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신주의 감정수업 - 스피노자와 함께 배우는 인간의 48가지 얼굴
강신주 지음 / 민음사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기 전에,

동양 철학을 내다가, 당당한 인문학을 내고, 다상담을 내면서

자꾸 제자리를 벗어나는 강신주가 웬 '감정 수업'? 이랬다.

그래서 곰곰 생각했다.

 

아마도...

그가 '철학자의 연구실' 속의 철학을 벗어던지고,

길거리의 철학자, 무려 철학 박사가 되고자 했을 때,

이 나라 백성들의 꼬라지를 무츠름히 바라보았을 터,

아직도 이 나라 백성들은 조선의 '성리학'과 근대의 '노동자' 사이에서

자신의 청춘을 꽃답게 죽이고 사는 것을 발견하고,

그 삶에 불을 지피기 위해서는,

감정의 소중함을, 그 가치를 깨닫게 하고,

그러려면 강의가 필요하다. 이런 생각을 했을 거라고 예상하면서 읽었다.

 

책을 읽으면서,

우와, 이 남자, 뭔 소설을 이렇게 많이 읽었냐?

도대체 어떻게 이렇게 많은 소설들을 끌어들일 수가 있었나? 를 궁금해했는데, 그건 에필로그에서 밝혀진다. ㅋ~

 

이 책을 읽고 나서,

강신주가 더~더~~ 더~~~ 사랑스러워진다.

정말 우리 곁에 있어야 하는 무려 철학 박사이자 인문학자다.

 

'화'가 가장 많은 나라인 이유는,

아직도 '노동시간 최장국'과 상통한다.

그리고 노사 관계 역시 조선 시대의 성리학적 수직질서에 버금간다.

군사부일체란 말이 있었다면, 요즘엔 '스승 사 師'를 버리고 '사장님 사 社'인 모양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강신주에게 사랑을 보내며,

스피노자에게 경탄과 시기심을 느꼈다.

그리고 도대체 스피노자의 48가지 감정을 나눈 기준이 무엇일는지 몹시 궁금했다.

하지만, 내가 그의 에티카~를 읽을 일은 별로 없을 듯 하고 ㅋ~

이 책에 나오는 소설들을 통독할 시간도 별로~이고,

그치만, 그의 48가지 감정들을 어떤 기준으로 나누고 싶은 욕망은 든다.

 

그의 감정들을 이해하고 공감하면서도

마치 주역의 괘가 벌여지듯이,

펼쳐지는 사고의 풍요로움에 감탄하면서도,

주역을 공부하고 그 펼쳐짐의 유사함을 찾고 싶어진다.

 

이 책의 주제는 한 마디로 이것이다.

 

미래를 위해 현재를 희생하는 삶(마시멜로의 교훈)이 과연 행복할까?

아니다.

그 종착역은 죽음.

그러니,

현재 누려야 할 행복과 기쁨을 미래로 미루지 말라.(511)

 

감정을 소중히 여겨야 한다.

그리고, 지금 나에게 닥쳐온 감정을 고이 떠받들고 생각해야 한다.

내가 지금 사랑에 빠졌구나, 내가 지금 분노를 느끼는구나...

그럴 때, 에티카의 정의도 도움이 되겠지만,

그런 감정은 자연스러운 것이며, 세상엔 그런 사람들이 수두룩빽빽하다는 걸 알아야 한다.

 

자연스럽게~

부끄러워하지 말게~

조선의 성리학은 지나치게 <슈퍼 에고>가 <에고>를 억압하도록 만든 기제였다.

<슈퍼 에고>를 좀 쉬게 하고, <이드>가 자연스럽게 표출되도록 해야한다.

 

스스로의 감정을 명확하게 드러내는 일.

이 나라의 대통령은 감정이 전혀 없는 마스크를 하고 있다.

그러니 분노하는 사람들에 대하여도 '마리 앙토와네트'같은 표정으로 대할 뿐이다.

 

한국인들이 '감정을 감추고' 살아온 것은 '두려움' 때문일 것이다.

식민지, 전쟁, 독재 시대를 거치며 익숙하게 입어온 옷과 같은 사고 방식.

자신을 감추어야 산다.

 

불행한 과거는 과거지사로 그치지 않는다.

그것은 현재와 미래의 삶에도 질식할 것 같은 무게를 가하기 때문이다.

사실 인간은 과거를 통해 미래를 꿈꾸는 동물이다.

그러니 과거가 행복한 사람은 미래를 장밋빛으로,

과거가 불행한 사람은 미래를 잿빛으로 꿈꾸게 된다.(354, 두려움 중)

 

강신주가 불행한 과거를 지닌 한국인들에게 말한다.

과거의 무게에서 벗어나기 위해,

현재를 살라고.

미래에 투자하기 위해 현재를 죽이지 말라고.

 

그것이 이 수업의 존재 이유다.

 

 

 

 

85. '대지'의 주인공은 '왕중'이 아니라 '왕룽'이다.

231. 광대평가... ㅋ~ 과대평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ransient-guest 2013-12-27 07: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아직 강신주의 책을 구해보지는 못했지만 팟캐스트를 들으면서 느끼는 것이 많습니다. 한 5년만 일찍 이 분을 알았더라면, 강의를 들었더라면 아마도 제가 겪은 일들 중 일부는 겪지 않았거나 덜 겪었을지도 모르겠더라구요. 언제해도 늦는것이 후회라지만, 아쉬울 때가 종종 있습니다.

글샘 2013-12-27 23:11   좋아요 0 | URL
철학은 어디나 철학이죠. 현실은 철학과 늘 다를 거구요.
그렇지만, 우리가 얽매이는 작은 일들은 늘 줏대가 없어서 흔들리기 쉬운 거 같습니다.
철학을 공부하는 일은, 작은 일들에 흔들리는 자신을 예방하는 주사 같은 것일듯~
새해 복 많이 짓고 받으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