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로 원폭을 개발한 미국의 맨하탄 프로젝트를 진두지휘한 과학자가 바로 오펜하이머이다.그에 대한 이야기를 다른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영화 오펜하이머가 작년에 전 세계에 개봉되었고 큰 흥행을 한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런데 오펜하이머가 일본에선 작년에 개봉하지 못하고 올 4월초엔가 개봉한다는 소식을 들었다.원자폭탄을 개발하여 일본인들에게 씻지못할 피해를 준 오펜하이머의 영화에 일본 국민에 대한 미안함이나 사과가 없어 약 일년간 영화가 보류되었단 것이다.


일본 제국주의시절 조선을 병합하고 징용이나 징병 그리고 정신대등으로 많은 조선인들을 사망케하고 수십만을 죽인 남경 대학살을 저질렀으면서다 여직 제대로 된 반성 하나 하지않는 일본놈들이 할 말은 아니란 생각이 든다.

전쟁을 통해 수많은 조선인등 아시안인들을 학살한 놈들이 마치 자신은 아무죄도 없는 피해자인냥 하는 짓거리를 아지고 하는 것이 역겨울 따름이다.


오펜하이머는 자신이 만든 원자폭탄의 위험함에 이후 미국 정부의 갖은 핍박에도 반전과 원폭반대를 했다고 한다.

일본인들은 영화와 책좀 읽으면서 왜 자신들이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원폭으로 두둘겨 맞았는지 좀 심각하게 반성을 했으면 한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케플러의 초신성에 관한 글을 올리면서 우리 조상등이 천문에 관해 얼마나 자세히 기록했는지에 대해 글을 올렸는데 사실 우리는 조상들이 천문지리에 얼마나 진심이었는지 후손이면서도 잘 알지를 못합니다.


우리나라의 전통 천문학이 서양에 처음 체계적으로 소개된 것은 1936년의 일인데 1907년부터 평양신학교에서 수학과 천문학을 가르쳤던 W. C. 루퍼스(Will Carl Rufus)는 우리의 전통 천문학에 대해 연구했고, 그 결과를 왕립아세아학회 한국지부 간행물 등에 발표하곤 했습니다. 그는 1936년에 그간의 연구들을 모아 <한국 천문학>(Korean Astronomy)이라는 영문 책자를 간행했는데, 여기에는 단군, 기자 시대부터 고구려와 신라, 백제의 삼국시대를 거쳐 고려와 조선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 각 나라의 천문학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였다. 특히 조선시대는 매우 상세히 서술해서 전체 내용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을 정도입니다.


<한국 천문학>에서 본문 못지않게 돋보이는 부분은 권말에 실려 있는 풍부한 그림 자료들인데 비록 흑백이긴 하지만 1930년대 당시에 입수할 수 있었던 여러 자료를 사진으로 실었습니다.

영문서적 <한국 천문학>(Korean Astronomy)에 실린 1930년대 당시의 서울 관상감 관천대. 현재 서울 계동 현대건설 사옥 경내에 있다.

위 사진은 서울 관상감 관천대로 휘문고등보통학교 교정에서 담벼락과 붙어 있는 이채로운 면모를 보여주는데 현재 계동의 현대건설 사옥 부지 안에 있습니다.


참고자료로 실린 표들 중에서 가장 먼저 나오는 것이 동양의 전통 별자리인 28수인데 각각 동북서남 네 방위를 맡는 청룡, 현무, 백호, 주작 네 신과 그에 따른 일곱개씩의 별자리를 기록했고 이들이 서양 별자리와는 어떻게 대응되는지도 밝혀두고 있습니다. 또 이들 각각이 어떤 동물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그중에서 십이지신에 해당되는 것은 무엇인지도 다 표시했네요. 요즘은 동양에 독자적인 별자리가 있다는 사실조차 모르는 이가 많지만 루퍼스가 80여년 전 이 책을 집필할 당시만 하더라도 우리나라 사람들의 일반교양 상식이었을 것이린 생각이 듭니다.

<한국 천문학>에 실린 동양의 별자리 28수 소개 표.


시실 한국천문학은 오래전에 영문으로 출간된 책이기에 현재 우리가 읽을수 없을 거랜 생각을 했는데 다행스럽게도 2017년에 번역되어 국내에 간행이 되었습니다.


가격이 7만원이 되서 부담이 되긴하는데 우리의 천문역사에 대해 아시고 싶으신 분들이라면 일독해 보시길 추천해 드립니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마 고딩시절 지구과학을 선택하신 분들이마면 초신성이란 단어를 들은 기억이 나살 겁니다.초신성은 태양같은 항성이 말그대로 펑하고 터져버리는 현상을 가르키는데 이 떄 엄청난 폭팔력으로 읺애 지구에서 갑작스레 밝은 빛의 별을 보곤 합니다.


지구에서 관측한 마지막 초신성은  1604년10월 9일 이탈리아에서 처음 발견되었는데 이 소식을 들은 케플러는 1년간 이를 연구하며서 뱀 주인자리의 발 부분에 있는 신성이란 책을 출간했고 그래서 이 초신성을 흔히 케플러의 초신성이라고 부릅니다.

그런데 케플러의 관측에 약간의 오류가 있어 후대의 학자들이 고생을 했는데 이를 보안해준것이 바로 우리의 조선왕조 실록이라고 합니다.즉 조선왕조실록의 기록 덕분에 케플러 초신성이 Ⅱ형이 아니라 Ⅰa형이란 것이 밝혀지게 되었습니다.

케플러 초신성에 대해 가장 자세히 관측한 자료가 남아 있는 기록은 우리나라의 ‘조선왕조실록’인데 선조 37년인 1604년에 장장 7개월여에 걸쳐 이 별에 대해 꼼꼼하게 관찰한 기록이 선조실록에 담겨 있지요. 처음 관측한 날짜도 케플러보다 나흘이 빠르고 기록도 매우 상세해서, 현재 세계 천문학계에서는 케플러 초신성의 주요 연구 자료로 선조실록을 채택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한가지 아쉬운 점은 이런 사실을 우리 학자들이 아니라 1966년 중국학자(아마도 대만학자로 추정)들이 이를 확인하고 세계 천문계에 이를 보고하고 우리는 이런 사실을 30년 뒤에나 알았다는 사실입니다.

선조들의 훌륭한 기록물이 있어도 후손들이 이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니 이런 일도 발생해 조상님 볼 낯이 없을것 같군요.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국 지하철에 나오는 동영상이라고 하는데 전 한번도 본 적이 없는것 같아요.


혹시 이 동영상 보신 알라디너 분 계신가요??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가 생각하는 네번째 환상의 책은 아마도 칼라판 안데르센 동화전집이 아닐까 싶습니다.이 안데르센 동화전집은 초딩 1~2학년 시절 이모네 놀러가서 읽었던 기억이 있는 책입니다.이 책은 안데르센 동화전집의 축약본이라고 할수 있는데 책 내용의 삽화가 컬러로 되어있는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지금도 기억나는 가장 기억이 나는 동화는 바로 눈의 여왕이네요.


컬러판 안데르센 동화전집은 60년대 아니면 70년대 작품으로 생각되는데 제 기억에는 대략 6권 정도로 상당히 두꺼운 동화책이었단 생각이 듭니다.하지만 커서 헌책방을 드나들적에 굳이 아동용 도서에 관심이 없기도 했지만 의외로 이 전집은 본 기억이 나질 않습니다.

이후 3권짜리 안데르센 동화전집을 구매했는데 축약본이 아닌 완역본이어서 읽으며서 어린 시절 재미있게 읽은 기억이 다시 떠오릅니다.


현대에서 나온 3권짜리 안데르센 동화전집도 좋지만 그래도 어릴적 읽은 추억의 컬러판 안데르센 동화전집을 구하고 싶어 인터넷을 뒤져보는데 기억과 일치하는 책을 찾기 힘드네요.

인터넷을 검색해보면 여러 출판사에서 아동용 안데르센 동화전집을 간행했는데 그나마 가장 비슷한 것이 71년도에 신진출판사에서 간행한 안데르센 동화전집 10권입니다.


그런데 책에 컬러판이란 글귀가 빠지고 제 기억에는 사진속 책의 두께보다 더 두꺼우며 대략 6~8권정도여서 신진판이 아닐 확률이 높을 것 같습니다.

물론 더 검색을 해봐야 겠지만 아동용 도서라 그런지 의외로 컬러판 안데르센 동화에 대한 정보가 없는데 워낙 어릴적 기억이라 제 기억이 틀릴수도 있으니 아무래도 환상속의 책이 아닐까 싶습니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