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의사의 부자경제학
박경철 지음 / 리더스북 / 2006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그 유명하다는 시골의사의 책을 드디어 들었다.

돈 좀 벌었네 하는 사람들이 책까지 써서, 난 이렇게 성공했느니 하는 이야기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 데.

이 사람의 책 리뷰는 기본에 충실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드는 코멘트가 많아서 손에 들었다.
간단한 사례나 지금의 현실을 어떻게 봐야 하는 가에 대한 이야기들은 좀 있다.

하지만 이 책은 어쩌면 재테크를 고양하는 것보다는 경고 주의보를 번쩍이고 있다.
혹시 "신화 창조"라는 TV 프로그램을 본적이 있는 가.

나도 보면서 드는 생각이지만 이 프로그램의 하단에는 마치 마술이나 특이한 기술을 보여주는 프로그램처럼. "초보자는 섯불리 따라하지 마세요." 하는 경고가 붙어야 하는 것이 아닌 가 생각한다.

이 책도 그렇다. 이 책 내내 그런 논조이나. 책이 끝나가는 마지막에 뼈아픈 정도가 아니라 뼈저린 말들을 화살통채로 날리고 계시니 정말 가슴에 비수와 같이 와서 꽂힌다.

"당신은 혹시 조기 은퇴가 걱정되어 재테크 강의를 쫓아 다니고 있지는 않는 가? 그렇다면 당신을 그 시간에 은퇴보다는 임원이 되고 CEO가 되는 꿈을 꾸는 것이 더 가능성이 있다. 또 지금 당신이 지닌 가치를 활용해서 창업을 할 때도 그 분야에 성공할수 있는 역량을 키우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아무리 생각해도 현재의 능력이나 환경으로 보건대 도무지 자신이 없어서 마지막 수단으로 재테크를 선택하겠다면 어떨까?

그렇다면 스스로 질문해 보라. 당신은 재테크에서 평균을 뛰어넘어 그야말로 선두에 설수 있는 가? 그리고 그만큼의 지식을 쌓고 노력해서 주식이든 부동산이든 채권이든 투자에서 쟁쟁한 전문가들을 제치고 이길수 있는 가? 스스로 그런 재능이 있다고 생각하는 가? 아니면 지금 부터 시작하면 가능하리라고 믿는 가?

..중략....

당신이 초등학교부터 지금까지 교육받고 일하면서 얻은 노하우를 익히는데 얼마나많은 시간을필요로 했는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당신은 어떤 위치에 있는 가?

......당신이 그저 부동산 업자의 말을 듣거나 신문을 보고, 혹은 자신의 안목으로 투자판단을 할 수 있다면 혹은 주식 투자를 배운다면 부자가 될수 있겠는 가? 만약 그렇게 생각한다면 당신은 어떤일을 해도 절대 성공하지 못할 것이다."

허헉

어쩌면 나를 꼭 집어서 한 말씀해주시는 선배 같구만.

흠,  그렇다고 자산증식을 생각하지 말라는 이야기는 아니다.
물론 누구나 관심을 갖고 생각해야할 문제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너무나 좋은 환경에서 좋은 유전자를 타고 똑똑한 인자를 가진 인간이 학교다닐때 성적도 우수하고, 좋은 대학도 들어가고 좋은 직장도 들어가고, 직장에서도 자신의 가치를 창출하여 해마다 몸값을 불리고, 그런 사람이 월급도 많이 받고, 그리고 그 돈도 좋은 머리와 좋은 환경과 좋은 인맥으로 좋은 판단을 내려서 좋은 투자처에 투자를 해서 그의 돈은 어느날 연봉 만큼이나 스스로 크고 있다는 이야기인것 같은 데.


이 많은 단계에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소외되어 있을 까?

얼마나 심상하나 소리인가. 그렇게만 보면 너 도대체 뭐야 하는 안티가 무척이나 많아야 한다. 이 저자는...

근데 여기서 발끈 하기 전에 가슴에 손을 얹고 잘 생각해보자. 아마 저자가 하고 싶은 말은 로또같은 요행을 원하는 마음으로 투자에 손대는 것보다는 우리가 흔히 신문에서 보듯이 평생을 고물상을 하면서 저축만으로 몇억을 모아서 대학에 기부했다는 이야기를 생각해 보라는 것이 아닐까.

대부분은 사람들은 그런 사람들이 어떻게 몇억을 모을 까 생각한다. 하지만 주식투자를 하지 않아도 더 많은 월급을 받지않아도 더 많이 모을 수 있다.

그리고 저자가 말중에 내가 150% 동의하는 말이 있다.
투자에 실패하지 않기 위해서는 (아니면 성공하기 위해서도) "혜안보다 철학이 필요하다"

이 철학이라는 것은 내가 돈을 많이 벌었던 손해를 봤던 내 자신 스스로에게 떳떳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중요하다.

사실 이 세상을 사는 데 무엇보다 필요한 것이 난 이것이라고 생각한다.
어떤사람은 이것을 신앙이라고 부르기도 할것이고, 자존심, 가치관이라고도 부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