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러진 사다리 - 불평등은 어떻게 나를 조종하는가
키스 페인 지음, 이영아 옮김 / 와이즈베리 / 2017년 12월
평점 :
품절




즐겨 듣는 팟캐스트 <서늘한 마음썰>의 최근 에피소드 제목이 '돈에 얽힌 마음'이었다. 에피소드의 테마를 제공한 청취자 사연에 따르면, 어릴 때는 고만고만한 배경의 고만고만한 아이들끼리 어울려서 가난하다는 인식을 못했는데, 사회에 나와보니 출발선 자체가 다른 사람이 부지기수이고 그런 사람들 때문에 상대적 빈곤감을 느낀다고 했다. 나 역시 나이를 먹을수록 사연을 보낸 청취자와 같은 감정을 느낀다. 


<부러진 사다리>를 쓴 미국의 심리학자 키스 페인도 비슷한 경험을 했다.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난 페인은 학창 시절 무상 급식 대상자였다. 페인은 자신이 무상 급식 대상자임을 인식한 순간부터 보는 풍경이 달라졌다고 고백한다. 모두 똑같은 교복을 입고 있었지만 급식비를 내는 아이들이 더 잘 차려입은 것처럼 보였다. 머리 모양도 예쁘고 신발도 좋아 보였다. 말투도 무상 급식을 받는 아이들은 느리고 어설프고, 급식비를 내는 아이들은 뉴스 앵커 같았다. 


심리학자가 된 페인은 가난하다는 인식이 인간의 감정과 선택,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연구에 따르면, 인간은 평등한 상태일 때보다 불평등한 상태일 때 불안감을 느끼고 난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비행기 내에서 난동이 발생하는 이유를 분석한 실험에서 일등석이 있는 항공편은 그렇지 않은 항공편보다 기내 난동이 발생할 확률이 4배 이상 높았다. 탑승이 비행기 앞쪽에서 이루어져서 이코노미석 승객들이 일등석 승객들 옆을 지나가야 하는 경우, 탑승이 비행기 뒤쪽에서 이루어지는 경우보다 기내 난동이 일어날 확률이 2배 이상 높았다. 


고전적인 경제학에서는 노동을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따라 특정 가격에 사고팔 수 있는 상품으로 취급한다. 그리하여 이런 관점에서 몇 가지 빤해 보이는 예측을 한다. 사람들은 더 적은 시간 동안 일하고 더 많은 돈을 받을 때 더 만족할 것이라고. 하지만 클라크와 오즈월드가 소득과 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해봤더니, 이상하게도 소득 상위 20퍼센트에 속하는 사람들이 하위 20퍼센트보다 만족도가 약간 낮았고, 근무 시간은 만족도에 그리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해되지 않는 결과였다. (63쪽) 


저자는 불평등 자체도 문제이지만, 계속해서 자신을 남과 비교하고 불평등한 요인을 찾고 그로 인해 고통받는 악순환이 문제라고 지적한다. 연구에 따르면, 절대 소득이 낮은 사람보다 준거 집단과 비교한 소득, 즉 상대 소득이 낮은 사람이 빈곤감을 더 많이 느끼고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다. 클라크와 오즈월드의 연구에 의하면, 돈을 많이 번다고 삶의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은 아니다. 사다리를 올라갈수록 사회적 비교도 변한다. "가난뱅이는 백만장자를 질투하지 않는다. 더 잘 나가는 다른 가난뱅이를 질투한다." 


불평등이 미치는 악영향은 업무 성취도와 임금 만족도에도 해당된다. 연구에 따르면, 조직 내 위계질서가 명확할수록 직원들이 승진하고 싶어서 일을 더 열심히 할 것이라는 믿음과 달리, 조직 내 위계질서가 명확할수록 직원들의 사기가 저하되고 업무 성취도도 낮았다. 임금에 격차가 있으면 직원들의 근로 의욕이 높아질 거라는 예상과 달리, 임금 격차로 인한 동기 부여 효과보다 분노 유발 효과가 더 컸다. 


시장 경제에서는 경쟁의 결과로 어느 정도의 격차가 생길 수밖에 없으며, 이런 시스템에서는 승자와 패자가 있기 마련이다. (중략) 소득 불평등이 심할수록 오히려 신분 상승의 기회는 줄어든다. 이런 관계를 '개츠비 곡선'이라고 한다. 약간 다른 관점에서 보면, 불평등이 심한 곳에 살고 있는 사람의 경제적 미래는 자신의 성공이 아니라 부모의 재산에 따라 결정된다는 의미가 된다. (248쪽) 


저자는 시장 경제에서 불평등을 완전히 없애기란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인정한다. 그 대신 심리학을 이용해 불평등한 상황에서 덜 불행하게 살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그것은 (인간의 본능에 따라) 비교를 하되, 상향 비교와 하향 비교를 제때에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다. 자기보다 우위에 있는 사람과 스스로를 비교하는 상향 비교는 학력을 높이거나 전문 분야에서 확실한 지위를 다지고 싶을 때 활용하면 좋다. 단, 마이클 조던이나 아인슈타인 같은 사람과 자신을 비교하면 열등감만 느낄 수 있다. 


자기보다 열악한 상황에 있는 사람과 스스로를 비교하는 하향 비교는 자신감이 없거나 주눅이 들 때 활용하면 좋다. 이때 비교 대상은 남이 아니라 과거의 자신이다. "현재의 자신과 과거의 자신을 비교하면 상향 비교와 하향 비교를 동시에 할 수 있어서 좋다. 하향 비교의 이점("적어도 이제 그 얼빠진 십 대는 아니잖아!")를 취하면서, 자신의 인생이 상승 궤도를 타고 있다는 사실도 확인하게 된다("세상아 기다려라, 내가 간다!")." 


또 하나의 팁은 '가장 중요한 것에 집중하기'이다. "당신에게 가장 중요한 가치와 동기를 써보세요"라고 했을 때 돈이나 명예라고 쓰는 사람은 많지 않다. 가장 중요한 것에 집중하는 행동의 장점은 타인의 시선을 덜 신경 쓰게 되고(남과 비교를 덜 하게 되고), 순간적인 쾌락보다 미래의 보상을 중시하게 되고, 그로 인해 장기적으로 자기 자신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흔한 조언이지만 결국 이뿐이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