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 세상 생쥐에게 축복을! 작은 책마을 35
로이스 로리 지음, 에릭 로만 그림, 홍연미 옮김 / 웅진주니어 / 2013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 온 세상 생쥐에게 축복을! Bless this mouse, 2013

지음 로이스 로리

그림 에릭 로만

옮김 홍연미

펴냄 웅진주니어

작성 : 2017.02.12.

  

이 세상은 절대적인 동시에 상대적일 것이니.”

-즉흥 감상-

  

  마치 사람인양 옷을 입고 있는 귀여운 생쥐가 그려진 표지를 살짝 넘겨봅니다그러자 이야기의 무대가 될 성 바르톨로메오 성당의 평면도이 이어 출연진들의 소개가 보이는군요그리고는 아기 쥐들이 새로 태어났다는 소식에 힐데가르트라는 이름의 생쥐가 질주하는 것으로 시작의 장을 엽니다그는 성당에서 공동체를 꾸리고 있는 생쥐들의 대장이었는데요조만간 있을 성 프란치스코 대축일에 앞서 생쥐 식구들을 지키기 위해 정신없는 나날을 보내고 있었는데…….

  

  다른 건 일단 그렇가 치고 성 프란치스코 대축일이 어떤 날인지 알려달라구요사전에서 어떻게 내용을 정리하고 있나 싶어 검색을 해보았지만잘 나오지 않는군요그래서 책에서 나온 부분을 정리해보는데요축일은 10월 4일로생쥐들의 관점에서는 동물을 사랑하신 성인을 기리는 날입니다특히 동물축복식이 진행될 때 고양이가 참석할 가능성과 그 이전에 그들을 처리하기 위해 올지도 모를 X씨를 두고 생쥐들의 대장인 헬데가르트의 신경이 곤두선 것인데요적다보니 다른 이야기로 흘러가고 있었군요아무튼이 작품과 관련하여 성 프란치스코에 대해 설명해주실 분 있으시면도움의 손길을 내밀어주시기 바랍니다.

  

  이 작품은 종교와 관련된 내용이냐구요그렇지는 않습니다그냥 성 프란치스코 대축일을 앞두고 있으며 생쥐들이 성 바르톨로메오 성당에서 살고 있었을 뿐인데요자칫 그들의 삶이 죽음으로 변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살아남기 위한 전략전술을 시행하는 등의 이야기가 펼쳐지고 있었습니다하지만 그렇게 무서운 이야기가 아니니읽기 전에 참고삼아 질문하신 거라면 안심하고 책을 펼치셨으면 하는군요.

  

  분량이 어느 정도인지 알려달라구요책은 표시된 것만 188쪽으로귀여운 생쥐그림과 함께 열두 편의 짧은 이야기로 구성되어있습니다하지만 독립된 단편집이라기보다는각각의 이야기를 하는 듯 했지만 사실상 하나의 흐름으로 이어지는 연작집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과연 성 프란치스코 대축일까지 생쥐들이 어떤 일을 어떤 생각으로 하게 되었는지는 직접 작품을 만나시어 감상과 생각의 시간을 가져주셨으면 합니다.

  

  생쥐들이 사람처럼 옷을 입고 말을 하고 있으니 이 작품은 우화’ 아니냐구요~ ‘인격화한 동식물이나 기타 사물을 주인공으로 하여 그들의 행동 속에 풍자와 교훈의 뜻을 나타내는 이야기.’의 측면에서 보면 우화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하지만 이 작품에는 동물만이 아닌 사람도 함께 등장하고 서로 대화까지 하는데요제 기록을 읽어주시는 분들은 어떻게 받아들이셨을까 궁금해집니다개인적으로는 로이스 로리 식 우화가 아닐까 생각하는군요.

  

  그건 그렇다 치고즉흥 감상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알려달라구요생쥐들의 삶을 그리고 있었지만그것을 인간의 삶에 비추어보아도 크게 다를 것이 없지 않나 생각했습니다위계질서를 통해 나름의 평화를 유지하며 살아가고 있지만 그들 스스로도 항상 갈등을 품고 있으며심지어는 압도적인 힘을 가진 존재로 인해 그런 삶이 송두리째 날아 가버릴 수 있는 모습에서 위의 즉흥 감상을 적어볼 수 있었는데요혹시나 나른 생각 있으시면 따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그럼코믹 언제까지나 두근두근, 2016’의 감상문으로 이어보며이번 기록은 여기서 마칠까 하는데요혹시나 작은 털복숭이에 대해 알레르기가 있는 분들은아무리 로이스 로리의 팬이라고 해도 참아주시기 바랍니다일러스트가 생각보다 사실적이어서 말입니다크핫핫핫핫핫핫!!


TEXT No. 2753

 

  [팬카페][트위터][페이스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자비한 윌러비 가족 생각하는 책이 좋아 2
로이스 로리 지음, 김영선 옮김 / 주니어RHK(주니어랜덤) / 200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 무자비한 윌러비 가족 The Willoughbys, 2010

지음 로이스 로리

옮김 김영선

퍄냄 주니어RHK(주니어랜덤)

작성 : 2017.02.12.

  

동화와 현실 사이에서 우리는 무엇을 읽고 생각할 것인가?”

-즉흥 감상-

  

  붉은 현관이 인상적인 4층짜리 건물이 그려진 표지를 살짝 넘겨봅니다그러자 성이 윌러비인 가족이 있었으며부모를 포함해 전원이 여섯이라는 소개로 시작의 장이 열리는데요어느 날현관에 누군가 아기를 버리고 갔음을 알립니다하지만 자기들 집에서는 더 이상 아이를 기를 수 없기에아이들은 홀로 살고 있는 부잣집으로 배달 해버리는군요그리고 꼴 보기 싫은 엄마아빠를 처리하기 위해 작전을 펼치지만아빠엄마 역시 아이들을 없애버리기 위한 계획을 실행하는데…….

  

  으어제목 그 자체로 무자비한이야기였습니다아이들은 부모를부모는 아이들을 없애기 위한 무서운 이야기가 펼쳐졌는데요이게 과연 아이들을 위한 이야기인지 의문이 들었습니다그러면서 문득 떠오른 것이 있었으니우리가 보통 아름답다고 생각하고 있던 동화들도 무삭제버전으로 만날 경우 기괴하고도 끔찍했다는 사실인데요그런 점에서 보면 이 동화는으흠미묘하군요부족한 글 솜씨로는 감정을 적을 수가 없으니직접 작품을 만나시어 감상과 생각의 시간을 가져주시기 바랍니다.

  

  제목을 보니 한국 제목은 무자비한 윌러비 가족인데 왜 영어제목은 ‘The Willoughbys’ 뿐이냐구요영어 제목만 번역을 하게 되면 윌러비 가족이 됩니다하지만 처음부터 윌러비 가족으로 작품을 접하게 어딘가 모르게 밋밋한 느낌이라 무자비한을 더 붙인 것이 아닐까 하는데요다른 의견 있으시면 감사히 받겠습니다그리고 내용 중에 무자비한 ruthless’에 대한 풀이가 나오니 참고바랍니다.

  

  이 작품은 다른 동화들에 대한 오마주가 담겨 있다고 하는데어떤 작품들인지 알려달라구요아이들이 스스로를 고아로 만들기 위한 계획을 이야기하면서 언급되는 작품으로 소설 비밀의 화원 The Secret Garden, 1909’, ‘폴리애나 Pollyanna, 1913’, ‘빨강머리 앤 Anne of Green Gables, 1908’ 등이 언급됩니다그리고 아이들을 버리기 위한 아빠 엄마의 계획에서는 헨젤과 그레텔 Hansel and Gretel, 1812’이 살짝 언급되는데요개인적으로는 삶의 의욕을 잃은 마을의 부자의 모습에서 찰리와 초콜릿 공장 Charlie and the Chocolate Factory, 1964, 1995’이 떠올랐습니다이밖에도 다른 작품이 떠오르신 분이 있으면 살짝 찔러주시기본편이 끝나고 이어지는 [이 책에 나오는 세계 명작]에 보면 작품이름과 내용요약이 나와 있다구요오호감사합니다!

  

  다른 건 일단 그렇다 치고 이야기가 행복하게 끝나는지 알려달라구요일반적인 동화와 비슷하게 긍정적인 마침표가 찍히긴 했습니다하지만 모든 출연진이 그리 행복하지는 못했는데요흐음궁금하신 분은 아시죠저에게는 미리니름을 하는 취미가 없다는 사실을크핫핫핫핫핫핫!!

  

  진정하고 즉흥 감상을 풀이해달라구요이 작품은 다양한 동화를 언급하며 그것을 자신들의 현실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아이들이 주인공입니다하지만 예상한 것과는 다르게 상황이 이어지자 어떻게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발버둥 치는데요그림 형제의 동화도 사실은 민담전설괴담을 재구성 한 것으로 알고 있는 바작가 또한 그것이 현실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말하고 싶었던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으로 즉흥 감상을 적어보았습니다.

  

  그럼작가의 다른 책인 동화 온 세상 생쥐에게 축복을! Bless this mouse, 2013’의 감상문으로 이어보며이번 기록은 여기서 마칠까 하는데요이 작품이 2018년을 목표로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진다는 정보를 잡았습니다과연 어떤 모습으로 만들어질지 궁금해지는군요!


TEXT No. 2752

 

  [팬카페][트위터][페이스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화 작가가 된 구니 버드 동화 보물창고 20
로이스 로리 글, 미디 토마스 그림, 이어진.이금이 옮김 / 보물창고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제목 우화 작가가 된 구니 버드 Gooney the Fabulous, 2007

지음 로이스 로리

그림 미디 토마스

옮김 이금이이어진

펴냄 보물창고

작성 : 2017.02.11.

  

당신만의 우화는 무엇입니까?”

-즉흥 감상-

  

  책은 개미와 베짱이라는 우화를 읽고 그것에 대해 각자의 생각을 이야기하는 어느 교실로 시작의 장을 엽니다그리고는 점심시간에 선생님과 대화를 나누던 중 나의 우화를 만들기로 하는데요선생님을 시작으로 반 아이들은 각자 자신의 이름 첫 글자가 들어간 동물을 대표로 하여각자가 준비한 우화를 이야기하는데…….

  

  다른 건 일단 그렇다 치고 구니버드라는 이름이 어딘가 익숙하다구요설마 영화 구니스 The Goonies, 1985’를 떠올리신 건 아니겠지요아무튼개인적으로는 이야기가 끝나고 이어지는 옮긴이의 말에서 이보다 앞선 이야기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요아마도 최고의 이야기꾼 구니 버드 Gooney Bird Greene, 2002’를 먼저 만나보셨던 것이 아닐까 합니다.

  

  구니버드가 최고의 이야기꾼에서 우화작가가 되었다고 하니 어떤 내용인지 궁금해지신다구요앞선 이야기를 아직 만나보지 못한 상태이기에 어떻게 이어지는지는 모르겠습니다다만 제목을 통해 작품을 보면 최고의 이야기꾼 구니 버드에서는 원제목이 ‘Gooney Bird Greene’ 인만큼 구니 버드라는 학생의 개성 넘치는 소개가 있었을 것 같고이번 책은 ‘Gooney the Fabulous’ 인만큼 구니 버드가 들려주는 우화가 이야기의 정점을 찍었는데요궁금해서 현기증 날 것 같으니앞선 이야기도 빨리 만나보고 싶습니다.

  

  일러스트로 그려진 구니 버드를 보니 말괄량이 삐삐가 떠올랐는데둘의 관계가 궁금하다구요붉은 머리카락에 주근깨가 인상적이며 장난기가 가득한 표정이 닮아있긴 합니다하지만 내용에서 펼쳐지는 구니 버드는 추억 속의 삐삐와는 느낌이 달랐는데요그저 닮아 있을 뿐인전혀 다른 사람이었습니다.

  

  책 표지에 보니 뉴베리 상이 적혀있던데이 책이 그 상을 받은 거냐구요아닙니다책의 저자인 로이스 로리는 별을 헤아리며 Number the Stars, 1989’와 기억 전달자 The Giver, 1993’로 뉴베리 상을 받았습니다이번 책은 뉴 베리 상 수상 작가의 동화책이라고 하는 것이 정확할 것인데요개인적으로는 지금까지 만나온 작가의 다른 작품들과 분위기가 사뭇 달랐다고만 적어봅니다.

  

  어떤 점에서 분위기가 달랐는지 알려달라구요~ ‘기억 전달자 4부작에 이어 꿈 전달자 Gossamer, 2006’까지는 익숙한 것에 대한 다른 시야를 제공함으로서 상황을 상상하게 만드는 힘이 있었습니다하지만 이번 책은 일러스트가 함께 하고 있었기 때문일까요아니면 지금까지와는 달리 판타지가 아닌 일상에서의 이야기였기 때문일까요그것도 아니라면 아직은 적응의 시간이 필요했던 것일까요그 무엇이 답이 되었든 저는 로이스 로리 이어달리기를 계속 진행해볼 뿐입니다.

  

  자꾸 다른 이야기만 하지 말고 작품에 집중을 하라구요으흠책은 표시된 것만 151쪽으로일러스트와 함께 이야기를 펼쳐 보이고 있었습니다표면적으로는 우화를 만들어가는 과정을 말하는 것 같지만개인적으로는 학교생활과 자연적인 학습 분위기에 대해 말하고 있다 받아들였는데요다른 분들은 또 어떻게 읽으셨을지 궁금해지는군요.

  

  그럼동화 무자비한 윌러비 가족 The Willoughbys, 2010’의 감상문으로 이어보며 이번 기록은 여기서 마칠까 하는데요제 기록을 읽어주시는 분들도 로이스 로리 이어달리기를 함께 해보시는 건 어떠신가요?


TEXT No. 2751

 

  [팬카페][트위터][페이스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색채심리학 -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컬러 휴먼테라피 Human Therapy 49
김선현 지음 / 이담북스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 색채심리학-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컬러, 2013

지음 김선현

펴냄 이담북스

작성 : 2017.05.10.

  

갑자기 왜 차크라에 대한 설명이 나오나 싶었네.”

-즉흥 감상-

  

  책은 일상 속에서의 과 그것을 적절한 활용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는 저자의 인사글인 [머리말]로 시작의 장을 엽니다그리고 일반적인 에 대한 내용을 다룬 [], 동양과 서양에서 말해지는 색채에 대한 설명인 [동서양의 색채], 의식주와 영화나 명화와 같은 예술작품에서의 색채상징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생활에서의 색채], ‘색채치료와 관련 된 개념과 효과부터 임상적 응용에 대한 실험과 그 결과에 대한 [색채와 심리]와 같은 내용이 펼쳐지고 있었는데…….

  

  즉흥 감상에서 적은 차크라라고 하면, ‘나루토에 나오는 그거 아니냐구요그렇기도 하고 아니기도 합니다차크라라는 것은 일본의 닌자가 사용하는 마법 같은 기술을 위한 힘이라기보다, ‘힌두교와 탄트라 불교의 일부 종파에서 행해지는 신체수련에서 중요시되는 개념인데요이 부분은 멜라네시아 일대의 원시종교에서 볼 수 있는 비인격적인 힘의 관념을 말하는 마나 Mana’가 판타지에서 무분별하게 사용되는 것과 비슷한 맥락으로 생각 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그건 그렇다 치고 즉흥 감상에 왜 차크라를 언급했냐구요이 책을 고른 이유는 사실막연하게 알고 있던 색에 대한 이론에 대해 조금의 명확성을 더 얻어 볼까 싶었습니다하지만 [색채와 심리]에서 차크라에 대한 부분이 생각보다 길어지자 이상하다고 생각하게 되었던 것인데요확인결과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컬러라는 부제목을 발견하고 무릎을 탁쳤습니다.

  

  그렇다면 이 책은 어떤 관점에서 만나보면 좋을지 알려달라구요개인적으로는 발판으로서 만나보시는 것을 권장합니다그리고 음양오행이나 오방색차크르와 같은 주술적인 내용이 나와도 당황하지 않으셨으면 하는데요그만큼 이라는 것이 다양한 방면에서 이야기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가는 데 초점을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개인적으로도 색은 빛이고빛은 연속성을 지닌 스펙트럼이라는 말을 좋아하는데요무지개의 색이 사실 일곱 가지가 아니듯빛과 색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들을 만나실 수 있었습니다.

  

  이 책이 휴먼테라피 시리즈의 49번째로 알고 있는데휴먼테라피가 뭐냐구요으흠감사합니다이번 책에 대해 또 무슨 이야기를 하면 좋을까 고민하고 있었는데이렇게 또 도움을 받아보는군요아무튼, Human은 인간, Therapy는 치료를 의미하는데요다른 책은 아직 만나보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치료법에 대한 고민을 담은 시리즈가 아닐까 생각합니다하지만 이건 개인적인 생각이니이 시리즈의 취지를 알고계신 분은 도움의 손길을 내밀어주셨으면 하는군요.

  

  다른 건 그렇다 치고 재미있는지가 궁금하시다구요재미란 객관적인 것이 아닌 주관적인 기준입니다아무튼 개인적으로는 흥미롭게 읽어볼 수 있었는데요초반에는 미술시간에 들어봤을 법한 빛과 색에 대한 상식이 나오기에 지루할 수도 있습니다하지만 뒤로 갈수록 생각지도 못했던 분야에서 빛과 색이 우리 인간의 삶에 끼치는 영향을 읽으면서는 재미있어졌는데요이것이 살아가는데 어떤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지만한번은 읽어봐도 좋은 책이라고 속삭여봅니다.

  

  아무튼 이렇게 해서 뜻하지 않은 재미를 선물해준 책을 한 권 만나볼 수 있었는데요. ‘휴먼테라피라는 새로운 이어달리기가 시작되는 것은 아닐까 행복한 고민의 시간을 가져보겠다는 것으로이번 기록은 여기서 마칠까 합니다.

  

  아이어지는 감상문은 동화 우화 작가가 된 구니 버드 Gooney the Fabulous, 2007’가 되겠습니다.


TEXT No. 2750

 

  [팬카페][트위터][페이스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할로우 시티 - <페러그린과 이상한 아이들의 집> 두 번째 이야기 페러그린 시리즈 2
랜섬 릭스 지음, 이진 옮김 / 폴라북스(현대문학)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 할로우 시티 Hollow City, 2013

지음 랜섬 릭스

옮김 이진

펴냄 폴라북스(현대문학)

작성 : 2017.01.17.

  

인생은 럭비공과 비슷해어디로 튈지 알 수가 없거든.”

-즉흥 감상-

  

  할아버지의 과거와 자신의 정체성을 제대로 이해하기 무섭게, ‘할로우와 와이트의 습격을 받은 페러그린과 이상한 아이들’ 그리고 제이콥그 결과 오랜 세월동안 이상한 아이들을 지켜주었던 루프가 파괴되고 마는데요우여곡절 끝에 납치되었던 페러그린 원장을 되찾았지만이번에는 부상을 입은 그녀를 새의 모습에서 인간으로 되돌리기 위한 여행길에 오릅니다하지만 그 무엇 하나 보장받을 수 없는 여행길은그들 모두를 절규의 구렁텅이로 몰고 갈 뿐이었는데…….

  

  다른 건 일단 그렇다 치고 이번 이야기는 영화의 어느 부분을 담고 있는지 궁금하다구요아쉽게도 두 번째 이야기는 영화화 되지 않았습니다영화는 페러그린 원장이 납치 되었기에 다시 찾기 위해 여행을 떠났지만소설은 납치된 원장을 다시 찾긴 했지만 부상을 입어 인간으로 돌아오지 못하는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여정이 펼쳐지는데요세계대전의 포화와 인간의 탈을 쓴 와이트의 추격을 받으며 펼쳐지는 이야기는즉흥 감상마냥 어디로 튈지 몰라 정신없이 만나보았습니다.

  

  그럼 두 번째 이야기는 영화로 만들어지지 않는거냐구요모르겠습니다개인적으로는 영화보다 드라마로 만들어지지 않을까 하는데요비록 영화 화면의 연출은 멋지고 환상적이었을지 몰라도스토리텔링과 설정에 있어서는 너무 많은 것이 생략되었었기 때문입니다그러니 좀 더 긴 호흡으로 원작을 살리는 것도 괜찮을 거라고 생각하는데요다른 분들의 의견은 어떠신가요?

  

  표지에 보니 가슴언저리에 동그랗게 구멍이 난 소녀의 사진이 보이던데누군지 궁금하다구요영화에는 등장하지 않은이번 책에서 처음 등장한 이상한 아이입니다중반까지 읽어도 등장하지 않아 아이들의 내면 심리를 표현한 표지인가?’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요지칠 데로 지친 제이콥과 친구들의 이야기에 뜻하지 않은 웃음포인트를 선물해 주더군요옛날 영화중에 가슴언저리에 구멍이 났지만 살아있는 여자의 이야기를 담은 영화가 있지 않았냐구요개인적으로는 영화 죽어야 사는 여자 Death Becomes Her, 1992’가 떠오르는데맞나요?

  

  소문을 듣자하니이번 작품에는 다른 시간의 루프도 방문한다던데그곳은 어떤 곳이냐구요어떤 특정 시간대에 귀속되어있는 것 말고는 다른 차이가 없었습니다다만 동물농장이라 불리는 곳은 말을 할 줄 아는 개와 같은 다양한 이상한 동물들이 살고 있었는데요이 부분 역시 장난인지 진짜인지 사람 헷갈리게 만드는 사진과 함께 이야기를 펼치고 있었으니궁금하신 분은 직접 작품을 만나시어 감상과 생각의 시간을 가져주시기 바랍니다.

  

  원작은 삼부작이라고 하던데이번 책은 어떻게 끝나는지 궁금하시다구요~‘사태가 정리되지도 않았는데분위기는 왜 끝나가는 것 같지?’라는 물음표도 잠시절대방어력을 자랑하던 이상한 문서 보관소가 함락당하는 것으로 마침표 찍힙니다하지만 주인공의 법칙(?)이 작용하여 새로운 무대가 준비되는데요이 부분에 대해서는 저도 책을 만나보고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주인공의 법칙이라고 하니 생각나는데힘겨운 여정 속에서 주인공은 어떤 각성을 경험하게 되냐구요그 부분은 자칫 미리니름이 될 수 있는데요이번 책만 보면 명확하게 설명되지 않기도 하니먼저 만나보신 분들은 발설하기 없기입니다!

  

  그럼소설 소설 크리피 クリーピー, 2012’를 집어 들며 이번 기록은 여기서 마칠까 하는데요이어지는 감상문은도서 파블로프의 개-심리학의 역사를 관통하는 50가지 실험 PAVLOV’S DOG, 2016’이라는 사실을 방금 알았습니다!!


TEXT No. 2737

 

  [팬카페][트위터][페이스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