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머니, 그만 집으로 돌아가세요
벤 몽고메리 지음, 우진하 옮김 / 책세상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헨리 데이비드 소로"는 엠마가 길을 떠나기 93년 전인 1862년 6월에 이미 이런 현상을 애견했다. <<애틀랜틱 먼슬리>>에 발표된 <산책,>이라는 글에서 소로는 이렇게 이야기했다. '오늘날 이렇게 서로 부대끼며 살고 있는 상황에서 땅이 주는 가장 고마운 점은 그것이 누군가의 소유가 아니라는 것이다. 풍경의 주인은 없으며 사람들은 누구나 걸어서 그 자유를 만끽 할 수 있다. '


 어느 늦은 봄, 마당의 꽃들이 만개했을 무렵 그녀는 짐을 꾸려 오와이오 주의 갈리아 카운티 (Gattia County)를 떠났다. 갈리아 카운티는 평생 살아온 곳들 중에서 고향이라고 부를 수 있는 유일한 곳이었다. 


 엠마는 마침내 자리에서 일어섰다. 운동화 끈도 단단히 묶었다. 날짜는 1955년 5월 3일, 세상에서 제일 길게 이어진 도보여행길이라는 애팔래치아 트레일의 남뽁 출발점 산꼭대기에서 엠마는 눈앞에 펼쳐진, 하늘에 맞닿은 검푸른 지평선 위 봉우리들을 마주했다. 그 밑에 있는 성난 강들과 위험천만해 보이는 바들의 험악한 풍경을 바보며 서 있는 사람은 여성이자 열한 명의 자녀들과 스물세 명의 손자 소녀들을 거느린 어머니이자 할머니였다.


https://blog.aladin.co.kr/gigo/14918926

https://story.kakao.com/kelix/g59HezqhVbA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 불면 다시 오리라 - 소설 법정
백금남 지음 / 쌤앤파커스 / 2016년 8월
평점 :
절판


 작가는 법정 스님이 열반하시기 5년 전부터 스님의 일대기를 쓰기 시작하였다. 끈질긴 추적 끝에 23편의 초기작을 발굴하는 데 성공했다. 23년의 초기작은 법정 스님이 1963~1969년에 쓴 글로, '소소산인'이라는 필명과 "법정"이라는 이름으로 기고한 작품들이다(개인적으로 법정이라면 정다운 스님의 책이 생각난다). 초기작에서 젋은 수행자의 내면세계를 짐작게 한다. 이 책은 각 꼭지가 연결되는 소설형식을 취하고 있다. 


 "어느 날 그분이 내게 와 물었다. 나는 모두 버렸는데 왜 나를 가지려 하는가. 내가 대답했다. 스님은 왜 살아 중생을 가지셨습니까? 왜 그들의 마음을 훔치고, 그들의 가슴속에 들어앉으셨습니까? 그래서 거두어 간 것이 아닌가. 그 거두어 감의 세계를 바로 쓰려는 것입니다."


 '수녀의 출가', '너의 발을 씻어주마', '어머니', '수류산방', '불 속에 피는 꽃' 외 글을 연휴가 시작되는 첫 날에 읽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 - 미국 진보 세력은 왜 선거에서 패배하는가
조지 레이코프 지음, 유나영 옮김, 나익주 감수 / 와이즈베리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레임(frame)’라디오나 텔레비전 방송토론 패널들이 자주 사용한다. 프레임에 대한 어감은 바둑판, 거미줄, 고정관념, 고정형과 같다. 프레임과 변화는 연관성 있다. 

 

  프레임이란 세상을 바라보는 정신적 구조물이다. 우리가 추구하는 목적과 계획, 행동 방식과 결과의 좋고 바쁨을 결정한다, 프레임은 직접 수도 없고 들을 없다. 프레임을 인지과학자들이인지적 무의식이라 부른다. 인지적 무의식이란 우리 안에 있는 구조물로서 의식적으로 접근할 없지만 결과물을 통해 존재를 안다. 상식은 무의식적이고 자동적이고 자연스러운 추론들로 이루어져 있다. 추론은 무의식적 프레임에서 나온다.

 

 프레임을 재구성하는 것이 사회 변화를 의미한다, 중심에 정치가 있다. “모든 정치는 도덕적이지만, 모두가 똑같은 도덕적 관점에 근거해 행동하는 것은 아니다. 도덕적 신념의 상당 부분은 무의식적이다. 대단히 많은 사람들이 자기 삶의 서로 다른 영역에서 상이하고 모순된 도덕 체계에 따라 행동한다는 사실이다. 이를이중개념주의라고 한다. 각각의 도덕 체계는 속에서 신경 회로의 체계를 이룬다.”  

 

  어떻게 안에서 서로 모순된 체계가 순조롭게 작동 있을까?첫째는 상호 억제 작용이다. 이는 체계가 켜지고 다른 체계가 꺼질 나타난다. 둘째는 서로 다른 쟁점에 뉴런이 결합하는 것이다. 이는 각각의 체계가 서로 다른 관심사와 결부되어 작동 나타난다.”

 

  이 책은 국어판이 2006년에 출간되어 당시 노무현 대통령을 비롯하여 많은 국회의원들과 여타 정치인들, 언론계 종사자들, 학자들은 물론이고 많은 일반 독자들의 관삼을 받았다. 역시 토론 방송을 듣다 어떤 패널이 잠깐 인용한 책을 이름을 듣고 읽게 되었다. 특히 인지언어학의 창시자인 저자조지 레이코프 세계적으로 가장 저명한 언어학자로 손꼽힌다. 그의 주된 연구 분야는 뇌의 신경 회로가 사고와 언어를 불러일으키는 과정이다

 

  ‘누가 무엇으로 세상을 지배하는가 저자노엄 촘스키 제자이기도 , 저자는 은유가 본질적으로 언어의 문제가 아니라 사고 과정의 문제이며 인간의 인지 과정의 많은 부분이 본질상 은유적이라고 주장하는 개념적 은유 이론으로 유명하다. 지난번에 읽었던네루다의 우편배달부에서 메타포(은유) 역시 시인의 사고 과정에서 변형 화된 메시지이다. 은유는 사람들에게 내재된 기억 끝을 움직이게 하는 묘수가 숨어 있다. 우리는 수로 생사의 갈림길에 놓인다.

 

  "어떤 프레임을 부정하면 프레임이 활설화한다. 프레임을 자주 활성화하면 강해진다. 내가 상대편의 언어를 써서 그의 의견을 반박할 , 말을 듣는 사람의 머릿속에서는 상대편의 프레임이 활성화되고 강해지는 한편 나의 관점은 약화된다." 그의 언어가 아닌 나의 언어를 써서 나의 신념을 말해야 한다는 뜻이다. ‘16.3.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삶의 한가운데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8
루이제 린저 지음, 박찬일 옮김 / 민음사 / 199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삶의 한 가운데, 누구의 생을 말하는 것인가? 서간문 형식을 띠고 있는 소설은 한 남자의 삶의 궤적을 따라 가면서 거부할 수 없는 한 여성에 대한 사랑을 얘기 한다. 


  한 여성을 18년 동안 사랑하는 의사이며 교수인 '슈타인'과  의사와 정반대의 기질을 여자 주인공 '니나 부슈만'이 있다. 니나가 어린 소녀이던 때부터 성숙한 여인으로 성장하기 까지 슈타인은 그녀를 지켜본다. 


  한 남성에 의해 한 여성을 지켜봄의 시각적 도입은 작가의 영민성을 보여 준다. 어떤 완벽성을 내포하고 있다. 남성적 또는 인종적 우월주의에 빠진 시대 상황속에 참된 삶을 추구하는 한 여성의 냉소적 사랑은 한 남성을 사랑의 늪으로 빠뜨린다. 그것은 동성속에 자신의 사랑을 찾아내는 몰입성과 비슷하다.


  과거 19세기까지의 문화예술이 보이는 것을 더 잘 보이게 하는데 기여했다면 20세기 이후 문화예술은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지 않는 대로 표현하려 했다는 역자의 말에 공감한다. 현상 너머의 배후를 더 이상 대답할 수 없는 것처럼 우리는 보이지 않는 것이 대부분인 세상에 살고 있다. 


  우리는 타인의 삶을 가질 수 없다. 그것이 온전한 삶이라 할지라도. 자신의 삶속에서 변화와 개혁 또는 끊임없는 스스로의 권력을 만들어가는 것일진데. 의사 슈타인은 니나 부슈만이 그런 참된 여성이었음을 고백한다. 1603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네루다의 우편배달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4
안토니오 스카르메타 지음, 우석균 옮김 / 민음사 / 200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편배달부는 백지와 같았다. 그 백지 위에 파란 잉크가 한 방울 떨어졌다. 자신의 감성을 은유라는 필터를 통해 바의 베아트리체를 발견한다. 시인(네루다)으로 인해 자각한 우편배달부는 사랑하는 여인을 떠난다.

 

   그의(배달부) 죽음은 자신의 의지와는 무관하다. 단지 자신의 메타포를 알리려는 것 뿐이었다. 그것은 은유가 무서운 민중을 낳고 어떻게 쏠리는지를 보여 준다. 민중은 어부의 바다와 같다. 우리가 그 바다에서 죽는다는 사실적 허무주의를 자각한다.

 

   차가운 꽃샘이 강바람 끝에 머물고, 부서진 바위돌처럼 철새들이 강물위에 웅끄리며 떠 있다.  기우는 석양빛은 태초의 기억과 같다.  '16.3.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