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가 결혼했다 - 2006년 제2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박현욱 지음 / 문이당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읽다가 절망한 것은, 저 폴리아모리를 실천하고 쟁취하는 저 여자가 너무나 수퍼우먼이기 때문에. (그래, 다처든 다부든 능력이 있어야 할 수 있는 법이다.) 물론 그녀도 남편이 사귄 여자친구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긴 하지만, 아무래도 소설이 남자주인공이 화자여선지 그녀는 그저 속을 알 수 없는, 그저 대상으로서의 그녀이며, 어떤 면에서는 너무나 기계적이고 별로 사람 냄새가 안 난다.


결국 그녀의 ‘뻔뻔한’ 태도 역시 실은 속 좋고 착한 남편의 묵인과 허용 하에서 가능한 듯 보이는 데다, 그녀는 일도 잘 하고 섹스도 잘하고 집안일도 잘하고 시부모님께 예쁨받으며 심지어, 축구팬이다. 두집 살림을 강행하는 그녀에게 집안일을 손가락 하나 안 대는 걸로 반항하는 남자와, 군말없이 주말마다 집안을 번쩍번쩍 광내놓고 냉장고를 채워놓고 가는 여자라니, 폴리아모리가 분명 사회적으로 아직 합의가 안 되는 사랑방식임은 분명하지만, 모노가미가 인류의 원래 성질에 반한다 해놓고 그것을 실현하는 여성은 지나치게 수퍼우먼인 것도  모순이라는 느낌이 든다.


거기에, 축구. 우리 사회에서 여자들이, 전통적으로 남성의 영역이라 여겨지는 분야의 한 가지를 잘 알고 있을 때 느끼는 뿌듯함과 안심, 뭐 이런 콤플렉스를 적절하게 건드리고 있달까. 자신이 ‘전통적으로 얘기되는 여성상’과 어긋난다 얘기하는 많은 여성들이, 일견 걱정스러운 말투 속에 얼마나 많은 자랑스러움과 뿌듯함을 섞는가. 이는 또한 많은 남성들의 판타지이기도 하다.



판타지는 더 있다. 폴리아모리를 주장하면서 상대를 상처입히는 것은 통상적으로는 여성이 아니라 남성이다. 그에 관한 죄책감을 여성주인공에 투과시킨 남성 작가는, 남성들이 도통 점하지 못하는 피해자의 위치를 점한다. 남성으로서의 기득권은 그대로 가져간 채. 그로인해 우리의 여자주인공에게 현실의 여성이라면 결코 수용하지 않을 어떤 여성상의 미덕을 관철시킨다.



그러므로, 이 소설의 여자주인공은 결국은, 남성 ‘작가’(화자가 아닌)의 주장과 판타지를 충실히 이행하면서, 정작 남성 그 자신은 죄책감마저 떠넘긴 채 속 넓고 관용적인 - 아마도 현대의 가장 이상적인 남성상 - 남자의 위치를 차지한다. 이건, 정말이지 ‘소설가’라는 직업을 가진 사람의 특권이고, 작가는 이 특권을 꽤나 약삭빠르고 똘똘하게 누릴 줄 안다. 부러운 점이다. (좋은 소설가의 특징이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