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랜트 - 연쇄살인범 랜트를 추억하며
척 팔라닉 지음, 황보석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9년 12월
평점 :
새해 들어 처음 올리는 리뷰입니다. 헷! 사실 이 아이, 읽기는 2009년의 마지막 날 다 읽었었습니다. 바로 어제였죠. 방학을 하고 났더니 어쩐지 마냥 뒹굴고만 싶은 마음이 강해져서 요 며칠 책 읽기를 아주 살짝, 게을리했거든요. 하지만 이 책이 더디게 읽혔던 것은 저의 게으름 탓만은 아닐 거라 말씀드리고 싶어요. 소~올직히 고백하자면, 저에게는 약간 어려웠습니다. 재미가 없었다는 말이 아니라 '어려웠다'는 이야기입니다. '웅? 빠져들 것 같은데?' 라는 기분에 폭 감싸일라치면 저의 정신을 금방 안드로메다로 보내버리려고 결심한 듯한 내용들이 등장하더라구요. 어떤 분은 이 책의 매력을 느끼려면 자신의 공력 정도는 되어야 한다고 말씀하셨는데요, 그럴지도 몰라요. 이 책은 눈 앞에 모든 것을 펼쳐준다기보다 내용 하나하나를 독자 스스로 껍질을 벗겨내고 알맹이들을 하나씩 맞춰가며 읽어야 할 것 같은 기분이 들거든요.
일단 표지에는 요렇게 써 있습니다. '연쇄살인범 랜트를 추억하며'. 이 문구는 CSI의 광팬이자 미국드라마의 모든 형사물, 범죄물을 섭렵하고자 하는 저를 겨냥한 것이나 다름없었죠. '뭐지, 뭘까, 근데 왜 연쇄살인범을 추억해야 할까, 누명이라도 쓴 걸까'라며 홀로 정신없이 널뛰기를 하는 와중에, 또 하나의 문구가 눈에 띕니다. '랜트와 키스하지 마. 바이러스에 감염될거야'. 그렇습니다. 연쇄살인범이긴 한데, 이 랜트라는 사람은 키스를 통해 사람을 병에 걸리게 하는 범죄를 저지르더라구요. 그런데 여기서 눈여겨 봐야 할 것은 랜트의 범행수법이 아니라 그것을 둘러싼 모든 상황이라 해야할까요.
이야기는 많은 사람들을 인터뷰한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랜트의 부모, 친구, 자동차 충돌파티에서 만난 사람들이 등장하며 그의 행적에 대해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이야기해요. 처음에는 조금 산만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한 사람이긴 하지만 보는 시각과 전해지는 말에 따라 좋게도 보일 수 있고, 나쁘게도 보일 수 있는 것이 인간관계니까요. 그 모든 의견을 모아서 한 사람을 상상한다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니잖아요. 하지만 다행히 그들의 진술은 '랜트'에 집중된 것이 아니라 '랜트의 행동'에 집중되어 있어서 아주 살짝, 주관적인 감정은 배제되어있다는 느낌이 든답니다. 그것으로 우리 스스로에게 랜트를 판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죠.
사람들과는 별개로 작가가 만들어낸 환경도 매우 기묘해요. 주간생활자와 야간생활자가 존재하는 사회, 자동차 충돌파티를 즐기는 사람들, 랜트의 살인수법 (그게 정말로 사람을 죽이려고 결심했기 때문에 일어난 것인지 아주 의심되는), 끊임없이 등장하는 운전자 실황 교통방송에 시간여행까지. 아, 다른 사람의 경험을 부스트 할 수 있는 신기한 기술도 소개되죠. 어째서 저의 정신이 자꾸 안드로메다로 날아가려고 했었는지 이해해주시면 감사할 것 같아요.
자, 그럼 쪼콤 어렵긴 하지만 저의 모자란 능력으로 '랜트'에 대해 집중해 볼까 해요. 앞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어떤 한 사람을 단순히 사람들의 의견을 모아 상상하는 일은 쉽지 않아요. 우린 그냥 들은 이야기로 랜트가 병을 옮겼고, 사람이 죽었고, 그 병에 걸린 사람들을 정부가 격리하고 심지어는 총으로 빵빵 죽이려고 했다는 것까지만 알지요. 도덕적이고 정상적으로 보이는 부류로 햇빛이 비칠 때 생활하는 주간생활자와 창백하고 타락하고 과격한 부류로 비치는 야간생활자 중에서 그 병에 걸린 것은 주로 야간생활자인 것처럼 보입니다. 사회에 문제가 된다고 생각한 야간생활자와 그들이 만들어 낸 자동차 충돌파티, 병에 걸린 야간생활자들과 그들을 막으려는 정부의 강경책. 죽었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어딘가 사라져버린 랜트. 그리고 그것을 설명하기 위해 내세운 시간여행과 도입되는 신에 관한 이야기. 과연 랜트는 정말 존재했던 것일까요?
우훙. 저의 머리로는 여기까지가 최선인 것 같아요. 분명 뭔가가 더 있는 것 같은 찜찜한 기분을 지울 수가 없는데 더 설명하려 하다가는 큰일나겠어요. 저의 정신이 안드로메다를 넘어 알려지지 않은 미지의 땅까지 가버리면 안 되잖아요. 이제 겨우 새해가 밝았고 게다가 첫 날인걸요. 아직 읽고 싶은 책도 많구요.
하지만 이 작가, 굉장하다는 것은 굳이 말씀드리지 않아도 아시겠죠? 사실 척 아저씨하고는 처음 만나봤는데, 제가 좀 편견을 가지고 있었어요. 살짝 그로테스크한 면이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거든요. 전 '그로테스크' 한 책을 읽으면 당장에 몸져 누워버리는 체질인지라 이 아저씨 책은 모두 그럴 거라고 단정짓고 있었습니다만, 요런 새로운 재미와 도전정신을 갖게 한 작품은 오랜만입니다. 제가 공력이 된다면 좀 더 깊이 있는 리뷰를 쓸 수 있었을텐데 그러지 못한 점이 조금 분하고 아쉬워요. 어쨌든 전 최선을 다했습니다. 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