앗 뜨거워 Heat
빌 버포드 지음, 강수정 옮김 / 해냄 / 200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소개를 보고는 읽이 쉬울 책이라고 생각했다.
기자출신의 저자가 뉴욕의 유명한 이탈리아 레스토랑에 견습으로 들어가서 겪게되는 우여곡절 좌충우돌 정도 라고 생각했다.

책을 받아드는 순간.
"어, 이거 뭐야 왜이리 책이 두꺼워."

도서관의 반납일은 한 일주일이나 어기며 끙끙댄것은 단지 책이 두꺼워서 였을 까.
아니며 더위 때문에 책이 손에 안잡혀서 였을 까 아니며
이 책이 읽기 힘들 만큼 지루해서 였을 까.

책의 삼분의 이 가량은 뉴욕의 레스토랑 밥보(Babbo)와 그 주인인 세프 마리오 바탈리의 이야기와 저자 빌 버포드의 실습기 이다.

우리가 맛있게 먹는 음식이 만들어 지는 주방에서는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나는 것인지...

요리를 배운다고 하다가 안 아주 단순한 사실은 여자 주방장이 별로 없는 이유는 주방의 일이 중노동이기 때문이다.

여행에서 만난 한 케이터링 전문 요리사는 자신의 여자 요리사 친구 하나를 말하면 "대단하다"라고 했다. 주방의 규율이 너무 어마 어마한대 어떻게 견디는 지 모르겠다고. 이 말을 하면서 그녀는 넌더리가 난다는 표정을 지었다.

이 책은 단순한 호기심에 의한 주방 염탐기(?) 가 아니었다. 500페이지에 이르는 이 책은 저자가 정열을 가지고 진짜로 경험한 사실을 담고 있다.

그래서 더 진지하고, 종국에 가서는 지루하기 까지 했다.

밥보의 주방에서 일년을 보내고 이탈리아의 수제 파스타를 배우고는 결국은 이태리 최고라고 일컬어지는 푸주한에서도 수습을 거친다.

그야 말로 인생의 중반에 어디서 그런 에너지가 넘처나는 지 부럽기 그지 없다.

책의 마지막 1/3을 차지하는 토스카니의 푸주한 실습기는 객관적인 기자의 눈이 아닌 상당히 주관적이고 감상적이기 까지도 하다.

전통의 주장하는 장인들은 아름답다. 하지만 예나 지금이나 소수만을 위해 존재할수 밖게 없는 그 좁은 시장은 내가 있어서는 비 민주적이다.

대량생산이 만들어낸 병패도 많지만 대량생산이 소비를 얼마나 평준화 했는 지 생각해 보면 꼭 싫어할 만한 일도 아니다.

이전 처럼 소를 기르고 다룬다면 평범한 사람들은 어디 고기 한점 먹어볼수 나 있었을 까?
문제는 대량생산이 필요한 만큼 공급하는 것에서 도를 지나쳐 그 보다 더 많이 공급하는 대서 생겨난것이 아닐까 싶다.

필요도 없는 것을 가족들에게 공급하기 위해서 어머니들은 밖에 나가 일해야 되고 그래서 더 이상 따뜻한 어머니의 밥상은 그리워할수 밖에 없는 것이 된것 처럼 말이다.

그래서 이제 장인의 물건들은 또다시 주목 받기 시작하고 이는 또다시 일부의 향유물이 되어가는 세태인것 같다.

김밥 한줄은 1000원에 공급되는 데. 조미료를 전혀 쓰지 않고 재대로 맛을 낸 맛난음식은 이제 비싸기 그지 없다.

이 책을 읽는 내내. 조금은 서글펏다. 내가 먹고 있는 음식들이 (내가 직접 만드는 것을 제외하고는)얼마나 형편없는 것인지 인식하게되고, 마치 유기농 상품코너를 보면서 느끼는 허탈감이라고나 할까. 좋은 것은 알겠지만 얼마나 비싼지. 그렇다고 전부 손수할수있는 것은 아니니...

정말 맛있는 풍미있는 음식이 먹고 싶다.
그 비밀을 찾아나선 저자가 한없이 부럽고 존경스럽다.
나에게는 그런 정열이 부족하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