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작가 모엔의 <열세걸음>이 노벨문학상을 받았네..

따끈한 중국작가의 작품을 읽어봐야겠다.

영화도 내리고 티비서 보면 맛이 덜하듯..

작품도 유통기간(?) 다가기 전에 구매해서 봐야지^^

 

중국작가 모옌의 작품 기대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녕하세요. 신간평가단 담당자입니다 :) 

12월부터 6개월간 활동해주실 신간평가단 100분을 발표합니다. 


이번에도 뉴페이스 발굴에 힘썼고요 (불끈!)

기존 분들도 워낙 쟁쟁하셔서, 11기 활동하신 분과 그렇지 않은 분들의 비율이 

4:6 정도로 안배되었습니다. 


파트장은 인문 파트장이셨던 가연님을 제외하고 나머지 분들은 모두 연임하는 걸로 했습니다.

저보다 더 파트를 잘 챙겨주셨던 분들이신데, 고맙게도 한번 더 지원해주셨습니다. 

한번 더 잘 부탁드립니다. 


인문 파트장님는 새롭게 'nunc'님을 모셨습니다! (가연님 그동안 정말 정말 감사했습니다.)

그리고 nunc님 앞으로 잘 부탁드립니다! 



금주 중 활동 안내 공지 및 활동 안내 메일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문자만 드릴테니, 일단 부담은 내려놓으시고 기쁨만 누리세요! 

(이제 고생 시작입니다. 흐흐) 


11기 활동해주셨는데, 이번에 선발되지 않으신 분들은

다음 기회가 열려 있으니 다음에 꼭 지원해 주세요 (굽신굽신) 

제가 눈물을 머금고.... 흙....ㅠㅠ 내년 5~6월 사이에 공지가 나갈 거에요! 


하아. 6시 전에 올리려고 했는데 이번에도 늦어버렸습니다. 

기다리실테니 얼른 작성 완료 버튼 눌러야겠습니다~ 

 

진심으로 축하드려요. ^-^

참, 이번엔 닉네임도 함께 발표할게요. 반가운 분들은 반가워하세요 :)


==================================================================================================


소설

김*영 sand***@naver.com / 빨간바나나

김*강  sagga***@hanmail.net  / 단팥빵

김*진  liquz***@hanmail.net / 서향

김*현  wngus2***@hanmail.net / 순심이

김*영  gori***@hanmail.net / gorinus

김*옥  xhapd***@hanmail.net  / 몽상가1호

박*숙  piaos***@hotmail.com / 초록비

서*연  sjyoun***@hanmail.net / 학진사랑

신*진  novel***@hanmail.net / 여의

안*찬  ahn4***@naver.com / 레드미르

양*나  fpygmal***@naver.com / Shining

윤*기  littlefin***@hanmail.net  / littlefinger

이*훈  nanjapp***@naver.com / 그리움마다

이*준 loo***@daum.net / 헤르메스

이*  lh5***@naver.com / 호우호우

장*정  icarus***@hanmail.net  / 이카

정*선  denan***@naver.com / Jouissance

정*윤  jjy9***@hanmail.net / LUNA

정*희  hwan***@gmail.com / 환유

하*연  yellow22li***@gmail.com / 알마!

경제/경영/자기계발

강*철  due***@chollian.net / 강수철

권*훈  kbusi***@hanmail.net / 부시맨

김*중  kimnch***@naver.com / 북로드

김*정  orchi***@hotmail.com / 해기

김*천  jc4***@daum.net  / Yearn

김*환  10cof***@naver.com / 희망사항

김*진  hajin***@hanmail.net / 해진

노*현  onwl***@hanmail.net / Mikuru

박*영  impbo***@gmail.com / 한방블르스

백*훈  hunchb***@paran.com / 은빛연어

양*진  yhjma***@naver.com / 나루세

유*찬  brave***@naver.com / fabrso

이*호  fara***@nate.com / Mr.Children

이*령  1989dlgus***@naver.com / 미운오리

장*범  keyma***@naver.com / 테크리더

장*실  thanxalo***@hotmail.com / 마가렛

정*우 jung.j***@gmail.com / 키치

하*지  eunj***@naver.com / espoir

한*수  neod***@naver.com / 거침없는사내

홍*식  ghdals***@hanmail.net / 만듀우

 

유아/어린이/가정/실용

김*실  1030***@naver.com / 수수

김*엽  smupa***@dreamwiz.com / 상상예찬

김*선  dalki***@naver.com / md

노*화  nsh3***@hanmail.net / 수퍼남매맘

문*실  ansd***@hanmail.net / 엄마유치원

박*배  esui***@naver.com / 꿀꿀페파

박*숙  naeto***@hanmail.net / 다락방꼬마

서*정  seo9***@nate.com / 동화세상

신*진  do***@naver.com / 또치

신*은 mela***@naver.com / 러브캣

이* 정 pop3***@naver.com / 즐거운상상

이*옥  soonok0***@naver.com / 순오기

이*인  sokd***@korea.com / sokdagi

이*순  bari828***@naver.com / 고흥아줌마

임*옥  moomi***@naver.com / 무우민네

임*정  ok4r***@naver.com / 하양물감

정*경  1974***@daum.net / 토토짱

정*진  re***@naver.com / 뵈뵈

최*란  cs***@naver.com / 행복가득

황*원  jun2***@naver.com / 허니곰

에세이

김*희  iki***@naver.com / 소나무집

김*나  dkwnaak0***@naver.com / 미실이

민*영  mum***@naver.com / 불량주부

박*미  heeya_***@naver.com / 앙꼬

박*리  antigon***@naver.com / 이든

박*원  hero0***@naver.com / 시공간여행자

서*연  syun-***@hanmail.net / 라일락

오*경 wavema***@hanmail.net / 지구력강한사랑

오*린  pretty9***@naver.com / 리니Rinny

이*미  writer***@naver.com / 오후즈음

이*운  dnsdn***@naver.com / 쭈우니다

이*람  gag***@naver.com / 독서혁명

이*숙  2w***@naver.com / 푸리울

이*헌  junghu***@hanmail.net / 양손잡이

장*선  dbstjs***@naver.com / 또다른세상

전*택  sucb***@korea.com / 꼼쥐

정*섭  shy3***@hanmail.net / 글샘

정*민  elal***@naver.com / 아놔

한*미  myd***@naver.com / 얼룩

허*정  ysj***@naver.com / 크리스틴

인문/사회/과학/예술

김*현  kgh53***@naver.com / kgh53244

김*섭  rltjq***@naver.com / 구팔

김*연  honeys***@naver.com  / 드림모노로그

김*영  kimveron***@hanmail.net / 더불어숲

노*영  immorta***@hanmail.net / 일개미

박*희  seheebe***@gmail.com / 매리

박*웅  anulom***@empal.com / 흔적

변*래  saint***@hanmail.net / 파워리뷰어

신*호  flo***@hanmail.net / 불꽃나무

안*수  nay2***@hanmail.net / 네오

안*희  seh***@gmail.com / 세모네모

엄*희  ahxkvj***@naver.com / 드보르작

유*준 suici***@hanafos.com  / nunc

이*욱  saint***@nate.com / saint236

이*연  melody_f***@naver.com / 알렉스

이*희  87sunflo***@hanmail.net / qwerta

전*  skytr***@naver.com / 청춘의반신상

조*남  hsb03***@hanmail.net  / 꽃도둑

조*철  1004-8***@hanmail.net / 어린왕자

최*성  gotjd7***@naver.com / cyrus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쎄인트saint 2012-11-13 22: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12기 신간평가단에 오르신 것 축하드립니다~!!
같은 공간에서 활동을 하게 되어 더욱 기쁩니다.

불꽃나무 2012-11-14 10:31   좋아요 0 | URL
네 감사합니다. 여기서 자주 뵈어요~^^

드림모노로그 2012-11-14 18: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축하드려욧 !!!!!! 불꽃나무님 ㅋㅋ 역쉬 대단해 한방에 ~

불꽃나무 2012-11-15 00:23   좋아요 0 | URL
헤헤..그르게요^^;;;ㅋㅋㅋ 단방에 붙다니~ㅋㅋㅋ
 
오래된 연장통 - 인간 본성의 진짜 얼굴을 만나다
전중환 지음 / 사이언스북스 / 2010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난 이런 류의 책이 나올때 마다 걱정이 앞선다. 내가 말하는 이런류의 책이라 함은 과학이라는 이름으로 인간의 모든 삶과 의식과 의미의 작용을 해석하려는 종류의 책을 말한다. 더 자세히 말하면 자연주의적 세계관으로 세상과 인간과 인간사이에 일어나는 모든 희노애락을 하나의 물건이나 기계 따위로 환원(reductionism)시켜려는 과학서적을 말한다. 이 책 또한 그러한 과학적 환원주의의 범주로 분류될 수 있는 책이다. 진화 심리학으로 바라본 인간의 마음과 의식작용은 하나의 연장통에 불과하다. 인간의 마음에서부터 사랑, 음악, 종교에 이르기까지 그 모든 인간 삶의 영역을 연장통에서 연장을 꺼내듯이 하나하나 꺼내어 이것은 이렇게 진화되어온 진화의 산물이며 또한 물질의 영역이라고 말한다. 마음에서 일어나는 모든 것은 단지 오래된 것 뿐이지 인간의 독특한 것이 아니며 하나의 진화의 산물이라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의 제목은 오래된 연장통인 것이다. 

 

솔직히 난 이런 류의 책을 볼때 마다 걱정에 앞서 화가 난다. 왜냐하면 이것은 고작 인간을 하나의 연장이나 기계로 취급해버리는 인간의 자기비하이며 모든 신비의 영역을 벗겨내려는 과학의 오만함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소위 말하는 과학의 전문가들, 과학적 지식으로 똘똘뭉쳐져 일반인들이 접근하기 전문지식으로 풀어내는 그들의 인간에 대한 이야기는 땀흘려 노동을 하고 하루에 감사하는 평범한 노동자들의 인간과 삶에 대한 이해보다 못하다. 그래서 난 그들을 똑똑한 바보들이라고 부르고 싶다. 

 

이 책을 보면서 어떤 계보가 쭉 연결이 되었다. 요즘 출판계에서 자주 언급되고 하나의 학군으로 형성되는 그들의 리처드 도킨스, 다니엘 데닛, 스티브 핑커이러한 계보들은 하나의 동일한 사상군을 형성하며

 

 

(더 첨가해야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사철학 - 이야기 탐구의 아이리스
김용석 지음 / 휴머니스트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자 김용석의 서사철학에는 철학사 한권의 책이 고스란히 녹아있다. 그가 말하는 서사철학, 즉 쉽게 말해서 이야기 철학은 그냥 한명의 철학자가 본인의 철학을 세우기 위해 이야기라는 대상을 정해놓고 시작한 단순한 철학적 작업이 아니다. 이 책을 읽기 전에 너무나도 평범하고 모든 일상 가운데 노출되어 있는 이야기를 너무 지나치게 직업적인 철학적 작업으로 오히려 이야기의 단순성과 소박함과 소통능력을 더욱 복잡하게 얽어놓는 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가 이야기 철학을 세우기 위해 서장에서 풀어놓은 그의 철학적 배경의 매트릭스는 가희 철학의 가장 큰 범주안에 4번째의 영역으로 이야기 철학이 필연적으로 포함된 다는 것을 우리에게 설득적으로 설명해주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저서 <형이상학> 1권에서 철학에 대해 정의하기를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의 유일한 원리를 탐구하는 것이 철학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원리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은 던지고 대답을 시도했던 첫 번째 사람을 탈레스라고 하였다. 탈레스는 철학의 원시적인 형태, 즉 세상의 원리를 신화나 종교에 빗대어 설명한 것이 아니라 철저히 이성과 합리성에 의해 세상의 원리를 설명한 첫 번째 사람이며 이것이 철학의 처음시도라고 한다. 그러나 탈레스의 철학도 앞에 놓인 대상으로서의 자연을 탐구하는 감각적인 사유방식을 벗어나지 못했다고 한다. 진정한 의미에서의 철학은 감각적이지 않고 보이지 않는 '존재' 자체를 탐구하기 시작하면서 순수한 철학의 세워졌다. 이러한 순수철학의 독립과 동시에 철학의 삼대 분류체계가 세워지는데 그 삼대체계는 자연의 원리를 파악하려는 물리학, 인간과 인간간의 관계를 파악하려는 윤리학, 존재 자체를 탐구하는 논리학이 바로 그것이다. 이것은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다시 4대 분류체계로 바뀌는데 인간의 인공적인 산물인 이야기가 바로 그것이라는 것이다. 이로 인해 저자는 이야기 철학의 철학사적 배경을 제공하였다. 실로 고전철학사에 대해서 통(通)하지 않으면 불가능한 산출이다. 이 책의 저자는 먼저 철학사적 고찰을 통해서 서사 철학의 필연성에 대해서 말해주고 이러한 이야기야 말로 진정한 '존재'자체를 탐구하는 진짜 철학과 연결되어 있다고 강조한다.

 

그리고 이야기 철학의 대상을 신화, 대화, 진화, 동화, 혼화, 만화, 영화 7가지로 정한다. 저자는 결국 7가지의 서사철학의 대상을 통해서 인간존재로 소급해 올라가고자 하는 처음의도에 도달하고자 한다. 신화를 통해서는 처음 인간존재의 기원을, 대화를 통해서 인간실존의 기원을, 진화를 통해서는 인간생명의 기원을, 동화를 통해서는 선한 인간존재의 기원을, 혼화를 통해서는 상상하는 인간의 존재의 기원을, 만화를 통해서는 놀이하는 인간존재의 기원을, 영화를 통해서는 미래적 인간존재의 기원에 대해서 말하고자 한다.

 

그런데 여기서 진화를 뺀 나머지 6가지 신화, 대화, 동화, 혼화, 만화, 영화는 모두가 거기에다가 서사철학을 부여할 수 있는 충분한 이야기가 존재한다. 그러나 진화를 이야기 철학의 대상으로 삼은 것은 저자의 철학적 고집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그런지 아이러니하게도 7개의 대상 중에 가장 서사적 요소가 적은 진화에 대한 분량이 가장 많았다. 진화에 이야기적 요소를 찾는 것은 비극을 희곡으로 만드는 것과 같다고 생각한다. 20세기 인류의 사고방식에 가장 커다란 변화를 주었던 진화에 이야기적 요소를 부여하는 것은 그것을 하나의 소설로 만드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결국 이 책의 저자는 서사철학이란 인간이 처음으로 만들어 놓은 인공적인 산물인 이야기를 통해서 근원적인 존재가 무엇인지 찾아 가려고하는 참 철학이라는 것을 말하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게오르그 짐멜의 모더니티 풍경 11가지 인문정신의 탐구 5
김덕영 지음 / 길(도서출판)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게오르규 짐멜은 독일 사회학계의 이방인이다. 그의 이름을 들은 것은 몇년전 조선일보 신문광고에 실린 그의 책에 대한 소개를 보고서이다. 먼저 나의 관심을 끌었던 것은 그가 사회학자라는 것이다. 철학에 대한 관심으로 그간 여러 철학책을 보아왔다. 그러나 철학이라는 것이 마르크스의 말대로 그간 세상을 해석해오기는 했는데 세상을 변혁시키지 못했다라는 결론에 나도 이르게 되었다. 철학은 현실에 대한 관심보다는 형이상학에 대한 관심이 많았기 때문이다. 철학에 대한 약간의 회의에서 관심을 돌리게 된 것이 바로 사회학이다. 사회학은 그 대상을 사회와 사회현상, 그리고 그 사회의 구성원들에게 관심을 돌리기 때문에 학문적이지만 사변적이지는 않는다.

 

사회학자들 중에 모더니티에 대한 담론을 몇가지로 정리해서 매우 현실적이면서도 깊이있는 진단을 해주는 것이 바로 게오르규 짐멜이다. 이 책은 짐멜에 대한 천착으로 여러해 동안 짐멜연구에 빠져있었던 김덕영이 쓴 짐멜에 대한 소개서이다. 소개서라고 하기에는 너무 방대하지만 그만큼 매우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졌던 게오르규 짐멜을 잘 정리해주고 있다.

 

나는 짐멜이 분류한 분류대상이 마음에 든다. 가장 먼저 모더니티 담론의 첫번째 대상이 된 것은 돈이다. 돈은 가장 현실적 삶에 전방에 서있는 물질이다. 돈을 담론의 첫째 대상으로 삼는 짐멜의 현실적인 태도가 너무 좋았다. 사용하는 용어나 전개방식이 개념적인 용어를 주로 이용하기 때문에 이해하기가 쉽지는 않지만 이 책을 통해서 진짜 세상을 변혁시키는 담론에 대해 맛을 볼수 있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댈러웨이 2012-11-11 17: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불꽃나무님, 아, 쉬운 책을 읽으시는 분이 아니셨네요! 저도 책 좀 부지런히 읽어서 내공이 쌓이면 인문쪽으로 영역을 넓히고 싶은데 오래 걸리겠어요. 그동안 열심히 눈팅이라도 해서 책이나 인문학자들 이름이나 익히는 수 밖에요. 틈틈이 올께요. 아는 게 없어서 댓글을 자주 남길 수는 없을 것 같긴 하지만요.

불꽃나무 2012-11-13 21:15   좋아요 0 | URL
그냥 좀 관심이 생겨서..이런 인문분야의 책을 주로 읽어요..
배울것이 많아서요. 전 소설이나 문학종류를 많이 읽어야 되는데
댈러웨이님의 리뷰를 많이 봐야 겠어요. 이렇게 찾아주셔서 댓글을
남겨주시니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