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8 제너시스>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2058 제너시스 내인생의책 푸른봄 문학 (돌멩이 문고) 7
버나드 베켓 지음, 김현우 옮김 / 내인생의책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을 사람답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오랫동안 계속되어온, 그리고 결코 결론지을 수 없는 의문이다. 언젠가 육체는 썩어 없어지고 그 속을 채우고 있던 무언가는 결국 잊혀지게 될 것이다. 사람을 사람답게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생각해야 한다면, 과연 사람이라는 것은 무엇인가. 두 발로 걷고, 생각을 하고, 말을 하고. 단지 말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혹자는 인간을 가장 위대한 동물이라고 표현했었다. 하지만 우리도 다른 개체가 내는 소리를 전부 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 않은가. 그 개체들 입장에서 보면 우리 또한 미개한 종일지 모를 일이다. 사람이라는 것, 사람을 사람답게 하는 것, 많은 사람이 알고 싶어하고 늘 가슴 속에 품고 있는 그 의문에 이 책이 말을 건다. 사람을 사람답게 하는 것은...

2058년으로부터 조금은 더 먼 시간. 지금으로서는 까마득히 먼 미래. 지금까지의 세계는 고립되어 있었다. 2052년 첫 번째 역병이 전 세계를 휩쓴 이후에, 플라톤이 지배하는 공화국 안에서 사람들은 방벽 너머 바이러스를 지닌 또다른 존재가 넘어올까 하루하루 두려워하며 살아간다. 고대 그리스의 플라톤이 주장했던 것처럼 이 세계는 철학자, 기술자, 군인, 노동자 계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아이들은 태어나자마자 부모와 떨어져 양육된다. 생후 1년이 지나면 모든 아이가 검사를 거쳐야 하고, 결과에 따라 특정 계급에 배치되거나 '제거'되는 세계. 

그 세계에서 2058년 아담 포드가 태어났다. 경계 근무를 서면서 방벽 너머에서 접근해 온 소녀 이브를 죽여야 했던 임무를 저버린 채 그녀를 구출하고자 했던 아담. 태초의 인간이 아담이었던 것처럼 아담 포드 역시 사람들에게 새로운 행동과 자신의 신념을 선보이며 사형대신 로봇 아트와 생활하게 된다. 처음에는 인공지능을 가진 아트를 인정하지 못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차츰 '인간'과 '자유의지'에 대해 활발한 논쟁을 벌이는 그들. 그 논쟁에서 승리하게 되는 것은 과연 누구인가. 결말은 충격적이다. 

이야기는 학술원에 들어가고자 하는 아낙스가 세 명의 면접관 앞에서 시험을 보는 형식으로 전개된다. 아담 포드의 인생에 대해 유독 관심을 갖게 된 아낙스와 면접관들의 질의응답, 홀로그램으로 재생되는 아담과 아트의 대화로 자칫 어려워질 수 있는 내용을 쉽게 풀어냈다. 인간과 로봇의 관계에 대해서는 그 동안 수많은 책과 영화들이 소재로 삼아왔지만 이렇게 제대로 된 논쟁을 본 기억은 없는 것 같다. 그 동안의 작품들이 감성에 바탕을 두고 인간과 로봇을 논해왔다면 이 책은 좀 더 철학적이고 논리적이라고 할까. 

아담과 아트의 수많은 대화 중에서 아담은 마지막으로 아트에게 '현실을 개선하려 하는 인간의 의지'에 대해 이야기했다. 감옥에 갇혀 아트와 논쟁하며, 자신이 아트에게 어떤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지를 평가받는 그 상황을 벗어나 자유를 얻고자 하는 열망. 그 열망이 자신에게는 있으나 아트에게는 없다 말했다. 하지만 결말 부분을 보면 이 작가는 언젠가 사람과 로봇이 어떤 부분에서는 거의 비슷한 존재가 될 수 있을 거라 믿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자신이(정확히 말하자면 자신의 생각이) 영원할 거라 믿고 승리의 미소를 짓는 아담과 그 동안 아담과 논쟁하며 변화된 자신의 생각을 바이러스로 유포하는 아트는 변화된 내일을 생각한다는 점에서 동일한 신념을 가진 존재다. 

그럼에도 아담이 말했던, 자신은 피부에 쏟아지는 따뜻한 햇살의 느낌이고, 자신을 덮치는 차가운 파도의 감각이며 절대 가 본 적 없지만 눈을 감고 상상해 볼 수 있는 장소이자 다른 이의 숨결과 그녀의 머리카락색이라는 문구에 마음이 출렁이는 것은 그것이 로봇은 절대 가질 수 없는 '인간'만의 감각이라는 믿음 때문일까. 

사람을 사람답게 하는 것- 그것 또한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조건이라고 생각한다. 지금 내가 사람을 사람답게 하는 요소가 후회와 반성이라고 생각하는 것처럼 누군가에게는 사랑이 될 수 있고, 누군가에게는 현실을 개선하려는 자유의지가 될 수도 있으며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사람을 사람답게 하는 것'을 생각하는 그 자체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 논리적인 면에서는 언젠가 로봇과 동등한 입장에 서게 되는 날이 온다 해도 우리가 우리로 있을 수 있게 하는 마음, 그 마음이 바로 인간답게 하는 요소라고 이야기하면 너무 싱거운 이야기가 되려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