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읽는수요일

모란꽃 이우는 날

생각은 종일을 봄비와 더부러 하염없이

뒷산 솔밭을 묻고 넘쳐오는 안개

모란꽃 뚝뚝 떨어지는 우리 집 뜨락까지 내려,

설령 당신이 이제

우산을 접으며 방긋 웃고 사립을 들어서기로

내 그리 마음 설레이지 않으리,

이미 허구한 세월을

기다림에 이렇듯 버릇 되어 살므로

그리하여 예사로운 이웃처럼 둘이 앉아

시절 이야기 같은 것

예사로이 웃으며 주고받을 수 있으리

이미 허구한 세월을

내 안에 당신과 곁하여 살므로

모란은 뚝뚝 정녕 두견처럼 울며 떨어지고

생각은 종일을 봄비와 더부러 하염없어

이제 하마 사립을 들어오는 옷자락이 보인다

*5월은 모란와 관련된 시를 모아본다. 유치환 시인의 시 '모란꽃 이우는 날'이다. 삼백예순 날을 기다려 겨우 열흘 남짓 모란은 그렇게 지고 만다.

'시 읽는 하루'는 전남 곡성의 작은 마을 안에 있는 찻집 #또가원 에 놓인 칠판에 매주 수요일에 올려집니다.

#곡성 #곡성카페 #농가찻집 #곡성여행 #섬진강 #기차마을 #통밀천연발효빵 #들깨치아바타 #곡성천연발효빵

전남 곡성군 오산면 연화길 58-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읽는수요일

모란의 연(緣)

어느 생에선가 내가

몇 번이나

당신 집 앞까지 갔다가 그냥 돌아선 것을

이 모란이 안다

겹겹의 꽃잎마다 머뭇거림이

머물러 있다

당신은 본 적 없겠지만

가끔 내 심장은 바닥에 떨어진

모란의 붉은 잎이다

돌 위에 흩어져서도 사흘은 더

눈이 아픈

우리 둘만의 아는 봄은

어디에 있는가

아무것도 아닌 소란으로부터

멀리 있는

어느 생에선가 내가

당신으로 인해 스무날 하고도 몇 날

불탄 적이 있다는 것을

이 모란이 안다

불면의 불로 봄과 작별했다는 것을

*5월은 모란와 관련된 시를 모아본다. 류시화 시인의 시 '모란의 연(緣)'이다. 삼백예순 날을 기다려 겨우 열흘 남짓 모란은 그렇게 지고 만다.

'시 읽는 하루'는 전남 곡성의 작은 마을 안에 있는 찻집 #또가원 에 놓인 칠판에 매주 수요일에 올려집니다.

#곡성 #곡성카페 #농가찻집 #곡성여행 #섬진강 #기차마을 #통밀천연발효빵 #들깨치아바타 #곡성천연발효빵

전남 곡성군 오산면 연화길 58-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지극 정성을 더 하였다.

순하고 깊은 맛이 영낙없이

주인장을 닮았다.

2024년 제주 올티스의 첫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0416, 다시 그날이다.

"그대들 앞에
이런 어처구니 없음을 가능케한
우리의 모두는
우리들의 시간은, 우리들의 세월은
침묵도, 반성도 부끄러운
죄다"

*함민복의 시 '숨쉬기도 미안한 사월'의 일부다. 이 시는 "아, 이 공기, 숨쉬기도 미안한 사월"이라는 문장으로 끝을 맺는다.

아픔을 간직한 곳에 해마다 무리지어 피어난다는 피나물이 유난히 노랗다. 사람들 가슴에 꽃으로 피어나 언제나 함께 머물러 있길ᆢ.

10년, 무엇이 달라졌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읽는수요일

진달래

겨울을 뚫고 왔다

우리는 봄의 전위

꽃샘추위에 얼어 떨어져도

봄날 철쭉으로 돌아가지 않는다

이 외로운 검은 산천에

봄불 내주고 시들기 위해 왔다

나 온몸으로 겨울 표적 되어

오직 쓰러지기 위해 붉게 왔다

내 등 뒤에 꽃피어 오는

너를 위하여

*4월은 진달래와 관련된 시를 모아본다. 박노해 시인의 시 '진달래'다. 진달래 피는 4월이다.

'시 읽는 하루'는 전남 곡성의 작은 마을 안에 있는 찻집 #또가원 에 놓인 칠판에 매주 수요일에 올려집니다.

#곡성 #곡성카페 #농가찻집 #곡성여행 #섬진강 #기차마을 #통밀천연발효빵 #들깨치아바타 #곡성천연발효빵

전남 곡성군 오산면 연화길 58-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