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한 날들]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완벽한 날들
메리 올리버 지음, 민승남 옮김 / 마음산책 / 2013년 2월
평점 :
나만 좋아했으면, 싶은 사람...
당신 앞에도 이 기쁨이 놓여 있다
사람들이 내게 “어떤 시인을 좋아하세요?”라고 물으면 나는 짐짓 그런 건 생각해본 적이 없다는 듯이, “쉼보르스카나 네루다, 혹은 파울 첼란”이라고 대답하곤 했다. 거기까지 듣고도 “그리고요?”라고 또 묻는 사람이 있으면 마지못해 “메리 올리버도 좋아해요…”라고 털어놓았다. 나만 좋아했으면, 싶은 사람이어서. 이럴 땐 누군가를 혼자 소유하고 싶은 이 마음이 너무나 인간적이어서 내가 마음에 든다. 그렇지만 그녀의 시는 많은 사람들에게 힘을 주니 나만 읽어서는 안 되겠다. 나는 그녀의 시를 번역하고 소설에 인용하고 남들 앞에서 낭독했다. 사람들이 그 시를 좋아하는 걸 보니 마음이 흐뭇하면서도 어딘가 쓸쓸했다. 그런 마음이 들 때마다 남몰래 읽은 게 그녀의 산문들이었는데, 이건 오로지 나만의 은밀한 기쁨이었는데, 이제 당신 앞에도 이 기쁨이 놓여 있다. 하지만 여전히 그런 마음이 든다. 그냥 안 읽고 지나가기를. 나만 읽기를. 너무나 인간적인 그 마음으로.(뒤표지, 김연수의 추천사)
참 매혹적인 말이다. 나만 좋아했으면, 싶은 사람...이 있다니...
그래. 그런 사람은, 다른 사람이 그냥, 안 읽고 지나가기를... 나만 읽을 수 있게 되기를... 바라는 것이야 말로,
너무나 인간적인, 좀 유치찬란하지만, 그야말로 인간적인 마음으로 느껴진다.
메리 올리버는 낯선 이름이다.
한국에 그의 작품은 널리 알려지지 않았고, 이 책이 첫 번역본인 모양이다.
녹색을 좋아했던 전임 대통령 시절이라면 모르되,
국민을 좋아하는 현임 대통령 시절엔, 과연 메리 올리버가 물꼬를 튼 듯 쏟아져 나올는지...
이 책은, 뉴에지 풍의 음악을 듣는 기분이다.
음악의 배경으로 봄을 한창 즐기는 새들의 지저귀는 소리,
물이 흘러가면서 바위에 부딪는 꾸르륵, 철철 시원스런 소리,
시원한 산 정상에서 이마에 부딪는 서늘한 바람이 느껴지는 듯한 소리,
그런 느낌을 얻을 수 있는 글들이 가득하다.
산문은 용감하게, 그리고 대개 차분히 흐르며 서서히 감정을 드러낸다.모든 인물, 모든 생각이 우리의 관심을 자극하여 결국 복잡성이 자산이 되고 우리는 그 저변과 이면의 전체저인 문화를 느끼기 시작한다.
시는 그보다 덜 조심스럽고, 시의 목소리는 홀로 남는다. 그것은 살과 뼈릴 지닌 목소리로 스르르 미끄러져 둑을 뛰어넘어 아무 강으로나 들어가 예리한 날로 작디작은 얼음 조각에 착지한다.
산문 작업과 시 작업은 심장박동 속도가 다르다. 둘 중 하나가 나머지 것보다 느낌이 더 좋다. 어떤 걸까?
나는 장시간 산문을 쓰면 작업의 무게를 느낀다. 하지만 시 작업은 그 말 자체가 오류다.
다른 노동과는 다르기 때문이다.
시는 성공하지 못하거나, 아니면 창조된 느낌만큼 전달된 느낌도 강하다.(서문에서)
그의 이런 문예론도 재미있다.
그의 시론이 나온다면 꼭 사보고 싶다.
이렇게 문예론을 풍부하게 재미있는 비유를 넣어 쓰는 일은 예민하면서도 체계적인 풍부한 사고의 소유자라야 가능할 것이다.
기대된다.
그의 글 중에 시에 대한 비유가 또 나오는데 참 예쁘다
시는 바늘처럼 단순하든, 물레고둥 껍데기처럼 화려하든, 백합 얼굴 같든, 상관없어.
시는 말들의 의식, 하나의 이야기, 기도, 초대, 아무런 현실감 없이 독자에게 흘러가서 마음을 흔드는,
진짜 반응을 일으키는 말들의 흐름.(126)
아, 이런 표현을 읽는 일만으로도 나는 황홀하다
세상은 아침마다 우리에게 거창한 질문을 던진다.
"너는 여기에 이렇게 살아있다.하고 싶은 말이 있는가?"
이 책은 내가 하고 싶은 말이다.(14)
참 별것 아닌 말인데도, 그럴듯 하다. 그것은 세계와 자시니 연결되어있음을 선언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어른이 되면 자신이 두 개의 반쪽으로 존재한다는 걸 알게 된다.
여가와 일.
그리고 이 둘을 고려하여 세상을 본다.
여가를 즐길 때는 찬란한 빛을 기억하고, 일할 때는 결실을 추구한다.(47)
어린 시절엔 그렇게 살지 않는다는 것을 강조하려 한 말이다.
그의 글은 원어로 읽어도 재밌겠다. 이렇게 대구를 이루는 말들은,
유러피언 어족의 언어에서는 라임이 잘 살아있는 글이기 쉽기 때문이다.
나는 세상을 사랑하기 위해 세상을 걷는다.
그러다 한 가지 의문에 섬뜩해진다.
몇 해 동안 이 옛 소각장을 산책하면서 나와 같으니 이유로 나온 사람을 단 한 명도 만나지 못한 건 무슨 까닭일까?(71)
조용한 자연을 곁에 둔 작가는 세상을 걷는다.
사람들은 누구도 그와 같은 목적으로 걷지 않는다. 참 섬뜩한 일, 맞다.
소로는 독립적이고 확신에 차 있었고,
에머슨은 탁월하고 불가사의했다.
호손은 침울했다. 그는 따뜻한 우정이 넘치는 콩코드의 문인들 사이에서도 늘 겉도는 듯 했다.(105)
이렇게 작가들을 평할 때도, 간결하게 대조하기를 좋아한다. 그래서 글 읽기가 편하다.
신들은 행위하고, 우리는그 행위의 목적은 알지 못하지만 이것만은 안다.
세상은 우리의 깊은 관심과 소중히 여김의 소용돌이와 회오리 없이는 만들어질 수 없다는 것.(124)
자연을 호흡하는 작가가 세상에 관심을 두지 않을 수 없는 이유가 명백하게 표현되었다.
삶이 끝날 때
나는 말하고 싶다
평생 나는 경이와 결혼한 신부였노라고,
평생 나는 세상을 품에 안은 신랑이었노라고.(죽음이 찾아오면, 올리버)
그녀의 눈에 비친 세상은 경이였고 감사였다.
뗄래야 뗄 수 없는 배우자였고, 정신적 합일체였다.
자연을 걸으면... 경이를 만나지 않을 수 없다.
이제 봄,
좀 걷자...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