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일본사 - 훈련된 외교관의 시각으로 풀어낸 에도시대 이야기
신상목 지음 / 뿌리와이파리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교에서 일본사를 배운 적이 있었던가. 교과서에 일본사와 중국사가 아주 짧게 실려 있던 건 기억하지만, 한국사를 배울 시간도 부족하고 무엇보다 시험에 나오지 않아서 건너뛰었던 기억만 남아있다. 


내가 일본사를 본격적으로 공부하기 시작한 건 대학에 입학하고 나서다. 정치외교학 전공이고 개인적으로도 일본에 관심이 많아서 일본을 비롯한 동아시아 관련 수업은 죄다 수강했다. 대학을 졸업한 후에도 일본사를 틈틈이 공부하고 있다. 주로 책이나 영화, 드라마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배우는 것이라서 사실 '공부'라고 하기에는 민망하다.


전직 외교관 신상목이 쓴 <학교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일본사>는 일본사 중에서도 에도 시대의 역사를 공부하기에 탁월한 교재다. 1996년 외무고시에 합격한 이후 일본 관련 업무를 주로 담당한 저자는 일본어에 능통할 뿐만 아니라 일본의 역사와 문화, 정치와 경제에 대해서도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 저자는 외교부를 퇴직하고 현재 서울에서 '기리야마본진'이라는 우동가게를 경영하면서도 한일 관계 증진에 도움이 될 만한 저술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에도 시대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에도(지금의 도쿄)에 막부를 개설한 1603년부터 15대 쇼군 요시노부가 정권을 조정에 반환한 1867년까지를 일컫는다. 조선으로 따지면 선조 말기부터 고종 초기에 이르는 시기다. 알다시피 이 시기에 조선은 영, 정조 시대의 르네상스를 지속하지 못하고 당쟁과 세도 정치를 일삼다가 일본에 주권을 빼앗기기 직전의 상황에 치달았다. 반면 일본은 임진왜란 때 납치한 도공과 조선통신사에게 배운 문물, 그밖에 중국과 서양 국가들로부터 흡수한 문화와 문명을 십분 발휘해 근대화의 기반을 닦았다. 


저자는 무려 400여 년 전부터 선진국이 되기 위한 기틀을 마련한 일본의 저력이 무엇인지 분석한다. 저자의 시선은 에도 시대의 정치를 비롯해 경제, 사회, 문화 등 각 분야를 망라한다. 여행, 출판, 교육, 언론, 광고, 과학, 지도, 사전, 패션, 도자기 등 테마도 다양하다. 


인상적인 건 에도 시대에 발전한 분야가 지금까지도 일본을 먹여살리고 있다는 것이다. 일본이 출판 강국인 건 널리 알려진 사실이고, 매해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할 만큼 대학 수준도 뛰어나다. 일본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요미우리 신문은 에도 시대에도 있었고, 단순하고 간결한 미의식을 중시하는 일본의 패션 문화는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는다. 조선 후기에 발전한 것 중에 지금까지 남아 있는 건 뭘까? 고리타분한 성리학 문화? 남존여비 사상? 착잡할 따름이다. 


엄밀히 말해서 여행과 관광은 같은 개념이 아니다. 관광이란 말은 중국 고전인 <역경>에 나오는 '관국지광'에서 비롯된 말이다. (중략) 일본의 유학자들은 관국지광, 즉 관광을 '나라의 빛을 살피는 것이 곧 군주의 덕을 가까이 느끼고 찬양하는 것'이라는 의미로 해석하였다. (85쪽) 


일본은 에도 시대 중기부터 여행 대중화가 진전되었다. 여행 대중화로 인해 일찍부터 교통망, 숙박시설, 치안, 오락시설 등이 생겨나고 융성했다. 이때의 여행은 진정한 여행이 아니라 관광의 속성이 강했다. 유교 사상에서 관광의 '광(光)'은 '빛나는 문물, 전통, 군주의 덕으로 이루어진 나라의 찬란함과 위대함'을 의미한다. 일본으로부터의 해방을 '광복(光復)'이라고 하는 것도 이러한 연유다. 에도 정부가 장려한 여행은 어디까지나 나라의 위용과 위대함을 확인하고 애국심이 고취되도록 하는 '관광'이었다. 


외국에 나갔다가 돌아와서 '역시 한국이 최고야!'라는 생각이 들게끔 하는 것이 관광의 목적이라니. 이 밖에도 일본의 역사와 문화를 통해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돌아볼 수 있는 내용이 여럿 실려 있다. 학교에서 가르쳐주지 않아도, 일본에 관한 것은 무조건 싫어도, 한 번쯤 읽고 찬찬히 생각해볼 만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