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균과 사라진 글벗 - 차별 없는 세상을 꿈꿨던 조선의 문장가 허균 이야기 위대한 책벌레 8
김해등 지음, 문월 그림 / 개암나무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홍길동이란 이름만큼 우리에게 익숙한 이름도 드물 것이다. 왜냐하면, 홍길동은 우리 국민의 모델이기 때문이다. 모든 공공기관에서 공문서를 쓰는 예를 보여줄 때, 어김없이 홍길동이란 이름으로 예를 들고 있다. 이것은 홍길동이란 이름이 우리 모두를 대표하는 이름이 되는 의미도 있겠지만, 홍길동이야말로 우리의 모델임을 반증하는 것이다. 홍길동처럼 우리도 그렇게 살아내라는 것 아닐까.

 

그럼 왜 홍길동이 우리 모두의 모델이 되는 걸까? 그건 홍길동은 서자라는 신분의 한계를 가지고 태어났지만, 그럼에도 그 한계를 뛰어 넘을뿐더러, 약자에 대한 돌아봄이 있으며, 아울러 모두 평등한 세상을 꿈꾸며 실제로 율도국을 만든 영웅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우리가 의도하였건, 의도하지 못하였건, 우리가 인식하고 있건 그렇지 못하건 간에 우리 안에는 이러한 평등한 세상, 신분으로 인해 차별받지 않는 세상을 꿈꾸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겠다.

 

바로 이러한 우리 모두의 모델이 되는 홍길동을 탄생시킨 이는 우리가 잘 아는 것처럼 허균이다. 이 책, 『허균과 사라진 글벗』은 바로 이런 허균의 어린 시절을 그려내고 있다. 물론, 사실 그대로를 진술한다기보다는 사실을 근거로 한 픽션이다. 하지만, 이 동화는 차별 없는 세상을 꿈꿨던 조선의 명문장가 허균의 그 평등을 지향하는 가치관이 어떻게 형성될 수 있을까 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다. 물론 실존하지 않은 인물 이문이란 친구를 통해서 말이다.

 

어린 시절부터 책 읽기를 좋아하고 문장에 재능이 있던 허균에게는 마을 서당에서 함께 공부하던 절친 이문이 있다. 이문 역시 허균만큼 책을 사랑하며, 재능이 있다. 하지만, 그런 이문에게는 비밀이 있다. 알고 보니 이문은 판서 대감의 아들인데, 서자 출신이었던 것. 그래서 탁월한 재능에도 불구하고, 작은 실수로 인해 생을 마감하고 만다.

 

이 때, 이문이 친구 허균에게 남긴 시와 이에 대한 균의 답시가 우리의 마음을 울린다.

 

감꽃 향 따라

십 리 먼 길 날아온 벌은

꽃술에 앉을 적마다

접붙여 자란 가지인가

본디부터 자란 가지인가

묻지 않고 가리지 않네.

- 책 속 이문의 시

 

눈 먼 벌 하나 날아와

접붙인 가지에 달린 꽃인지

본디 가지에 달린 꽃인지

자꾸 가려 앉으려고 하네.

끝내는 꽃술 다 뭉개져

한 해 감 농사를 다 망쳐 놓았네.

- 책 속 허균의 답시

 

그렇다. 벌이 어찌 접붙인 가지(서자)인지, 본 가지(적자)인지 가려 앉겠는가? 그렇다면, 어찌 그 나무가 온전하게 열매 맺을 수 있겠는가? 그럼에도 허균 본인에게도 접붙인 가지인지, 본 가지인지 가리는 마음이 있었음을 반성하며, 통한의 눈물을 흘리며 적어낸 시, 여기에 허균이 꿈꾸는 세상이 담겨 있다.

 

본디 가지와 접붙인 가지를 차별하지 않는 세상, 사람은 누구나 사람이라는 이유만으로 존중받는 세상, 이러한 세상이 오늘 이 땅에 임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아울러 홍길동이 그랬던 것처럼, 자신에게 주어진 힘으로 약자의 편에 서는 이들이 많아지는 세상이 온다면 얼마나 좋을까! 이것이 바로 허균이 꿈꾼 율도국이며, 또한 기독교에서 지향하는 하나님의 나라다. 이러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또한 책을 읽고, 책을 사랑하는 것이 아닐까! 아마도 작가 선생님 역시 이 책을 통해, 우리에게 이것을 말하고 있으리라 여겨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