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의 세 가지 거짓말 세트 - 전3권
아고타 크리스토프 지음, 용경식 옮김 / 까치 / 199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여름이 되면서 읽기 시작한 아고타 크리스토프. '어제'를 돌려주려 가는 데. 마침 이 작가의 대표작인 '존재의 세가지 거짓말(원제, 쌍둥이 삼부작')이 책꽃이에 돌아와 있었다.

너무 잘된거지 그렇지 않아도 여름 휴가를 떠날 바로 직전이었는데. 이 책을 들고 가면 되겠다 싶었다.

세권의 서로 다른 소설로 각기 시간을 두고 출판 되었지만 세개를 묶은 특별판으로 만들어진것이 보통의 소설 두께 만했다.

Le Grand Cahier, Le Seuil, 1986
La Preuve, Le Seuil, 1988
Le Troisieme Monsonge, Le Seuil, 1991


Le Grand Cahier 노트

전쟁통에 서로 내왕을 안하던 할머니에게 쌍둥이가 맞겨지면서 이야기는 시작한다.
각각의 작은 이야기 꼭지들이 제목을 달고 이어진다.

쌍둥이들이 이 특이한 환경을 어떻게 적응해 나가는지가 흥미의 주였다.
배고픔, 아픔, 추위등을 이기기 위한 신체적단련, 사랑, 증오, 무시, 모독등의 감정들에 초련하기 위한 정신 단련 등등

그러나 역시 이전에 읽었던 작가의 후반기 에세이들이나 소설 처럼, 문장은 너무 단순하고 동성애, 근친 상간, 매춘, 강간등 무언가 자극적인 요소들이 꼭 필요하지 않은 대도 마구 들어가 있는 것 같아서 조금은 인위적이면서 작가의 습작정도로 여겨졌다.

여기까지는 앞서 작가에 대한 의견이 달라지지 않았다.

La Preuve 증거

앞서처럼 이야기의 꼭지 제목을 단것이 아니라 번호로 각장이 나뉘어 지고, 비로서 소설다운(내가 너무 고전적인 소설기법에 물들어 있다면 할수 없는 일) 구성을 가지고 이야기가 전개된다.

전작이 두 쌍둥이의 이야기라면 한 형제가 국경을 넘어가 버리고 남겨진 한사람만의 이야기다.
전작의 소년기가 이제는 청년기로 넘어가는 순간이기도 하다.

주변인물들이 생기고 그들과 연결된 이야기도 생겨난다.

소설속의 또 다른 소설로 등장하는 이야기가 갑자기 흐름을 깨버리고, 작가가 하고 싶은 이야기기 뭔지는 알겠는데. 그 이야기가 도저히 호기심이나 관심을 끌기 힘들었다. 왜 등장하는 지도 알길이 없고....

소설의 마지막장에 사라졌던 다른쪽 쌍둥이가 등장한다. 물론 이곳에 있던 쌍둥이가 사라진후다. 그리고는 다음 소설의 문을 여는 장이 등장한다. 여기서 이야기가 갑자기 흥미로와진다.

Le Troisieme Monsonge 세번째 거짓말

첫 작품에서 둘째 작품으로 소설이 조금 진화하더니 세번째에 이르러서는 이야기 자체가 전 3부작을 정리하기 시작한다.

1, 2 부로 나뉜 세번째는 각기 두쌍둥이의 시점에서 이야기기 전개된다.

전작 3부분이 다 끝나고 나서야 소설은 드디어 완성이 되고, 이 정도면 읽은 만한 작품이다 라는 생각을 들게한다.

작가가 처음 부터 이런 구성을 염두에 두고 써내려 갔는지 알수 없으나, 여러가지로 짐작컨데 그랬을 것이며, 이렇게 쓰여진 전3부작에는 박수를 쳐 줄만하다.

(부연, 이 책은 한글 번역본이 아닌 원어로 읽었음을 밝힘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