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타주의자의 은밀한 뇌구조 - 뇌과학, 착한 사람의 본심을 말하다
김학진 지음 / 갈매나무 / 201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경제학에선 인간을 이기적인 존재로 본다. 여기서 이기적이라 함은 경제적 이익을 뜻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과연 인간이 경제적 이익만을 추구하는 존재인가. 일제 시대에 민족을 위해 목숨을 걸고 싸운 독립운동가나 군사 독재 시대에 민주화 운동에 발 벗고 나선 이들은 인간이 아니란 말인가. 이러한 사례만 보아도 인간을 움직이는 동기는 경제적 이익만이 아님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경제적 이익보다 더욱 강력하고 원초적인 동기는 무엇인가. 고려대 심리학과 김학진 교수가 쓴 <이타주의자의 은밀한 뇌구조>에 따르면, 그것은 바로 '인정 욕구'다. 인정 욕구란 말 그대로 타인으로부터 주목받고 관심을 얻고자 하는 본능적인 욕구를 일컫는다. 인정 욕구는 신생아 때부터 발달한다. 아기들은 엄마라는 대상을 향해 웃는 표정을 지으면 기본적인 욕구 - 따뜻함, 편안함, 안전함 등 -를 충족시킬 확률이 더 높다는 것을 배우면서 인정 욕구를 발달시킨다. 이렇게 발달된 인정 욕구는 자라면서 육체적, 지적, 감성적, 예술적 차원으로 분화하면서 자신의 우수성을 드러내고 자신의 존재 가치를 확인받고자 하는 심리로 자리 잡는다.


문제는 대부분의 욕구가 그렇듯이 인정 욕구 또한 끝이 없고, 남에게 인정받고 싶은 마음이 커질수록 인정받지 못할 때의 좌절감 또한 커진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예가 '갑질'이다. 남에게 인정받고 싶은 마음이 큰 사람들은 일상적인 인사나 매너, 서비스에도 '무시당했다'는 느낌을 받기 쉽고, 이로 인한 분노를 막말이나 폭력 등으로 표출하기 쉽다. 타인에 대해 험담하는 것도 인정 욕구의 또 다른 표현이다. 흔히들 뒷담화는 작은 집단에서 친목을 도모하기 위한 행위라고 하지만, 실상은 자신의 우월함을 드러내고 가치를 확인받기 위함이다. '우리 때는 어땠는데 요즘 아이들은 어떻다'는 식의 '꼰대' 발언 또한 젊은 사람들 잘 되라고 하는 말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은 주장)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나 잘났다. 인정 좀 해달라'는 표현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아마 이 글을 읽는 독자들은 능력이나 인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얻는 일은 좋은 것인데 왜 멈춰야 하는지에 대해 의문을 가질지도 모르겠다. 물론 뛰어난 능력과 인성은 그 자체로 장려되어야 하고 누구나 추구해야 할 중요한 가치임이 분명하다. 단, 이러한 가치를 추구하는 인정 욕구가 또 다른 어두운 얼굴로 드러나기 전까지는 말이다. (62쪽)


그렇다면 타인을 인정하지도 말고 타인에게 인정받으려고 하지도 말라는 말인가. 물론 아니다. 저자는 문화권에 따라 사람들이 반응하는 보상 유형이 다르다는 것에 주목한다. 한국처럼 경쟁이 일상화된 문화권에서는 상대적인 만족감에 반응하는 사람이 많다. 이들은 내가 만 원을 벌었는데 남이 천 원을 벌면 기분이 좋지만, 내가 만 원을 벌었는데 남이 십만 원을 벌면 기분이 나쁘다. 재벌 총수라도 되지 않는 한 평생 기분이 나쁘다.



(사진 출처 :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80640)



반대로 경쟁이 일상화되지 않은 문화권에서는 절대적인 만족감에 반응하는 사람이 많다. 내가 만 원을 벌면 그뿐. 그 돈으로 뭘 할지만 생각한다. 반드시 문화권에 따른 차이는 아닌지도 모른다. 작년 리우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딴 중국의 수영 선수 푸위안후이는 자신의 최고 기록을 경신해 기쁘다고 말해 화제가 되었다. 만약 한국 선수가 동메달을 따고 나서 이런 태도로 인터뷰를 하면 어떤 반응이 나올까. 은메달을 따도 금메달 못 딴 죄인 취급 당하는 한국 사회의 분위기를 생각하면 좋은 반응이 안 나올 게 뻔하다.


지나친 공감 능력은 집단의 리더들에게 오히려 해가 될 수 있다. 실제로 스티브 잡스처럼 성공한 CEO 중에는 공감 능력이 낮은 사람이 많다는 주장이 있다. 놀랍게도 정치와 종교 분야의 지도자들 중에도 타인의 고통을 느끼지 못하는 사이코패스가 존재할 확률이 다른 분야에 비해 현저하게 높다고 한다. 심지어 이들을 일반적으로 범죄를 저지르는 부류와 구분해서 일종의 '성공한 사이코패스'라고 부르기도 한다. (186쪽)


이 책에는 이타주의자의 인정 욕구 외에도 성공한 사이코패스, 진보주의자와 보수주의자의 뇌 차이, 중2병의 실체 등 다양한 주제의 글이 실려 있다. 이것도 저것도 관심 있는 주제라서 읽는 내내 즐거웠다. 각 주제에 관해 더욱 자세하게 분석한 책이 나왔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