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둠의 아이들
양석일 지음, 김응교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꿈자리가 사나웠다. 긴장이 모두 풀려버린 휴일 밤, 다시 일주일을 시작하기 위해 약간의 긴장 상태로 돌아가면 그렇지 않아도 잠이 잘 안 오는데, 밤에 이 책을 읽은 것이 화근이었다. 일요일밤에 오지 않던 잠은 한층 더 나를 외면했고 까막까막 잠든 꿈 속에서조차 나는 편안하지 못했다. 어떻게 감히 편안하길 바랄 수 있으랴. 한밤중이 아니라 햇살이 밝은 낮에 읽어도 먹구름을 불러올 책이었는데. 잊고 있던 책을 급한 마음에 집어든 것이 잘못이라고, 조금 더 이 책을 빨리 챙길 걸 그랬다고, 그것도 아니면 아예 여유를 두고 다음 날 환한 대낮부터 읽었어야 했다고 몇 번이나 후회를 했는지 모르겠다. 결국, 당연한 이치로, 아침부터 눈꺼풀은 무겁고 뱃속도 더부룩하며 몸이 슬슬 아파올 기미를 보이기 시작한다.
이 작품을 접한 건 어느 일요일 낮, 영화를 소개해주는 한 프로그램을 통해서였다. 일본의 상큼이 츠마부키 사토시와 꽃중년을 대표하는 에구치 요스케가 화면에 잡힌 것을, 그 날의 내가 우연히 눈에 담았다. '저 사람들이 저런 영화도 찍었어?'라는 단순한 호기심에 TV 앞에 자리를 잡고 앉은 나는 그러나 곧, 불유쾌한 기분으로 그 앞을 떠나고 만다. 그런 영화를, 그런 이야기를 활자로 접하려니 더욱 힘이 들었다. 영상을 볼 때처럼 눈도 감을 수 없고 귀도 막을 수 없다. 아무것도 할 수 없을 바에야 차라리 몰랐으면 좋았다고, 어쩔 수 없이 그런 생각도 했다.
재일한국인으로 태어난 작가 양석일은 동남아시아와 인도를 여행한 후 극악한 환경에서 생활하는 그 곳 아이들의 실태를 목격하고, 전 세계적으로 가장 심각한 문제인 '스트리트 칠드런' 에 대해 같이 고민해보고자 이 책을 썼다고 한다. 결국 이기적이고 잔혹하며 무자비한 어른들의 기록인 것이다.
그들은 그것을 '효도'라고 불렀다. 어린 딸을 팔아서, 팔린 그 딸이 무슨 일을 하게 되는지도 알고 있으면서, 고작 냉장고와 텔레비전을 사고 주위의 부러움을 얻기 위해 딸을 팔면서, 그것을 '효도'라고 불렀다. 그들은 같은 상처를 안고 있으면서 아이들을 인신매매해 매춘을 시키는 충과도, 아이들을 통해 욕구를 채우기 위해 세계 각국에서 타이로 몰려드는 사람들과도 다르지 않다. 아이들의 고통은 매춘에서 끝나지 않는다. 팔린 아이들은 또 다시 비싼 값에 장기를 내놓고, 어째서 이런 일이 자신에게 벌어지는 지 깨닫지도 못한 채 수술대 위에서 죽어가는 것이다.
그런 역겨운 사람들 속에 NGO 활동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 집집마다 찾아다니며 아이들을 교육시키고자 노력하고, 매춘 현장을 붙잡아 정부의 도움을 받기 원하지만 정부와 경찰은 그저 묵인할 뿐이다. 실종되는 아이 몇 천 명, 매춘 하는 아이 또 몇 만 명. 도움의 손길은 많지 않고 집회 도중 살해 당하며, 무엇보다도, 그들이 저지하고자 하는 악행은 그늘 속에서 끊임없이 계속되는 것이다. 그 속에서 NGO단체의 활동은, 냉정하게 이야기해서, 의미가 없어 보인다.
그럼에도 일본인 자원봉사자 게이코의 마지막 대사에는 가슴을 울리는 무언가가 있다. 일본으로 돌아가면 현실을 외면할 수는 있지만, 자신으로부터는 영원히 도망칠 수 없다는 말. 작가도 이미 알고 있을 것이다. 소설을 쓴다고 해서 현실이 금방 바뀌지는 않을 거라는 사실을. 하지만 우리가 '알고 있다' 는 것, 그렇기에 어떤 방향에서는 새로운 흐름이 시작될 수도 있다는 것을 어둠의 그늘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알리고 싶었던 것이 아닐까.
수위 높은 묘사는 읽어내리기에 무척 버거웠다. 하지만 현실은 소설보다 더욱 냉혹하리라. 부족하게도 나는, 그런 환경에서 태어나지 않은 것에 감사하며 그저 그들이 하루빨리 벗어날 수 있는 길이 마련되기를 마음속으로나마 빌어볼 뿐이다.
|
아버지가 무슨 말씀 하시는지 잘 알겠지? 이 년 전에 야이룬 언니도 가족을 위해서 돈 벌러 갔단다. 야이룬이 번 돈 덕분에 이렇게 냉장고도 텔레비전도 살 수 있었어. 마을사람들도 모두 부러워하지. 효성 지극한 딸이 있으니 행복하다고 말이야. 너도 언니처럼 효도할 때가 온 거야. 알겠지? -p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