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덕을 위한 철학통조림 - 달콤한 맛 ㅣ 1318을 위한 청소년 도서관 철학통조림 2
김용규 지음, 이우일 그림 / 주니어김영사 / 2006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도덕을 위한 철학 통조림>은 뻔하디 뻔한 도덕 교과서적인 결론으로 내닫는다. 궁금증으로 시작된 딸의 반격은, 이래서 결과보다는 과정이 중요하고, 죽음을 선택함으로써 삶을 포기해서는 안되고, 우리는 지나친 쾌락을 추구하며 인생을 살아서도 안되고, 행복은 결국 내 안에 있다는 아빠의 대답으로 이어진다. 그렇담, 이 책은 학교에서 접하는 도덕 교과서와 다를 바가 없지 않은가?
결론부터 말하면 그렇지 않다. 도덕 교과서는 우리가 물질적 가치보다는 정신적 가치를, 도구적 가치보다는 본래적 가치를 추구해야 하며, 약속은 지켜야하고, 교통법규는 준수해야하며, 부모님께는 효도하고, 어른은 공경해야 한다고 말할 뿐, 결론에 도달하는 중간단계에서의 사고과정이 생략되어 있다. 쾌락적으로 살면 왜 안되는가, 밤을 새우며 벗들과 더불어 술을 마시고, 노래를 부르고, 좋아하는 컴퓨터 게임을 하며 피씨방에서 몇날며칠을 지새우는 것이 왜 나쁜가. 담배를 피우는 건 왜 안되고, 야한동영상을 즐기며 하루하루를 보내는건 왜 안되는가. 어른들은, 선생님들은, 안된다 안된다고만 말한다. 하지만 왜 안되는지에 대해서는 말해주지 않는다. 그건, 그들도 이유를 모르기 때문이다.
물질적 풍요는 행복을 보장해주는가? 물질적 풍요는 반드시 행복과 연결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물질적 풍요 없이 행복이 있을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김용규는 이를 피터싱어의 <이렇게 살아도 괜찮은가>라는 책의, 근 20년간의 미국의 소득증가분과 행복도에 대한 통계자료를 통해 물질적 풍요와 행복이 반드시 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이야기한다. 이어 그는 에리히 프롬의 <자기를 찾는 인간>을 통해 우리는 '욕구'와 '욕망'을 구분지어야 하고, '욕구' 그중에서도 생리적 욕구를 채움으로써 만족을 느껴야하지만, 욕망을 채움으로써 쾌락에 빠져서는 안된다고 강조한다. 철학사상 쾌락주의는 비관주의로 흐를 수 밖에 없으며, 결국 쾌락은 더 큰 쾌락을 불러옴으로써 삶을 망치게 된다고 말한다. 동시에 물질적 풍요를 의미하는 '어플루언스'라는 개념을 통해서 그것이 빚, 근심, 낭비 등의 증상을 동반하게 됨을, 대표적으로 광고에 의해 우리는 조종당하고 쾌락의 노예가 되어가고 있음을 이야기한다. 우리는 진정으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말한다.
결국 결론은 도덕교과서와 다를 바 없지만, 그것이 도출되는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중간중간 사색의 공간을 넓혀놓음으로써, 각자로 하여금 고민하게 한다. 물질적 풍요는 행복을 보장해주는가, 라는 질문에 김용규는 이와 같은 전개를 통해 이와 같은 결론에 도달했지만, 우리는 이 책을 손에서 놓은 후 자기만의 사유를 다시 시작할 수 있다. 이 책은 사유의 방식과 그 하나의 예를 보여주었을 뿐이다.
철학은 홀로 하는 것이다. 내 안의 나와 대화를 시도함으로써, 나에게서 벗어나 나를 관찰함으로써, 자기를 깨달아가는데서 철학은 시작된다. 내가 가지고 있는 궁금증과 고민은 모두 나에게서 시작된다. 그리고 그 대답 또한 나에게서 얻어낼 수 있다. 무엇인가를 의심하고 궁금해한다는 자체로 일단 자기만의 철학은 시작된다. 남은 것은 자신과의 대화를 통해 자신만의 결론을 도출하는 것 뿐이다. 이 책이 그 길잡이 역할을 해주리라 믿는다. 1318 청소년들뿐 아니라 삶을 성찰하고자 하는 모든 이에게 권하고픈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