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들도 위버멘쉬적이고 새로운 방식으로 웃을 수 있다는 사실을 나는 의심하지 않는다

 

올림포스적인 악덕. ㅡ 순수한 영국인으로서 모든 사색하는 인간들에게서 웃음에 관한 나쁜 평판을 만들어내고자 했던 저 철학자에 거역하여 ㅡ "웃음은 인간 본성이 지닌 나쁜 결함이니, 사색하는 모든 인간은 이를 극복하려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홉스) ㅡ 나는 그 웃음의 등급에 따라 ㅡ 황금의 웃음을 웃을 수 있는 사람들에 이르기까지 ㅡ 심지어 철학자들의 순위가 있음을 인정하고 싶다. 만일 신들도 철학을 한다면 ㅡ 많은 추론에서 이미 나는 그렇게 추론했는데 ㅡ 그들도 또한 그때 ㅡ 모든 진지한 것들을 희생해서라도 ㅡ 위버멘쉬적이고 새로운 방식으로 웃을 수 있다는 사실을 나는 의심치 않는다! 신들은 조소하기를 좋아한다 : 그들은 신성한 행위를 할 때조차 웃음을 멈출 수 없는 것처럼 보인다.

 - 니체, 『선악의 저편』, <제9장> 고귀함이란 무엇인가?, 294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정'이라 불리는 유약함

 

"나는 이것이 마음에 든다. 나는 이것을 내 것으로 하고 이것을 보호하고 모든 사람에게서 지키고자 한다"고 말하는 사람, 일을 이끌고, 결단을 수행하고, 하나의 사상에 충실하고, 한 여성에 매달리고, 무모한 사람을 벌주며 진압할 수 있는 사람, 자신의 분노와 칼을 가지고 있고, 약자, 고통받는 자, 학대받는 자, 그리고 동물마저도 기꺼이 그의 소유가 되고 천성적으로 그에게 속하게 되는 인간, 간단히 말해 천성적으로 주인인 인간, ㅡ 그러한 인간이 동정을 가지고 있다면, 정말이다! 이러한 동정은 가치가 있다! 그러나 고통받는 자들의 동정이 무엇이 중요한가! 또는 더욱이 동정을 설교하는 자들의 동정이 무엇이 중요하단 말인가! 오늘날 거의 유럽 전역에서는 고통에 대한 병적인 민감성과 신경과민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탄식에서의 불쾌한 무절제가, 종교나 철학적 허튼 소리로 스스로를 어떤 뛰어난 것으로 꾸미고 싶어하는 나약함이 있다. ㅡ 어떤 형식에 맞는 고통의 우상화가 있다. 그러한 열광자 그룹에서 '동정'이라 불리는 유약함이, 내 생각에는 언제나 제일 먼저 눈에 띈다. ㅡ 우리는 이러한 가장 새로운 종류의 악취미를 강력하고도 근본적으로 몰아내지 않으면 안 된다. 마지막으로 내가 바라는 것은, 사람들이 그에 대해 '가이 사버gai saber'라고 하는 훌륭한 부적을 ㅡ 독일인들에게 명료하게 설명한다면, '즐거운 학문' 을 ㅡ 가슴과 목에 걸었으면 하는 것이다.

 

- 니체, 『선악의 저편』, <제9장> 고귀함이란 무엇인가?, 293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자란

 

철학자란 끊임없이 이상한 일들을 체험하고 보고 듣고 의심하고 희망하고 꿈꾸는 인간이다. 그는 자기 자신의 사상에 의해 밖이나 위나 아래에서도, 그리고 또한 자기에게 독특한 사건이나 번갯불에게 얻어맞는다. 그 자신은 아마 새로운 번개를 잉태하는 뇌우(雷雨)인 것이다. 그는 숙명적 인간이며, 그를 둘러싸고 항상 천둥소리가 울리며 으르렁거리거나 찢어지는 소리가 나고 섬뜩해진다. 철학자 : 아, 때로는 자기에게서 도망치고, 때로는 자기 자신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는 존재 ㅡ 그러나 너무나 호기심이 강해, 언제나 다시 '자기 자신에게 돌아오는' 존재……

 

- 니체, 『선악의 저편』, <제9장> 고귀함이란 무엇인가?, 292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든 도덕은 오랜 기간에 걸친 대담한 기만

 

몇 겹으로 기만적이고 기교적이고 불투명한 동물이며, 다른 동물에게는 힘으로보다는 간교함과 영리함으로 섬뜩한 동물인 인간은 자신의 영혼을 어쨌든 단순한 것으로 향유하기 위해 선한 양심을 고안해냈다 : 모든 도덕은 오랜 기간에 걸친 대담한 기만이며, 그것 때문에 일반적으로 영혼을 바라보면서 그것을 향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아마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많은 것이 '예술'이라는 개념에 속하게 될 것이다.

 

- 니체, 『선악의 저편』, <제9장> 고귀함이란 무엇인가?, 291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해와 이해

 

깊이있는 사상가는 모두 오해받기보다는 이해되는 것을 더 두려워한다. 오해받는 것을 괴로워하는 것은 아마 그의 허영심일 것이다. 그러나 이해되는 것을 괴로워하는 것은 그의 마음과 공감인데, 이는 언제나 다음과 같이 말한다 : "아, 왜 그대들은 나처럼 그것을 그렇게도 힘들게 생각하려고 하는가?"

 

- 니체, 『선악의 저편』, <제9장> 고귀함이란 무엇인가?, 290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