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석의 맛>을 읽고 리뷰해 주세요.
백석의 맛 - 시에 담긴 음식, 음식에 담긴 마음
소래섭 지음 / 프로네시스(웅진)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솔직히 내가 별점을 매길만한 책이 아니다. 이름만 들어봤지 백석이란 시인에 대해 잘 알지도 못하고 그 시인을 굉장히 좋아한다는 저자가 쓴 이 책도 완전히 이해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책을 읽으면서 든 생각은 '이 책, 대학에서 국문과 학생들이 교재로 써야 할 책이 아닐까' 였다. 백석이란 시인에 대한 작가의 평가, 시인의 작품에 녹아든 여러 가지 맛들, 단어 하나하나에 집중하며 분석해낸 구성과정, 그 모두가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지 일반 사람들을 대상으로 했다기에는 무리가 있다. 작가가 바보 취급을 할 지도 모르지만 백석의 시는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라는 작품의 제목만 아는 나같은 사람이 아무래도 더 많을 테니까. 

책을 펼치는 순간 거부감이 들었다. 잘 모르는 분야였기 때문에, 그러니까 좀 더 알아보겠다고 집어든 사람에게 '알 만한 사람은 다 아는 백석 시를 아직도 모르는 사람들이 있다.'라는 문장이 제일 첫 장, 첫 줄에 씌어있기 때문이다. 결국 '알 만한 사람은 다 아는 백석 시, 나는 모르겠다아!'라고 궁시렁거리고 말았다. 이 책은 박사학위 논문을 청소년들을 비롯해 일반인들도 쉽게 알 수 있도록 수정하고 보완한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책의 내용도 내용이거니와 일단은 국문과를 전공한 사람이 아니라면 친숙하게 느끼기 힘든 단어들, 시들이 엄청 소개되어 있어 그런 수정, 보완작업을 거쳤다고 해도 간단히 '네, 그렇습니까'라고 수긍하기는 어렵다. 자신이 안다고 해서 다른 사람도 다 알 거라고 생각한 착각을 바탕으로 쓰여졌기 때문에 내용이 친절하지는 않다. 

오히려 내가 재미있게 읽은 부분은 <백석여담> 과 <음식소사> 부분이었다. 짧은 하나의 챕터가 끝나면 이 두 가지 코너가 이어지는데 백석에 관해 분석하고 시의 내용을 잘게 쪼개 설명하려 한 부분보다 더 재미가 있다. 부자의 음식과 극빈자의 음식이라든가 외간남자와 음식을 같이 먹을 자유 등의 주제로 그 시대의 모습을 음식과 관련해서 설명했다. 예전 신문 등에 게재되었던 것으로 보이는 광고와 신문 기사 등도 실려 있어 마치 옛날 만화를 보는 듯한 기분도 든다. 

이 책은 그러니까 결국 전문가용이다. 만약 작가가 정말로 백석에 대해 사람들이 알게 되기를 원하고 백석을 소개하고 싶었다면 생애, 작품, 그 무엇 하나 가리지 않고 자세하고 친절하게 설명했어야 한다. 작가의 의도가 무엇이었든 일반 사람들이 읽기 쉬운 책이 아니다. 그러니 결국 저 별은 그의 친절함에 대한 평가, 일반 독자들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라고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