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콩국슈우~~~ ㅠ_ㅠ

콩국수(전라도에선 콩물국수라고 하는데 난 광주댁이다 ^^)를 좋아하는데 한번도 해보지 않은 음식이다. 아니 마트에서 파는 콩물을 사다가 국수만 삶아서 해먹는 콩물국수는 작년까진 자주 먹었다. 그보다 먼저 아이들이 더 어릴때는 두유를 사다가 콩가루 넣어서 먹기도 했고... ㅜㅜ

작년엔 이웃에서 콩물국수 해 먹으라고 콩을 가져왔는데도, 콩만 삶으면 되는데 한번도 안 해봤다는 것 때문에 자신이 없어 볶은콩을 만들어 먹었다. 내일이면 오십인데, 이 나이에도 안 해본 음식은 도전하기가 어렵다니~~ 주부 20년 경력이 무색할 지경이다. 며칠 째 휴가라고 음식도 안하고 김치찌개와 일본서 사온 카레로 만든 카레라이스로 버텼는데, 너무 염치없고 미안해서 휴가 마지막 날 콩물국수를 만들었다. 어제부터 불려 논 콩을 삶아 믹서기에 갈고 국수 삶아서 상을 차리기까지 한 시간이면 되던데, 지금껏 겁내고 게으름 부린게 어이 없었다. 자~ 사진으로 인증 샷! ^^

아니~ 왜 이렇게 사진이 시커멓게 나온 거야?
위에 얹은 고명은 냉장고에 있던 청홍고추와 상추, 그리고 날마다 먹어대는 복숭아~ ^^



처음으로 엄마가 100% 제조한 콩물국수를 먹어대며 주절거리던 우리 삼남매의 대화, ^^
셋이서 신나게 주고받은 얘기를 엄마 마음대로 편집했다. 국수를 먹어가며 엄마를 놀려먹느라 아주 신이났다. 신이 났어~ ㅋㅋㅋ

"알라딘에서는 우리가 잘 먹고 사는 줄 알거야. 정말 착각이지!"
"어머~ 순오기님, 이런 것도 할 줄 아세요? 도대체 순오기님이 못하는 건 뭐예요? "
"나도 이 다음에 순오기님처럼 살고 싶어요. 책도 많이 읽고 음식도 잘 만들고..."
"어머 어머~ 나 오늘 콩국수 먹고 싶었는데 어떻게 아셨어요?"
.

.

.

아무리 씹어대도 순오기는 꿋꿋하게 하고 싶은 거 다 하면서 잘 살아요~~~ㅎㅎㅎ
오늘 만든 콩물국수 레시피에요.^^

1. 콩을 충분히 불린다. (전날 담가 놓으면 100% 확실함)



2. 불린 콩을 소금 약간 넣고 삶는다. 오래 삶으면 메주콩 냄새가 날 수 있으니 포르르 끓으면 뚜껑을 열고 저어주면서 조금 두었다가 바로 끈다. 콩을 먹어봐서 선내가 안나고 고소하게 씹히면 된다. (사실 요게 겁나서 안했는데 별거 아니더라~~ 콩 씹어보니까 고소함이 막 느껴지더라는.^^)

삶은 콩을 바로 건져 찬물에 식힌다. 식힌 물을 버리지 말고 콩을 갈때 다시 쓴다.



3. 믹서기에 넣고 간다. 콩을 많이 넣으면 걸죽해서 갈리지 않으니까 콩과 물을 반반 정도로~ 사진은 물이 적고 콩이 너무 많다. 믹서기에 콩을 절반 넣고 나머지를 물로 채우면 될 듯... 이때 식히는 과정에 쓴 물을 넣으면 된다. 콩껍질도 골라낼 필요없다. 콩껍질이 영양덩어리라는 건 검증되었으니까~

4. 내가 갈은 콩물은 물을 많이 넣지 않아 걸죽했다. 조금 더 곱게 갈았으면 좋겠는데 우리 믹서기는 더 곱게 되지는 않았다.  



5. 삶은 콩물을 버리지 말고 갈아 놓은 콩물과 농도를 맞춰가며 섞는다. 삶은 콩물이 제일 고소하고 영양도 많다.



6. 소금으로 간도 맞추고 농도를 맞췄으면, 냉장고에 넣어두고 국수를 삶는다. 국수는 물이 끓을 때 고루 펴서 넣고 가끔 저어 준다. 국수를 넣고 끓어 오를 때 반컵의 물을 보충하고 끓이기를 두번 정도 하면 적당하다. 너무 불어터지거나 설익지 않은 국수 끓이는 비결이다.



7. 알맞게 삶아졌으면 바로 찬물에 식힌다. 식힌 찬물에서 헹구어 적당량의 사리로 만들어 놓는다.



우리 아들은 국수를 좋아해서 두 덩어리가 기본이다.^^ 야채가 없어 처음에는 복숭아와 콩가루만 고명으로 올렸는데, 냉장고에 있는 상추와 고추가 생각나서 처음에 올린 사진이 나온거에요. ^^



사랑하는 알라디너 여러분, 한 그릇씩 드시와요~~ 타고난 미식가 아들이 고소하고 맛있대요.^^


댓글(28)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bookJourney 2008-08-05 21: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녁 먹은지 얼마 안되었는데, 군침 돌아요~~~ (꿀꺽 ^^*)
전 콩국수에는 감히 도전할 엄두도 못내요 ... --;

순오기 2008-08-05 23:02   좋아요 0 | URL
저도 이 나이에 생전 처음 했다니까요~ㅎㅎㅎ
근데 너무 별것 아니어서 왜 겁을 냈는지 정말 어이 없었어요.
제가 올린 레시피대로 해보세요.^^

Mephistopheles 2008-08-05 21: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요즘 집에서 콩국수 자주 해먹는데...
면은 소면보단 중면(약간 굵은 면) 중면보다는 생면이 맛나더군요..^^

순오기 2008-08-05 23:04   좋아요 0 | URL
저기 보이는 건 중면과 소면이 섞였어요.남은 것들을 삶았거든요~ ㅎㅎㅎ
칼국수로 만들어 먹을 땐 직접 반죽해서 만들지만, 콩물국수는 소면이나 중면이면 족해요.
메피님 마님께선 쌀밥만 주는 줄 알았더니 콩물국수도 해주시는군요.^^

웽스북스 2008-08-05 22: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으하하하 삼남매의 대화 너무 웃겨요

어머~ 순오기님은 애들까지 센스 만점이네요, 도대체 부족한게 뭐에요? ^_^
(아이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답글~)

순오기 2008-08-05 23:05   좋아요 0 | URL
흐흐흐~ 저 대화말엔 웬디양 버전도 있어요~ㅎㅎㅎ
우리애들이 서재글을 보는지라 웬디양 버전도 만들더라고요.^^

웽스북스 2008-08-06 09:27   좋아요 0 | URL
어랄라 웬디양 버전이라뇨
웬디양이 못알아보는 웬디양 버전은 무효라고 전해주세요!
(근데 뭐에요 저중에서? 으흠....ㅋㅋ)

바람돌이 2008-08-05 23: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푸하하~~~ 아이들 대화가 걸작입니다. ^^ 전 절대로 아이들에게 알라딘 제 서재 안가르쳐줄거예요. ^^;;
콩국수를 전라도에선 콩물국수라고 하는군요. 근데 우리 엄마는 왜 그냥 콩국수라고 하지? (친정엄마가 전라도가 고향이거든요) 하여튼 콩물국수 저도 먹고 싶어요. 좋아하는데... 전 해먹지는 못하고 사먹을까요? ^^
아 그리고 국수 삶을때 소금을 약간 넣고 삶으면 훨씬 쫄깃쫄깃하답니다. ^^

순오기 2008-08-05 23:47   좋아요 0 | URL
국수를 삶을때도 소금을 넣는군요~ 국수 자체에 간이 좀 있어서 소금은 안 넣었는데 내일은 해봐야겠군요.^^
제 서재는 애들이 가끔 들러서 보죠. 특히 우리 큰딸이~ 과장되거나 미화시켰는지 검열한다고요.ㅋㅋㅋ

Arch 2008-08-06 00: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급적이면 요런 감칠맛나는 페이퍼는 저녁에 올리지 않았으면 하는데 말입니다. 저 지금 침이 꼴딱꼴딱 넘어가서 아주, 저녁 너무 많이 먹었다고 볼록한 배에게 레이저 광선 쏘고 있는데 이거 어쩌란 말입니까. 맛있겠다. 정말, 저도 다른분들에게 제 서재 안 알려줘요. 과장 미화뿐 아니라, 음모, 사기의 파노라마라고나 할까. 아, 급허기네요. 정말.

순오기 2008-08-06 00:45   좋아요 0 | URL
ㅎㅎ 그러잖아도 내일 점심때 올릴까 했는데~ 내일부터 수업이 있어서 보장할 수가 없더란 말입니다.ㅎㅎㅎ

행복희망꿈 2008-08-06 09: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시원하고 영양많은 콩국수~
정말 맛있겠네요.
이 국수 한 그릇 이면 더위도 끄떡 없겠네요.

순오기 2008-08-06 14:30   좋아요 0 | URL
호호~ 오늘 점심엔 정말 시원하게 먹었어요.
영양도 만점이란 건 모두가 인정하죠.^^

무스탕 2008-08-06 10: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며칠전에 엄마가 콩국수 해주셔서 맛있게 얻어 먹었어요 :)
작년까진 누렁콩으로 하시더니 올해엔 꺼멍콩으로 하셔서 국물도 까뭇까뭇.
바보같은 제 새끼들은 이 맛난걸 안먹어요. 없어서 못 먹는걸요 ^^

순오기 2008-08-06 14:32   좋아요 0 | URL
커먼 콩이 좋은데 저는 누가 가져다 주는대로 먹고 살아요.ㅎㅎ
어젯밤 울 남편도 아침마다 검은콩 갈아 먹으면 머리카락이 난다고 하더군요.
그래도 날마다 콩물 못해줘요~그냥 대머리 신랑하고 살래요.ㅋㅋㅋ

마노아 2008-08-06 14: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눈으로 보아도 고소해요! 콩국수 마지막으로 먹은 것은 교생 실습 나갔던 2003년이에요. 세상에 5년이나 지났어요. 사진만 보고도 여름이 지나가요^^

순오기 2008-08-06 14:33   좋아요 0 | URL
에궁~~ 우리 옆집에 살면 내가 맛난 거 할때마다 같이 먹을텐데...
우리동네로 시집오시면 될려나~~~ㅎㅎㅎ

울보 2008-08-06 15: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맛나겠어요,,

순오기 2008-08-06 16:45   좋아요 0 | URL
콩물국수 처녀작이었지만 먹을만 했어요.ㅎㅎ
여름에 땀 흘리는 가족을 위해 님도 만들어 보셔요~ 너무너무 쉬워요.^^

뽀송이 2008-08-06 17: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저는 콩국수 곱배기요~~~
영양덩어리 시원한 콩국수 여름보약이 따로 없어요.^^
순오기님~ 저 정말 오랜만에 알라딘 들어온 것 같아요.^^;; 잘지내시죠.^^

글샘 2008-08-06 23:13   좋아요 0 | URL
곱빼기...ㅠㅜ

순오기 2008-08-07 02:57   좋아요 0 | URL
곱빼기로 드릴게요~ 어여 드세요!^^
독서삼매경중이라 바쁘셨나요?저는 알라딘서 놀땐 안 졸린데, 책만 읽으면 졸려서 꾸벅거리며 토막잠 자고 있어요.ㅜㅜ 마법의 원 보다가 잠들어서 새벽에 일어나 알라딘으로~ㅎㅎㅎ

배꽃 2008-08-06 19: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순오기님 덕분에 콩국수 해먹었어요..어젯밤에 이글 보자마자 냉동실에 있던 콩 담가두었다가 낮에 해먹었지요..얼음동동띄워서요...으흠~~~~~~!순오기님네 맛깔스런 손맛은 절대로 안 나왔어욤~!

순오기 2008-08-07 02:59   좋아요 0 | URL
제 페이퍼가 님께 좋은 일을 했군요.ㅎㅎㅎ
우린 빙과 외엔 절대 얼음을 안 키우는데~ 갈아 놓은 콩물을 냉장고에 두었다 먹으니까 시원하더라고요.^^ 배꽃님 손맛은 한 수 위였겠죠~ 저야 처녀작이었으니까요.^0^

L.SHIN 2008-08-07 13: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뭐라고? 콧물국수라고?!! ㅡ_ㅡ"...........하고 착각을 했다가..
또 혼자 바보짓 했구나 하고 좌절하는 LS였습니다...(털썩)

하여간~ 오기님은 재주꾼이라니까. 세상에 요리 잘 하는 사람이 저한테는 신비 자체라죠.
오늘 날씨 덥습니다. 더위 조심하시고 즐거운 하루 되세요 ^^
(잠시 시간내어 들른 효과가 있군요.웃음)

순오기 2008-08-07 14:57   좋아요 0 | URL
ㅎㅎ 에스님 서재에 콩물국수 올렸을 때 해 먹으려던 걸 이제야 한 겁니다~~ 그후 한끼는 콩물국수로 때우는 중입니다~~~

보물섬 2008-08-09 09: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꼭 국수아니더라도 저렇게 콩물해서 사먹는 두유대신 드세요~~ 저희 엄만 거의 시도때도없이 콩물을 만들어주시거든요 ^^ 엄마가 밀가루음식을 싫어하셔서 저흰 국수랑 같이 먹는 경우는 별로 없어요.. 어렸을땐 콩 걸러주시더니 이젠 걸쭉하게 해서 숟가락으로 떠먹는 경우가 많지만요.

순오기 2008-08-09 11:43   좋아요 0 | URL
어머님의 정성과 수고로 가족의 건강이 지켜지겠네요~ 콩이 좋다는 걸 알면서도 그렇게 해서 먹기는 쉽지가 않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