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가 결혼했다 - 2006년 제2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박현욱 지음 / 문이당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의 제목이 여기 저기서 인구에 회자되나 작가에 대해서나 책에 대해서 읽어본것은 없다.
단지 제목이 이야기 하듯이 뭐 남자보다는 여자가 딴 남자가 있는 이야기 여니, 그리고 좀 톡톡 튀는 위트가 있으려니 정도였다.

잘 읽힌 다고 먼저 읽은 사람들이 그랬다. 재미있다고도 그랬다.

책을 집어들었는 데 앞표지에 축구공이 있다.
"도대체 축구와는 무슨 관계지?"

그리고 작가의 서문은 재미있었다.
"이 책은 단지 행복에 관한 이야기." 라는 것이 작가 서문에서 내가 생각나는 부분이다.

행복과 결혼, 축구.
"무슨 이야기지?"

자못 궁금해지는 부분이다.

이야기는 단순히는 "비독점적인 다자간 연애"를 다루고 있다고 써있다.
주인공의 여자는 그렇게 살던 여자다 그 것이 좋았고 그 보다 더 나은 것이 있을 것 같지는 않았다. 그런데 적극적인 남자의 권유(?)로 결혼이라는 제도 속으로 들어왔다.

그런데 그녀의 연애의 대한 태도는 변하지 않았는 데, 그녀의 결혼에 대한 태도가 바뀌었다. 결혼을 해보니 연애에서는 못 느끼던 좋은 점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그녀는 이제 연애만 다중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결혼도 다중으로 하고 싶어한다.

발상의 전환이라고 누구는 말할지 모르지만,  책에서도 말하다 시피 좋고 나쁘고의 판단을 떠나서 우리보다 발전의 단계의 앞선을 가고 있는 사회에서는 single parent도 동성의 커플과 가정도 이미 있다는 것을 우리는 적어도 들어서 안다. 그리고 이런 다중적인 관계도 있다. 그들의 주장은 "행복하기만 하다면 기존의 제도나 질서를 고집할 이유가 무엇인가?" 라고 할수 있겠지.

우리가 얼마나 혼란드러운 결혼관의 사회에 살고 있는 지를 단적으로 보여 주는 여러 커플이 있다.

불과 두 세대 전에 처첩을 버젓히 거느렸던 할아버지, 공식적으로는 그러지 못했으니 오입질이 전문이었던 아버지, 이제는 이런 것들을 용납못하고 한번의 실수에 단칼을 쳐 버리는 누나들.

동시대를 살아가는 같은 세대지만 남자는 오입질이 허용되고 여자는 그렇지 않다는 친구, 그리고 스스로 선택하고 주도권을 지고 있는 나의 아내, 거기에 질질 끌려가는 나, 거기에 나보다 그리고 나의 아내보다 몇살 어리고, 이런 상황이라도 행복하기만 하다면 용납할수 있다는 아내의 또 다른 남편.

여기서 가장 불쌍하고 괴로와 보이는 것은 낀세대들이다. 바로 주인공. 물론 뛰어난 위트로 그 괴로움이 다소는 물탄듯 하지만....

축구, 인류학, 고전 등을 섭렵하고 여기 저기 인용구를 집어 넣는 것이. 이 작가, 적지도 않은 나이에 등단한지 얼마 안되고 이렇다 할 이력이 공개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그동안 쭈~욱 놀았던 게야.

작가가 아마도 자신이 생각하기에도 기발한 착상을 한 이 작품을 내놓고 남들의 반응이 얼마나 궁금했을 까 싶다. 성공해서 기분도 좋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