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감상의 심리학 - 예술 작품을 볼 때 머릿속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질까?
오성주 지음 / 북하우스 / 2025년 3월
평점 :

이 책은 인지과학과 심리학에 기반하여 미술 작품 감상 행위의 심리적 작용과 감상의 심리적 효과를 반영하여 제작한
미술 작품들의 심리적 반응과 현상에 대해 이야기하는 예술심리학 도서이다.
책의 구성과 내용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앞의 2개 단원에서는 시각과 감상 행위에 대한 생물학적 그리고 심리학적인 측면에서의 처리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감상 활동과 심리적인 효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다양한 종류의 미술 작품들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감상 행동의
심리적인 반응과 효과, 그리고 이것을 위해 사용된 제작 기법이나 방식에 대해 나머지 10개 단원에서 다루고 있다.
저자는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오성주 교수이다.
---
미술 작품을 감상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미술과 예술 관련 책들을
읽거나 다수의 미술 작품들을 관람하는 것이 전통적인 방법일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그런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거나 감상하지 못하는 경험이 더러 있어서 어렵게 느껴지곤
한다.

개인적으로 이 책 내용의 거의 대부분이 생소하고 흥미롭고, 나아가
평소에 가지고 있었던 현대 미술 작품에 대한 궁금증들을 한번에 해소시키는 내용이었다:
그림의 형태와 구성을 만드는데 점, 선, 면, 도형 등의 기본적인 요소들의 집단화를 이용한다: 간딘스키의 추상화 말고도 조선시대 동양화 겸재 정선의 산수도에도 사용되었다.
대상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시키는 기법으로 사용되는 색의 밝기와 명암 대비의 효과조차도 극대화시키기 위해 정점이동을
시키는 방식도 사용되었다.
풍경화에 매력을 느끼게 되는 이유가 풍경을 볼 때 시각적으로 실세계에 속한 풍경이 익숙하다는 점과 심리적을 안정감을
준다는 점이 크다는 것과 이런 비슷한 심리적 효과가 조형주의 그림에도 나타난다는 것이다.
형태와 색, 음과 색, 특히
현대 미술에서 사용되는 기법으로 색상의 질감과 농도의 강약 변화를 통해 일종의 리듬감을 불러 일으키는 공감기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림 속 대상의 자세와 동작을 인간의 몸과 유사하게 표현하여 공감각을 얻기도 한다.
인물화만큼 그 시대의 문화와 유행, 상식, 관습, 종교 등을 반영하는 그림이 없기 때문에 약간의 친숙함을 깨뜨리면
곧바로 그로테스크한 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역동성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기법이 비대칭적 구조나 윤곽의 반복적인 표현처럼 직접적이거나 역시 공감각 효과의
역동적 리듬감을 노리는 기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미완성 작품이나 일부분이 차폐된 작품에게서 호기심과 상상력을 이끌어내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처럼, 시각적 효과를 이용하여 시각적인 착각과 왜곡 이라는 문제 상황을 해결하여 감상하는 방식의 작품도 만들어진다.
전반적으로 보면, 훌륭한 예술 심리학 저서라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