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저 노부인들이 도대체 무슨 능력으로

이 호텔에 묵을 수 있죠?

 

 

애거서의 소설 속에 자주 등장하는 사보이 호텔과 리츠 호텔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영국 최초의 대규모 최고급 호텔이라는 역사와 전통이 있는 '사보이 호텔',

사보이 호텔의 총괄 매니저로 영입된 사람은 호텔리어 '세자르 리츠'였고,

리츠는 나중에 사보이 호텔에서 해고된 후

해외 주요 도시에 리츠 호텔을 세우고,

1906년에는 런던에도 리츠 호텔을 세웠다.

 

애거서의 소설 <비둘기 속의 고양이>에는 리츠 사보이라는 호텔이 등장한다.

작가는 사보이 호텔도, 리츠 호텔도 애거서가 애정했던 호텔로,

아마 두 호텔 모두에게 공평하게 애정을 드러낸 것이 아닐까라고 설명한다.

 

하지만 애거서의 소설에서 가장 중요한 호텔은 "버트램 호텔"이다.

소설 <버트램 호텔에서>에서 호텔 자체를 마치 주인공처럼 내세우고, 호텔 자체에 개성을 부여했다.

 

+++

런던에 있는 사보이 호텔과 리츠 호텔을 검색해 봤다.

고풍스럽고 아름답고 멋진 곳이었다.

언젠가는 꼭 가 보고 싶다. 하하하.

 

지금까지 애거서 크리스티, 혹은 애거서 크리스티의 소설과 관련된 16가지 단서 중 8가지를 읽었는데,

모두 흥미진진하다.

 

외국의 추리소설, 특히 현 시대가 아닌 과거가 배경인 소설들을 읽을 때는 소설에서 일어나는 사건 자체에만 집중하게 된다.

배경에 대해서는 읽으면서도 그냥 관심을 깊게 두지 않았다.

어쩌면 그 배경에 대해 내가 아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아무런 감흥이나 느낌없이 사건에만 집중하려 했을지도 모르겠다.

 

이 책을 읽고난 후에 애거서 크리스티의 소설을 읽는다면,

사건 뿐만 아니라 인물이나 배경, 인물들 간의 대화까지 관심있게 볼 수 있을 것만 같다.

 

 

* 네이버독서카페 리딩투데이에서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집, 신이시여 집을 축복하소서!

 

 

애거서의 작품에는 유달리 집이 많이 나온다.

애거서는 자서전에 "집 보러 다니는 일은 언제나 내가 제일 좋아하는 취미다"라고 썼을 정도라고 한다.

 

애거서는 결혼 후 주택담보대출을 받아 스코츠우드 저택을 샀다.

후에 《스타일즈 저택의 죽음》이 가져온 행운을 기념하고자 위 집을 '스타일즈'로 개명해 부르기로 했다고 한다.

그녀는 집에 중독되었다 싶을 정도로 낡은 집을 사서 고치고 되파는 일에 몰두했고,

제2차 세계대전 직전에는 런던에 무려 여덟 채가 되는 집을 소유하고 있었다고 한다.

 

저자는 애거서의 집에 대한 집착과 욕망을 영국인들이 가진 독특한 습성에서 찾는다.

영국인들은 자신들이 발 딛는 곳 어디에나 집부터 짓고 보는 습성이 있다고 한다.

 

그렇게 저자는 애거서의 소설에 등장하는 집들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당시의 사회 상황에 대한 설명도 덧붙인다.

 

+++

16개의 키워드로 애거서 크리스티의 소설과 그녀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니 색다르고 재미있다.

지금은 사실 잘 기억나지 않지만, 어린 시절 많이 읽었다고 생각했던 애거서 크리스티의 소설 중에 모르는 제목들도 많이 등장했다.

이 책을 다 읽고난 후에는,

아마도 애거서 크리스티의 소설들을 하나하나 찾아서 읽고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슬며시 해 본다.

 

 

* 네이버독서카페 리딩투데이에서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드디어 드러난 진실.

범인의 심정이 이해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해도 아이를 죽인 것은 도저히 납득할 수가 없다.

사실 나는 <요리코를 위해>만큼의 충격을 받지는 못했다.

하지만 이번 소설 <1의 비극> 속 첫번째 살인의 트릭에는 너무 깜짝 놀랐다.

그런 트릭이 숨겨져 있을 줄이야...

하지만 솔직히 인정한다.

<요리코를 위해> 속 아버지의 수기를 생각하면서,

이 소설에서의 화자 야마쿠라 시로를 계속 의심하고 있었다.

그래서 거의 마지막에 범인을 눈치챘을 때 조금은 놀랐고, 의심하면서도 결국 또 야마쿠라 시로의 시선으로 사건을 보고 있었다는 점 역시 깨달았다.

 

 

 

 * 네이버독서카페 리딩투데이로부터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에 실린 저자 소개를 보면 엘러리 퀸 이후 최고의 명탐정이라고 선전하더군요.

요컨대 일종의 앤티크라고 할까요, 무형문화재 같은 존재라는 뜻이겠죠."

명탐정이라니 아무래도 정상적인 인간은 아닌 듯하다.

소설 속에서라면 몰라도 현실에서까지 명탐정이라 자칭한다니 과대망상증 환자거나 성격파탄자일지도 모른다.

지금 같은 시대에 그런 인종이 서식한다는 것 자체가 믿기 힘들었다. _ p. 152 ~ 153

 

하하하~

극중 인물이 주인공 노리즈키 린타로에 대해 내린 신랄한 평가다... ㅋㅋㅋ

하긴 나도 내 주변에 명탐정이 있다고 하면 "뭐래?"라고 할 듯....ㅋㅋㅋ

 

-

야마쿠라 시로는 경찰에게 유괴범과의 마지막 접선지였던 곳 인근에서 발견한 단서를 듣고, 유력한 용의자를 생각해 낸다.

하지만 그에게는 알리바이가 있었다.

바로 범행 시간에 노리즈키 린타로의 집에 있었다는 것.

 

그가 범인이 아닌 걸까?

 

 

* 네이버독서카페 리딩투데이에서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당신이 죽였어. 당신이..."

내가, 죽였다?

그렇다. 다름 아닌 내가 죽였다.

이유 불문하고, 바로 나 떄문에 아무 죄 없는 한 아이의 생명이 꺼지고 말았다.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변명의 여지도 없다.

아니, 애당초 변명할 마음도 없다.

어른이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을 구별하지 못하면 어쩐단 말인가. _ 17쪽


 

-

초등학교 1학년인 도미사와 시게루가 유괴되었고, 살해당했다.

그런데 원래 유괴범이 노렸던 아이는 야마쿠라 시로의 아들 다카시였고, 유괴범은 시게루를 오인하여 유괴했던 것이었다.

 

유괴 당일, 야마쿠라 시로의 집으로 유괴범의 몸값 요구 전화가 걸려왔고, 야마쿠라 시로는 몸값을 전달하기 위해 범인의 요구대로 이동하다 돌계단에서 미끄러져 정신을 잃었고 아이는 살해되었다.

 

-

오인 유괴라니, 유괴범이 조금 어설픈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유괴 대상을 한동안 관찰했다면 잘못 알고 유괴하지는 않았을 텐데 말이다.

아마도 뭔가 반전이 있으리라 생각된다.

 

시게루는 다카시의 동급생이지만, 사실은 야마쿠라 시로의 아들이다.

야마쿠라 시로와 미치코의 불륜으로 인해 태어난 아이.

어쩌면 범인은 시게루가 야마쿠라 시로의 숨겨진 아들이라는 사실을 알고 유괴한 것일까?

그렇다면 이건 단순 유괴 사건이 아니라 뭔가 더 깊은 내막이 있는 건 아닐까?

 

음.. 궁금하니, 계속 읽어보는 걸로~~!!!!

 

 

* 네이버카페 리딩투데이에서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