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도락여행 - 세계사의 주요 장면들과 함께 읽는 150가지 요리 이야기
한스 페터 폰 페슈케.베르너 펠트만 지음, 이기숙 옮김 / 이마고 / 2005년 10월
평점 :
품절


이책이 내 책상위에 있는 것을 보고 우리어머니는 한심하다는 듯이 한숨을 쉬쉰다.
'음, 책이라고 본다는 것이... 순, 먹는 이야기 뿐이야.' 라는 듯한 그 소리.

아아아, 오해 마세요. 이책은 먹는 것에 관한 이야기 아닙니다. 역사책이라고요. 음식을 통해본 역사, 역사를 통해본 음식 이랄까.

원제는 저자 머리말에 나와있는 제목 '클레오파트라와 로빈후드의 식탁으로의 초대'인것 같다. 친구에게 물어보니. '클레오파트라와 로빈후드의 집의 손님되기'  정도 되는 것 같다.

각각의 역사적 사실 30 장면을 픽션으로 구성하고 각각의 장의 끝에는 그 장에 나온 요리의 조리법이 있다.

조리법은 지금의 유럽인들이 쉽게 구할수 있는 재료와 방법으로 되어 있다지만 우리의 실정에서는 어디 구하기 힘든것들이 많다.

그리고 몇몇개의 재료는 내가 그 실체를 아는 데. 역자가 요리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 듯 사전에 나온 용어들을 그냥쓰고 있는 데. 때로는 현재 우리가 부르는 더 친근한 이름들에 대해서 모르는 것 같다.

원작자가 과거의 것들을 현대에 맞게 각색했듯이 역자도 한국의 실정에 맞게 고쳐놓았으면 좋았을 것을. 그 점에서 아쉬움이 있다. 결론적으로 해 볼만한 음식은 거의 없다.

그러나 역사적 장면을 재구성하고 거기에 음식을 등장시킨것은 무척이나 신선했다. 우리의 대장금 시리즈도 그렇다고 할까. 음식이 나오지만 음식이 주인공은 아닌 역사극.

조리법에 대해서는 만족하지 못하지만 그래도 역사의 장면 장면을 맛깔스러운 필치로 써서. 재미있고 흥미롭게 읽었다.

서양사에 대해서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추천할만하다. 내가 유럽이나 미국에 살면 한번 해보고 싶은 것도 몇가지 있으나 한국에서는 너무 힘들것 같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