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든 생각도 하나의 은신처이고, 모든 말도 하나의 가면이다

 

은둔자의 저술에서는 언제나 황야의 메아리 같은 어떤 것, 고독의 속삭임이나 두려워하며 주의를 살펴보는 태도와 같은 것을 듣게 된다. 그의 가장 강한 말과 외침소리에서까지도 어떤 새로운 좀더 위험한 종류의 침묵이, 비밀스러운 침묵이 울려온다. 해마다 밤낮으로 홀로 자신의 영혼과 은밀히 다투거나 대화하면서 함께 앉아 있었던 자, 자신의 동굴에서 ㅡ 그것은 미궁일 수 있지만, 황금 갱도일 수도 있다 ㅡ 동굴의 곰이 되거나 보물 채굴자가 되거나 보물 수호자와 용이 되어버린 자, 이러한 사람의 상념 자체에는 마침내 어떤 특이한 어스름 빛을 띠고, 심연의 냄새와 함께 곰팡이 냄새를 풍기며, 그 곁을 지나가는 모든 사람에게 찬 기운을 내뿜는, 무어라 전달하기 어렵고 불쾌한 것이 있다. 은둔자는 일찍이 철학자가 ㅡ 철학자란 언제나 우선 은둔자였다고 가정하고 ㅡ 자신의 고유하고 최종적인 생각을 표현했다고 믿지 않는다 : 사람이란 자기 안에 숨겨져 있는 것을 감추기 위해 책을 쓰는 것이 아닐까? ㅡ 도대체 철학자가 '최종적이며 고유한' 생각을 가질 수 있을 것인가를, 그에게는 모든 동굴 뒤에 한층 더 깊은 동굴이 있으며, 또 이는 틀림없는 것이 아닐까 ㅡ 표면적인 세계를 넘어선 곳에 좀더 광대하고 낯설고 풍요로운 세계가 있는 것이 아닌가, 모든 근거의 배후에, 모든 '근거를 마련하려는 작업' 아래 하나의 심연이 있는 것이 아닌가 하고 그는 의심하게 될 것이다. 모든 철학은 전경(前景)의 철학이다. ㅡ 이것이 은둔자가 내리는 판단이다 : "철학자가 여기 서서 뒤를 돌아보고 자신의 주위를 살펴본다는 것은, 그리고 그가 여기에서 더 이상 깊이 파고들어가지 않고 삽을 내던져버린다는 것은 무엇인가 자의적인 것이 있다. ㅡ 거기에는 무엇인가 의심스러운 것이 있다." 모든 철학은 또한 하나의 철학을 숨기고 있다. 모든 생각도 하나의 은신처이고, 모든 말도 하나의 가면이다.

 

- 니체, 『선악의 저편』, <제9장> 고귀함이란 무엇인가?, 289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열광과 덕

 

그들이 원하는 대로 몸을 뒤틀고 돌릴 수 있다 해도, 그리고 두 손을 배반하는 눈앞에 갖다 댄다고 해도( ㅡ 마치 손은 배반자가 아닌 것처럼 ㅡ ) 어쩔 수 없이 정신을 지니고 있는 인간들이 있다 ; 결국에는 언제나 그들이 무엇인가 감추고 있다는 것, 즉 정신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밝혀진다. 적어도 가능한 한 오랫동안 사람을 속이고, 성공적으로 자신을 실제로 자신보다 더 어리석게 꾸미기 위한 ㅡ 이것은 일상적인 생활에서 때로 우산처럼 바람직한 것인데 ㅡ 가장 교묘한 수단의 하나는 열광이라는 것이다 : 여기에 속하는 것을 덧붙여 말하자면, 예를 들어 덕을 말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것을 알고 있는 것이 분명한 갈리아니가 말한 것처럼 ㅡ : 덕은 열광이기vertu est enthousiasme 때문이다.

 

- 니체, 『선악의 저편』, <제9장> 고귀함이란 무엇인가?, 288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귀함이란 무엇인가?

 

 ㅡ 고귀함이란 무엇인가? '고귀함'이라는 단어가 오늘날에도 여전히 우리에게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 모든 것을 불투명하게 하고 납빛이 되게 하는 하늘, 천민 지배가 시작되는 무겁게 드리운 하늘 아래, 사람들은 고귀한 인간을 무엇으로 드러내고, 무엇으로 식별하는가? ㅡ 그를 입증하는 것은 행위가 아니다. ㅡ 핼위는 언제나 다의적이며, 언제나 헤아릴 수 없는 것이다 ㅡ . 또한 그를 입증하는 것은 '작품'도 아니다. 오늘날의 예술가들이나 학자들 사이에서는 얼마나 자신이 고귀함을 향한 깊은 갈망에 추동되고 있는지를 자신의 작품으로 드러내는 사람들이 많이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 그러나 바로 고귀함을 향한 이러한 갈망은 고귀한 영혼 자체를 갈망하는 것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며, 이는 바로 이러한 영혼이 결핍되었음을 웅변적으로 말해주는 위험한 징표이다. 낡은 종교형식을 새롭고 좀더 깊이 있는 의미로 다시 받아들이기 위해, 여기에서 결정을 하고, 여기에서 순위를 확정하는 것, 그것은 작품이 아니고, 믿음이다 : 그것은 고귀한 영혼이 자기 자신에 대해 가지고 있는 어떤 근본적인 확신이며, 구할 수도 없고 찾을 수도 없으며 아마 잃어버릴 수도 없을 그 무엇이다. ㅡ 고귀한 영혼은 자기 자신에 대한 경외심을 가지고 있다. ㅡ

 

- 니체, 『선악의 저편』, <제9장> 고귀함이란 무엇인가?, 287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높은 곳에 있고 전망이 트여 있는데도

 

"여기에서는 전망은 트이고, 정신은 고양된다." ㅡ 그러나 높은 곳에 있고 전망이 트여 있는데도 아래를 내려다보는 반대 부류의 인간이 있다.

 

- 니체, 『선악의 저편』, <제9장> 고귀함이란 무엇인가?, 286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나의 정신이 이해되는 데는 몇 세기가 필요한 것일까?

 

가장 위대한 사건과 사상은 ㅡ 그러나 가장 위대한 사상이 가장 위대한 사건이다 ㅡ 가장 늦게 이해된다. 동시대의 세대는 그러한 사건을 경험하지 못한다. ㅡ 그들은 그것을 스쳐 지나가며 살아간다. 거기에서는 별들의 세계에서 일어나는 것과 같은 어떤 일이 일어난다. 가장 멀리 떨어진 별빛이 인간에게 가장 늦게 이른다. 그 별빛에 이르기 전에는, 그곳에 별이 있다는 것을 인간은 부정한다. "하나의 정신이 이해되는 데는 몇 세기가 필요한 것일까?" ㅡ 이것 역시 정신과 별에게 필요한 순위와 예법을 만들어내기 위한 척도인 것이다. ㅡ

 

- 니체, 『선악의 저편』, <제9장> 고귀함이란 무엇인가?, 285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