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이 시작되는 곳 I LOVE 그림책
에바 엘란트 지음, 신형건 옮김 / 보물창고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행복을 찾고 있니? "



행복이 시작되는 곳

Where Happiness Begins 

에바 엘란트 글, 그림./ 신형건 옮김

보물창고



문득 그림책의 제목을 읽다가 '행복' 이란 단어의 뜻이 궁금해졌다. 국어사전에 따르면 '사람이 생활 속에서 기쁘고 즐겁고 만족을 느끼는 상태에 있는 것' 이다. '생활 속' 이라는 것과 '기쁘고 즐겁고 만족' 이라는 두 키워드를 기억해둔다. 



책 속 아이는 선반 위의 '행복'이란 태그가 붙어있는 핑크색 병에 손을 뻗는다. 그 병에서 나온 것은 램프의 요정 같은 느낌의 핑크색 행복. 본문의 문장은 다른 이가 아이에게 이 행복에 관해 조곤조곤 이야기해주는 형식이다. 행복에 생명을 부여하고, 사전적 의미가 아닌 친구처럼 느끼게 이끌면서 행복과의 '관계'로서 풀어간다. 




파란색 선이 도드라지는 색연필 일러스트는 같은 색의 텍스트와 어우러지면서도, 일러스트만의 이야기를 만들어간다. 앞 면지에 나와있던 등장인물들은 이 페이지에서 함께 모이고, 뒷 면지에서 또 다른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 또한 재미있는 포인트. 




마냥 '행복할거야' 라는 주문만을 외우지 않는다. 때로는 행복과의 사이에 많은 것들이 있는 것처럼 느껴질 때도 있고, 항상 행복하다고 느낄 수는 없다는 것 또한 조용히 일러준다. 그런 것 또한 필요한 과정이라는 것을 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도록 말이다. 그리고 마지막 페이지에서 행복이 어디에서 시작하는지를 이야기한다. 



이 책은 'Big Emotions' 시리즈로 첫 권인 「슬픔이 찾아와도 괜찮아」(현암주니어)에 이은 두번째 책이다. 원제로는 「When Sadness Comes to Call」, 「Where Happiness Begins」 다. 아이들이 자신의 감정을 느끼고 탐색해볼 수 있도록 이끄는 그림책이다.

 



사진출처 : Eva Eland 페이스북


사람마다 행복을 느끼는 지점들은 조금씩 다를 것이다. 내 경우 행복한 기억들은 어린 시절의 추억과도 관련있는 경우가 많다. 내 아이에게도 그런 기억들을 차곡차곡 함께 쌓아주고 싶다는 다짐을 하게 되기도 한다. 아이에게 읽어주다보면 저절로 부모의 그런 마음들을 담아 아이에게 책을 읽어주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잠을 자요 - 2022 노르웨이 올해의 가장 아름다운 책, 2022 뉴욕 타임즈 뉴욕 공공 도서관 아동 도서 최고의 일러스트 선정 모두를 위한 그림책 46
셰르스티 안네스다테르 스콤스볼 지음, 마리 칸스타 욘센 글, 손화수 옮김 / 책빛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 시절 아이는 잠 잘 시간만 되면 갑자기 화장실이 가고 싶고, 물이 마시고 싶고, 무엇인가 해야할 일들을 생각해내고는 했다. 조금이라도 더 놀고 싶은 아이들! 그런 아이들을 잠을 자게 하기 위해 부모들은 여러가지 방법을 동원한다. 이 책 「잠을 자요」 의 엄마는 잠자는 동물들의 이야기를 차례차례 들려주며 아이를 잘 수 있도록 이끈다. 엄마의 이야기와 그 이야기에 호응하는 아이의 모습이 사랑스럽게 어우러진다. 




잠을 자요

Dyrene Sover

모두를 위한 그림책 - 46

셰르스티 안네스다테르 스콤스볼 글, 마리 칸스타 욘센 그림

책빛



보, 이제 잘 시간이야





꼬마 보는 앵무새로 시작해서, 겨울잠을 자는 곰이 되었다가 욕조에 몸을 담그고는 바다에 사는 해달이 된다. 해달은 드넓은 바다에서 서로에게서 멀어지지 않도록 손을 잡고 잠을 자고, 미어캣은 몸을 따뜻하게 하기 위해 떼 지어 잠을 잔다. 「잠을 자요」 는 하루를 마무리하는 저녁 시간, 잠자리에 들기 싫은 꼬마 보가 엄마의 이야기에 이끌려 목욕, 양치질, 잠자리에 들고, 그리고 마침내 잠들기까지의 모습을 보여준다. 




아기 동물의 곁에는 엄마 동물도 함께 있다. 아기 해달이 자는 동안 물에 떠내려가지 않게 엄마 해달은 손을 꼭 잡아준다. 아기 기린의 옆에는 엄마 기린이 높다란 탑처럼 서서 아기를 지킨다. 아이는 그 모습에 저절로 마음이 편안해진다. 아이들을 위한 잠자리 그림책으로도 안성맞춤이고, 어른에게는 아이들의 하루를 어떻게 마무리할 것인지에 대한 좋은 육아서가 되는 그림책이다. 





그나저나 기린이 이렇게 자는 줄 몰랐다. 책 속 보의 엄마는 자연스럽게 다양한 동물들이 잠자는 모습과 습성, 생태 등을 이야기에 섞는다.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동물에 대한 호기심도 키워갈 듯 하다. 





마리 칸스타 욘센의 일러스트는 강렬한 색의 조화로 눈을 사로잡는다. 아기 보가 자신이 좋아하는 동물로 변신할 때마다 평범한 아파트는 동물들이 사는 야생의 공간으로 바뀌며 더욱 화려한 색을 뽐낸다. 국내의 한 인터뷰에서는 그의 그림에서 색채의 마술사라 불리는 앙리 마티스를 소환하며 인터뷰를 이끌어가기도 했다. 



물구나무 선 보의 모습이 더욱 앙증맞다.




미어캣처럼 자신의 인형들과 함께 잠이 든 보의 모습이 행복해보인다. 창문 밖은 물론 방안의 모든 것들이 함께 눈을 감고 잠이 들었다. 마리 칸스타 욘센의 이전작 「잠잘 시간」 에서 아빠와 딸의 잠자리 모습을 그려냈다면, 이번 책 「잠을 자요」 에서는 엄마와 아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너는 작은 새란다.

새가 되어 훨훨 날 거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과 함께 살아온 사람들 - 이야기로 만나는 23가지 한국 신화 자음과모음 청소년인문 15
이상권 지음 / 자음과모음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득 그리스로마신화를 읽다가 이런 생각이 들었다. '그리스로마 신화의 신만 존재하랴. 우리나라에도 신화 속 신들이 있다.' 당장 이 책의 제목을 보면 영화( 혹은 원작 웹툰 ) 「신과 함께」 가 떠오르지 않는가. 우리나라의 신들도 알게 모르게 영화, 드라마, 게임 등 여러 매체에 녹아들어가 있다. 오천 년 희로애락을 함께한 여러 신들의 이야기가 수록된 이 책 「신과 함께 살아온 사람들」은 옛이야기에 자주 등장하는 신과, 그들에 관련된 23가지의 신화를 들려준다. 옛이야기에 자주 등장하는 산신령부터 왕으로 모셔진 중국의 관우신까지. 




신과 함께 살아온 사람들

이야기로 만나는 23가지 한국 신화

이상권 지음

(주)자음과 모음



책 속 이야기의 흐름은 민속학을 공부하는 이모가 수천 혹은 수만 년 부터 우리 조상과 같이 지내온 신들에 관해 들려주는 구성이다. 책 속에서 이야기하는 신들은 샤머니즘 혹은 무속신앙에 관련된 신들이다.  


무교(巫敎) 또는 무속신앙(巫俗信仰), 간단히 무속(巫俗), 무(巫)는 한국의 토착 종교이다. 샤머니즘(Shamanism), 즉 무당으로 불리는 중재자가 신령과 인간을 중재하는 종교로서, 토테미즘적인 성격도 가져 자연의 정령이나 토착 신령을 숭배했고 조상신 등의 귀신을 기렸다. (...) 단군 신앙에서부터 기원을 가진다고 주장하는 경우도 있다. 한국 문화의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친 한민족의 민족 종교로 여겨진다.

- 위키발췌


무속에 익숙하지 않은 터라 옛이야기로 만났던 바리데기가 신으로 모셔지고 있다는 것에 놀라워한다. 국립민속박물관에는 한 손에는 신비로운 약초를 들고, 다른 한 손에는 약물을 든 바리데기신의 무신도주1)가 있다. 책 속에는 그 사진을 수록해두고 있다. 관련된 신화나 옛 이야기와 함께 여러 문화유산들의 사진들이 함께 나와있어 조상들이 이 신들과 함께 어떻게 살아왔는지를 좀 더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영화  「신과 함께」 에서 마동석이 맡은 캐릭터인 성주신을 책 속에서 찾아본다. 3장의 '나쁜 기운을 막고 복을 가져다주는 신' 이나 4장의 '나쁜 귀신들을 막아 주는 신' 편에 나올 줄 알았는데 나오지 않아서 살짝 아쉽기는 했다. 책 속에 나오는 신들은 5가지로 분류되어 있다. 


1장 새로운 생명을 주는 신

2장 오래오래 살게 해 주는 신

3장 나쁜 기운을 막고 복을 가져다주는 신

4장 나쁜 귀신들을 막아 주는 신

5장 죽어서 다시 신으로 환생한 사람들


무덤을 지켜주는 강력한 힘을 가진 신들, 고구려의 강서대묘의 벽화 '사신도' 에 나오는 청룡, 백호, 주작, 현무 또한 신들이다. 사신도에 나오는 백호는 우리가 아는 희귀종인 하얀 호랑이가 아니라 얼굴은 호랑이처럼 생기고 몸통은 용처럼 생겼다. 2022년 임인년은 '검은 호랑이의 해' 라기에 같은 호랑이인 백호에도 관심을 가져보다 알게 되는 지식들. 


무덤을 지키는 사신이 있다면 절을 지키는 신들로 사천왕이 있다. 사신이 '네 방향을 지키는 신' 이었다면, 사천왕은 '네 방향을 지키는 왕' 이라는 뜻이다. 이 책을 읽은 후 산책길에 마주친 사천왕이 더욱 반가웠다. 비슷한 듯하면서 조금씩 다른 사천왕. 동방에 지국천왕(持國天王), 서방에 광목천왕(廣目天王), 남방에 증장천왕(增長天王), 북방에 다문천왕(多聞天王) 이 배치된다. 산책길에 그저 사천왕이려니 하고 지나쳤는데, 비파를 들고 있으면 북쪽 다문천왕(多聞天王), 탑이나 깃발을 들고 있으면 서쪽 광목천왕(廣目天王), 칼을 들고 있으면 동쪽 지국천왕(持國天王, 여의주를 들고 있으면 남쪽 증장천왕(增長天王)이란 것을 기억하게 되었다는.. 

 

죽어서 다시 신으로 환생한 사람들 편 또한 흥미로웠다. 대부분의 신은 장군이었는데, 이는 악귀들을 물리칠 수 있는 힘이 있어야 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최영장군이나 임경업장군, 이순신장군과 백마장군이 된 홍경래까지 다양하다. 


중요한 것은 신이란 살아 있는 사람들이 필요해서, 즉 위로받고 의지하고 싶어서 만들어 냈다는 거야. 그렇다고 해서 아무나 신이 될 수는 없었지. 신으로 모셔지기 위해서는 살아 있을 때의 삶이 아주 중요해. 그의 삶이 사람들을 감동시켜야 하고, 존경받아야만 해. 자기 자신만을 위해서 이기적으로 살아 간 사람들은 절대 좋은 신이 될 수 없어.

- p212



신에 대한 것을 이렇게 역사적 맥락으로 들여다보면서, 책 속 이모의 말을 빌어 작가는 말한다. 샤머니즘이라고 말하는 것들에 손가락질하지 말자고 말이다. 샤머니즘이 우리 조상들을 행복하고 올바르게 살도록 도와주었다는 것을 생각해보자고 전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인들은 늙은 아이들이란다 I LOVE 그림책
엘리자베스 브라미 지음, 오렐리 귈르리 그림, 김헤니 옮김 / 보물창고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인들은 늙은 아이들이란다」 는 제목만으로도 많은 이야기를 전하는 그림책이다. 대가족이 모여살던 시절에는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노인들의 삶을 함께 했다. 그러나 지금은 특별한 날이 아니고서는 쉽게 할머니, 할아버지를 만나지 못하다보니 노인들에 대해 머리로는 이해하고 있을지라도 마음으로 쉽게 다가오지 않기도 한다. 




노인들은 늙은 아이들이란다

The Old Children

엘리자베스 브라미 글, 오렐리 퀼르리 그림

보물창고


그림책의 본문은 상단에는 객관적인 사실들을, 그리고 그 하단에는 노인들의 생각을 함께 적어놓는다. 나이든 노인이 더 이상 읽을 수 없거나 글씨를 쓸 수 없는 경우, 더 나아가 치매나 앓고 있는 병으로 더 나빠지는 경우를 이야기한다. 객관적인 사실들을 전하는 '우리' 는 이 그림책을 읽어주는 부모들이 될 것이다. 그 문장에 이어 '더 이상 해결책이 없을 때 우리는 집을 떠나야 하지' 라는 말을 이어간다. 여기서의 '우리'는 노인들이 된다. 이 그림책은 부모 세대와 조부모 세대가 함께 아이들에게 이야기를 전하는 구성인 셈이다. 


그림작가 오렐리 귈르리 (Aurelie Guillerey) 는 번역본에서 이름 부자이기도 한데 오렐리 귀에레, 오렐리 귀으리 등을 번역되어 있기도 한 작가다. 1975년 프랑스 브장송에서 태어나 고등학교 때 응용 미술을 공부했고, 스트라스부르 예술 학교를 졸업했다. 지금은 다양한 예술 작업을 하면서 그림책 작가로도 활동하고 있다. 국내에 소개된 책으로는 《율리시스와 트로이 목마》《할머니는 어떻게 친구를 만들까?》《옛날 옛적에 초록색 늑대가 살았어요》《신기한 편지》 《두고 보라지!》 《병에서 나온 형》 《아빠가 성큼성큼》 《엄마가 지켜보고 있다》 《나를 찾아온 북극곰》 《우물쭈물 하다가》 《빨간 코 빨간 귀》 등이 있다. 




오렐리 귈르리의 깔끔한 일러스트는 노년의 모습을 밝고 경쾌하게 그려내며 늙어간다는 것은 질병이 아니라는 것을, 삶의 또 다른 한 과정임을 텍스트와 함께 잘 전달하고 있다. 같은 글 작가의 글에 다른 그림작가가 그린 「너희들도 언젠가는 노인이 된단다」 ( 얀 나침베네 그림) 를 함께 읽으며 그림을 비교해보아도 좋을 듯. 





노인들을 ‘불편한 존재’로 인식하게 되는 이유 중의 하나로 ‘노인들의 모습이 자신의 미래와 같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말하는 이도 있다. 한없이 무기력하고 힘들어보이는 노인들의 모습을 보면서 자신의 미래도 저렇게 되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이 밀려오고, 그래서 오히려 노인들을 회피하려는 모습을 보인다는 것이다. 그러나 늙어간다는 것은 무조건 두려워할 일만은 아니라는 것. 어쩌면 아이들보다도 읽어주는 어른에게 더욱 다가오는 그림책이 될런지도 모른다. 



그러니, 사랑하는 우리 아이들아, 매일 매일 무럭무럭 자라나렴.

오래 살고, 아무런 걱정 말고 따뜻하고 부드럽게 늙어가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독수리는 왜 까치에게 쫓겨다닐까? - 우리와 함께 사는 동물들 이야기 자음과모음 청소년인문 1
김기범 지음 / 자음과모음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수리는 왜 까치에게 쫓겨다닐까?

김기범 지음

우리와 함께 사는 동물들 이야기

(주)자음과 모음



독수리의 '독'이라는 글자가 대머리 독(禿)이라는 사실을 책을 통해 알았다. 그런데 머리에 털이 없는 게 아니라, 머리 바로 아래 목덜미 위쪽에 털이 없다고 한다. 정수리를 포함해 머리 쪽에는 털이 있다. 사람들이 흔히 독수리에 갖고 있는 이미지는 사냥에 능한 맷과, 수릿과의 새들이 날쌔게 날아다니며 위용을 뽐내는 모습에서 생겨난 것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겨울 철새인 독수리가 한반도에 와서 보여주는 모습은 뒤뚱거리며 동물의 사체에 모여들어서는 작은 새들에게 구박을 받고, 눈치를 보며 먹이를 먹는 모습이다. 맹금류 중에서도 가장 덩치가 큰 독수리가 혹독한 몽골의 겨울 추위를 피해 머나먼 한반도까지 와서 체면을 구기는 이유는 단 하나, 사냥을 하지 않고 사체만을 먹이로 삼기 때문이다. (p23)


청소년 인문 「독수리는 왜 까치에게 쫓겨다닐까」 는 멸종 위기의 천연기념물부터 딱한 처지의 길고양이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미처 깨닫지 못한 가까운 동물 세계의 실상을 생생하게 짚어낸 책이다. 동물에 대한 이해를 위한 장을 시작으로 죽어가는 동물들, 위기에 빠진 동물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청소년 인문 「독수리는 왜 까치에게 쫓겨다닐까」 는 각 장마다 해당 동물들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핵심정보나 팁을 정리해두었다. 청소년의 눈높이에 맞춘 글은 쉽고, 수록되어 있는 많은 사진들은 정보전달을 돕는다. 이렇게 동물들에 대하여 알아두어야 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이 책을 읽은 이들이 동물들의 상황을 자세히 알고 남의 일처럼 여기지 않으면 좋겠다는 저자의 마음, 그리고 '알면 사랑한다' 는 최재천 교수의 추천사가 그 대답이 될 것이다.


알면 사랑한다. 저자 역시 먼저 우리가 자연에 대해 충분히 알아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 최재천


네번째 이야기로 제돌이에 대해 이야기한다. 아이는 제돌이에 관해서 그림책을 통해 먼저 접하고, 당시 제돌이에 대한 기사도 찾아 읽고 영상도 함께 보았던 기억을 잊지 않는다.  「독수리는 왜 까치에게 쫓겨다닐까」 에서는 제돌이 방류에 관한 자세한 이야기와 뒷 이야기들이 실려 있어 반가웠다. 저자는 이어 돌고래 쇼와 일본의 타이지마을의 돌고래 살육 및 수출을 이야기하면서 '우리가 지불하는 수족관 입장료가 타이지마을의 돌고래 학살을 부추기는 결과로 이어진다니 한번만 더 생각해 보면 좋겠다' 라고 전하기도 한다. 


마지막 장에서는 새끼 고양이를 구조하고, 반려동물에 대해 생각해보게 하는 '아끼고 사랑하기' 로 이어진다. 애완동물과 반려동물이라는 단어의 의미를 생각해보며 관계에 대해 진지한 고찰을 이어가보게 이끈다. 가치관을 형성하는 시기에 있는 청소년들이 동물들의 고통을 공감하며 공존의 방법을 모색해보는 것 또한 필요한 일이 아닐까. 이는 생명과 자연의 소중함에 대한 이해로 이어질테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