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교육은 살아있다
김대유 지음 / 말과창조사 / 2001년 10월
평점 :
품절
정답은 당연히 물.
그러나 그 문제를 유일하게 틀린 한 소녀의 답안은... 봄 이었다.
일본 교육연구소의 연구원은 이 일화를 들려주면서 교육 개혁의 어려움을 호소한 적이 있다.(7)
이 책은 10년 전에 쓴 것이다.
전교조 생긴 지 10년, 그리고 합법 노조로 인정받은 것이 7~8년 된 시점에서 쓰여진 책인데,
요즘처럼 전교조 마녀 사냥을 아직도 획책하는 넘들이 들쑤석거리던 시기는 아니고, 2001년 가을에 쓴 책이다.
전교조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였고, 생활 지도 측면에서 연구를 적극적으로 하는 김대유 선생의 글인데,
시대가 지났지만... 아직도 그의 바람은 유효하다.
아니, 오히려 교육이 퇴보하고 있는 측면까지 있고,
자율성을 빌미로 강제 자습이나 시험 횟수 등이 강화되는 경향마저 보이고,
아이들은 학원으로 학원으로 앞으로 앞으로 달려가는 형국이 되어, 지옥이 따로 없다.
이 책에 쓰인 말들은 참으로 옳고 맞는 말들인데, 왜 그렇게 공염불이 되어버린건지...
교육부를 개혁하고, 관료 조직을 개혁해야 하며, 교육감을 직선제로 뽑자는 의견도 있다.(교육감 직선제는 조금 문제가 있다. 국민들에게 교육감이 어떤 정책의 차이를 실현할 수 있는지 솔직히 알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7차 교육과정 시행 전이라 비판의 목소리가 높고, 교장선출보직제에 대한 연구도 돋보인다.
그러나... IMF 이전에 수립된 7차 교육과정은 구제금융기 이후 껍데기만 밀고 나갈 수밖에 없는 정책이 되어버렸고,
노무현 정부에서조차 교장선출보직제는 언감생심 이뤄지지 않았다.
그러나... 지금 교장은 끈 떨어진 뒤웅박 신세다. 전처럼 해먹을 돈이 학교에는 별로 없다.
학교 행정이 유리 지갑 안에 들어 있어서, 떼어먹을 건수가 없다. 모든 공사 계약은 교육청에서 발주한다.
그러면... 왜 그렇게 교장에 목을 매는가? 그들이 과연 교육관의 실현을 위하여 그렇게 교장 하려고 하는 것일까?
내 생각에는 학교장을 선출보직제로 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지금처럼 원로교사도 수업을 젊은 담임교사보다 많이 하라고 하는 판국에서는 교장, 교감처럼 놀고먹는 자리로 가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 을 수도 있다. 젊은 교사 영입과 함께 원로교사에 대한 처우 개선도 반드시 필요하다.
김대유 선생이 다시 지금 시점에서 이런 책을 쓰는 것도 의미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정치권에서 대안없는 교육개혁만을 소리지르고,
학생, 학부모, 학교에 오로지 자율적으로 하라고 내맡겨 두는 일은,
결국 교육이라는 복지 시스템에 구멍을 뚫는 일이 될 뿐이요.
백년 대계라는 교육에 정치권은 관심없거든요~ 이런 말만 되풀이할 뿐이다.
진보라는 단체들도 답답하긴 마찬가지다. 무상급식에 목매는 이유는 나도 모르겠다.
물론 무상급식도 좋지만... 급식에 쪽팔려서 자살하는 학생 봤나?
학생들이 왜 숨막혀하는지, 어떻게 학생들은 죽음으로 갈 수밖에 없는지...
정말 학교의 교실은 얼마나 재미없는 공간이고,
고대로 늙어가는 교사들의 모습은 또한 얼마나 지루한지...
학교를 좀더 숨통 트이는 공간으로 만들려고 생각을 모았으면 좋겠다.
문화 예술 교육 많이하라고... 빛 좋은 개살구지.
맨날 공문만 내려보내고, 돈 쥐꼬리만큼 주면, 학교에서 그런 작은 행사 하나 치르는데도 교사만 죽을 맛이다.
이번 선거에서 민주 교육감이 몇명 되었다.
부산은 뭐 이상한 초등 교장이 되었다던데, 두고볼 일이다.
앞선 지역에서 먼저, 학생을 위한, 학생들에 애정을 가진 정책들이 펼쳐지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