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에게 길을 묻다 - 트라우마를 넘어선 인간 내면의 가능성을 찾아서
고혜경 지음, 광주트라우마센터 기획 / 나무연필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애니메이션 <인사이드 아웃>에는 꿈에 관한 재미있는 장면이 나온다. 주인공 라일리가 하루 일과를 마치고 잠이 들면 라일리의 머릿속에 있는 '꿈 제작소'는 그제야 활동을 시작한다. 라일리가 그날 겪은 일을 일종의 꿈 영화로 제작해 잠든 라일리에게 보여주는 것이다. 이로써 라일리는 미처 받아들이지 못한 생각이나 감정을 처리하고 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만약 꿈을 통해 자신에게 벌어진 일을 처리할 수 없고 생각이나 감정을 소화할 수 없게 되면 어떻게 될까? 벌어진 일 자체가 개인이 감당하기 힘든 역사적 비극이라면? 


<꿈에게 길을 묻다>는 신화학자이자 꿈작업가인 고혜경이 광주 트라우마센터에서 5.18 광주민주화운동 관련자 및 고문과 국가폭력으로 고통받는 이들을 대상으로 그룹 투사 꿈작업을 실시한 과정을 담았다. 5.18로부터 30여 년이 지났지만 이들은 여전히 악몽, 가위눌림, 잠꼬대, 몽유병 등에 시달리며 일상생활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저자는 여럿이 함께 각자의 꿈을 나누고 다른 사람의 꿈을 자신의 꿈처럼 접근하는 그룹 투사 꿈작업을 통해 이들의 고통을 덜어주고 치유한다. 


저자에 따르면 "외부에서 위협이나 충격이 가해질 때, 꿈은 이를 완화하면서 다뤄낼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런데 5.18처럼 강력한 외부 위협과 충격을 받았을 때는 이를 소화하거나 삶의 경험으로 통합하기가 어렵다. 트라우마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고통받는 사람들이 압도적으로 악몽을 많이 꾼다는 연구도 있다. 참가자들의 사례를 보면 정말이지 끔찍하다. 어쩌다 한두 번 악몽을 꾸거나 가위에 눌리는 게 아니라 수십 년에 걸쳐 매일같이 반복적으로 악몽을 꾸거나 가위에 눌린다. 식구들이 깨워줘야 겨우 정신을 차릴 수 있고, 꿈과 현실을 구분하지 못해 가까이 있던 부인이나 자식에게 해코지를 한 적도 있다. 


꿈 작업을 통해 이들은 오랫동안 숨겨온 자신의 경험을 털어놓고 공유했다. 공유함으로써 나만 그런 게 아니라는 사실에 안도했다. 악몽, 가위눌림, 잠꼬대, 몽유병이 이들을 괴롭히려는 게 아니며 119 사이렌처럼 '모든 걸 다 제치고 여기에 주목해달라'는 사인이고 '어서 빨리 치료를 하자'는 신호라는 사실을 알았다. 꿈을 기록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꿈을 적극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되었고, 꿈이 보여주는 자기 인생에 관한 정보와 에너지를 직시할 수 있게 되었다. <인사이드 아웃>으로 치면 '꿈 제작소'가 애써 만들어 보여준 꿈 영화를 보다가 도중에 도망치거나 무시하지 않고 그 안에서 자기 내면이 들려주는 메시지를 찾게 된 것이다. 


우리 사회에는 이런 꿈 작업이 필요한 사람들이 5.18 광주민주화운동 관련자 외에도 무수히 많다. 그들 모두가 밤마다 악몽을 꾸고 가위눌림에 시달리는 걸 상상하면 그 어떤 공포 영화보다 끔찍하다. 이들이 악몽을 꿀 걱정 없이 편하게 잠들 수 있는 날은 과연 언제 올까. 그날이 어서 왔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