 하나하나마다 새로운 지식의 연속이었다.

태초에 순수했으며 괴로움도 없었던 인간이 어떻게 해서 현대의 불평등에 기초한 사회를 이룩하였는가ㅡ 루소의 과잉 일반화 혹은 지나친 상상력을 기반으로 한 논리전개라고 생각되는 부분도 종종 보였으나 대체적으로 매끄럽고 수긍 가는 전개였다.

루소의 반대 입장에서 논리를 펼쳤던 토머스 홉스의 리바이어던 또한 읽어보려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