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변신·시골의사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
프란츠 카프카 지음, 전영애 옮김 / 민음사 / 1998년 8월
평점 :
프란츠 카프카의 <시골 의사>라는 단편을 읽었다. 내가 이 작품을 잊지 않는 까닭은 카프카를 소개할 때마다 <시골 의사>라는 단편은 꼭 들어가 있었기 때문이다.
나는 카프카의 성격, 그것도 수동적 성격에 대해서 오랫동안 생각했다. 카프카로 인해서 바뀐 생각과 태도는 초등학생 대상 강의에서 나타났다. 교실에서 가장 말 안 하는 아이, 말을 하기 힘들어하는 아이, 주변은 인식하면서 조금이라도 안전하지 않으면 입을 닫는 아이의 입을 열게 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까닭은 카프카 때문이다. 말하지 않은 입이야말로 대단한 말이 숨겨져 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시골 의사>도 카프카 인물의 수동적인 특성들을 고스란히 가지고 있다. 카프카의 주요 인물들은 카프카처럼 당하기만 한다. 그러면서 꾹 참으며 따라가고 기록한다. 적극적인 저항을 하지 않기 때문에 상대의 폭력성이 더욱 선명하게 나타난다. 격렬한 저항을 하면 그것이 상쇄돼 버리기 때문이다.
카프카의 단편들을 한꺼번에 볼 수 있어서 단편전집은 늘 손에 잡히는 곳에 있다.
시골 의사는 위급한 환자가 있다는 소식을 듣고 발을 동동 구른다. 강한 눈보라가 모든 공간들을 집어삼켰기 때문이다. 하녀 로자는 말을 구하기 위해서 동네를 헤맸다. 기적처럼 마차를 얻어왔지만 마부는 다른 목적이 있었다. 카프카의 앞에서 로자를 겁탈하려고 한 것이다. 그것은 시골 의사가 맞닥뜨린 첫 번째 당황스러운 사건이었다. 소설을 다 읽고 나면 처음부터 타겟이 로자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암시적으로 나타난 문장들을 해석한다면 마을은 모두 한통속이다. 로자를 겁탈하기 위해서 온마을이 시골 의사를 속인 것이다. 위급한 환자의 알림으로부터 시작해서 기적적으로 나타난 마차, 그리고 어린 환자의 집에서 목격한 기이한 장면들은 '로자'를 차지하고 싶은 마부의 탐욕으로 해석하면 모든 것이 연결된다. 그리고 의미심장한 아래 구절
방안 공기는 거의 숨을 쉴 수 없을 지경이다. 내버려둔 부뚜막에서는 연기가 솟아올랐다. 나는 창문을 열어제칠 것이다. 그러나 우선 나는 환자를 본다. 마르고, 열은 없다. 몸은 차지도, 뜨겁지도 않다. 초점 없는 공허한 눈, 윗저고리도 입지 않은 채 그 소년은 새털 이불 밑에서 몸을 일으키더니, 나의 목에 매달려 내 귀에 속삭인다. "의사 선생님, 저를 죽게 내버려 두세요." 나는 주위를 둘러본다. 아무도 그 말을 듣지 못했다. 부모는 몸을 숙인 채 말없이 서서 나의 판단을 기다린다. 누이는 나의 손가방을 위해 의자를 가져왔다. 나는 가방을 열고 의료기들을 뒤진다. 그 소년은 침대에서 손을 뻗쳐 계속 나를 더듬으며, 나에게 자신의 부탁을 상기시키려고 한다.
소년은 어쩌면 온마을이 공모한 범죄의 미끼가 된 사실에 대해서 알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시골 의사>는 암시적인 상징으로 가득하다. '시골 의사'는 비열한 도시에 사는 유일한 양심적 인물 또는 지성을 상징한다. 아무도 그의 지성과 양심을 이해하지 못하고, 그렇기 때문에 존중하지 않는다. 그저 누군가 아플 때 써먹는 의료 도구일 뿐이다. '하녀 로자'는 양심과 지성을 돕는 사람으로서 비극의 희생양이다. 그는 의무적으로 또는 양심적인 이유로 팔을 걷어붙이고 돕지만 헛수고가 되거나 본인도 위험해진다. 두 사람은 공동운명체로서 난파선 위에서 함께 물에 잠기는 중이다. 마부는 시골 의사를 완전히 장악한 빌런이다. 시골 의사가 개미라면 마부는 개미 지옥이다. 마부는 시골 의사가 의사로서의 사명을 지킬 것이라는 사실도 알고 있다. 시골 의사가 두 눈 뜨고 있는 상황에서 버젓이 로자를 겁탈하려 한다. 시골 의사의 무력감은 마부로 인해서 극대화된다. 마부 같은 캐릭터는 현실에서 얼마든지 볼 수 있다. 나의 천적이었던 많은 사람들이 뇌리에서 지나간다. '마부'는 먹이사슬의 정점을 이루는 최상위 포식자다. 카프카의 작품목록에 <시골 의사>가 들어가는 이유는 카프카 월드의 약도 같은 작품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