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 더 풀
오쿠다 히데오 지음, 양억관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이라쿠 종합병원의 음침한 지하실을 '의학 박사 이라부'와 육감적인 몸매의 '마유미'짱이 차지하고 있다.

이 엽기 콤비는 온갖 강박증에 시달리는 사람들을 상대한다. 환자들은 하나 같이 처음에는 이 사람들을 이상해 하면서도 계속 찾는 다.

아마도 이 두사람은 그들 모두가 바라는 자신의 모습일 것이다. 물려받은 병원에서 평생 먹고 사는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될듯하고, 성숙하지도 않고, 책임질것도 없으면 남의 시선이라고는 아람곳 하지 않고 어린 아이처럼 사는 이라부.

아마도 그래서 이라부 선생을 만나면 사람들은 자신의 문제점을 스스로 찾고 해결할수 있게 되나 보다. 해결책은 아주 간단한 곳에 있었다. 허리띠를 푸르고 긴장 하지 않는 다. 해결되지 않는 걱정은 하지 않는 다. 걱정해서 소용없기 때문이다.

나는 만화책을 좋아하지 않는다. 눈에 익지 않아서 빨리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만화를 보면 깔깔대고 웃었던 것은 꺼벙이나 오성과 한음, 오달자 정도가 아니었을 까. 그당시는 만화도 단순하고 재미 있었는 데. 그리고 편안했다. 요즘의 만화들은 신경을 쭈뼛거리게 만든다.

이 책은 만화책 같다. 그림이 없는 만화책 하지만 쉽게 그림이 그려진다. 특히 이라부 선생의 모습은 아마 이 책을 읽은 누구가 그려도 비슷할것 같다.

각기 다른 이야기 꼭지로 되어있어서 읽기 편하다. 즐겁다. 그러면서 한편으로 그 어느 환자 하나쯤에는 속할 나의 모습을 발견하면서 간접적으로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게 된다.

문제의 핵심이란 가볍게 살자는 거다. 가볍게 남의 의식하고 내게 없는 것을 갈구하면 언제나 피곤한 인생일수 밖에는 없다. 한발짝 물러서면 모든 것이 즐겁다.

"그까있거" 라는 말이 유행하는 것을 보면 그 말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고 그렇게 말하고 싶어하는 지 알것같다.

우리 모두 가볍게 살기를 바라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